Filtering out candidates’ promises
In past presidential elections, campaign pledges have done more harm than good. Instead of feasible and thoroughly studied ideas, promises were mostly impromptu, tailored or inflated to attract votes. They helped to put the candidate in office, but the government and society frequently paid a heavy price to clean up the mess. The best examples are large-scale social infrastructure projects.In 1988, presidential candidate Roh Tae-woo promised to develop the estuary of Saemangeum as part of his largest land reclamation project. The former general from North Gyeongsang pledged the ambitious pork-barrel project to get votes in the rival Jeolla region. The project sparked a tedious and lengthy fight between the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activists in and out of courts for nearly two decades over economic effectiveness and environmental risks.
In 2002, liberal ruling party candidate Roh Moo-hyun promised to move the capital to Chungcheong. But after he was elected,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e plan was illegal. His government eventually modified the project to build a new administrative municipality of Sejong in the region. The project remained controversial and seriously impaire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which tried to revise the plan. The city is nearly completed, but it remains unclear how the experiment of long-distance government would work.
The excesses of campaign promises are being repeated. There are no elephantine pork barrels except for a revived plan to build an airport in the southeast region at a cost of 10 trillion won ($8.9 billion). Instead, candidates are competing on social welfare promises, which could be as much of a budget burden as infrastructure projects.
But there is no mechanism to control these ambitious and questionable promises. Prior to the legislative election in April,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arned that welfare programs pledged by the ruling Saenuri Party would cost the government 75 trillion won over the next five years and the bill for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s plan could reach 165 trillion won. Bu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criticized the announcement, saying it could undermine state neutrality.
Ahn Cheol-soo, who joined the presidential race with just three months left until the election, has not even come up with a campaign platform. When he does,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policy and promises. Good campaign platforms could save the election and the country, but bad ones will only deceive voters.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공약’이란 존재는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을 주로 가져왔다. 실효성과 예산이 검증된 좋은 공약보다는 표를 의식하여 급조되거나 부풀려진 공약이 많았다. 이런 공약들은 후보의 당선에는 도움이 됐지만 선거 이후 정권과 사회는 이를 설거지하느라 비싼 비용을 치렀다. 주로 대형 개발공약들이 그러했다. 1988년 노태우 후보는 새만금 개발을 공약했다. 호남표를 의식한 대표적인 개발공약이다. 사업은 20여년 동안 경제적 효용과 환경을 둘러싸고 소송과 갈등을 빚었으며 최근에서야 겨우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2002년 노무현 후보는 수도 이전 공약으로 충청표를 대거 획득해 당선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집권 후 이는 위헌으로 판정됐고 이후 공약은 세종시로 변경됐다. 세종시는 이명박 정권에게까지 갈등의 과제가 됐었다. 이제 부분적으로 완공되어 정부 부처 이주가 시작됐지만 과연 부처를 분할하는 게 어떤 부작용을 부를 지 목격하는 일이 남아있다. 이명박 후보는 한반도 대운하를 공약했지만 집권 후 심한 반대에 부닥쳤다. 공약은 4대강 개발로 바뀌어 완수됐는데 예상보다 비용이 더 들었다. 이번 대선에서도 ‘공약의 위기’가 닥치고 있다. 이번엔 대형개발공약은 아직 없다. 여야가 추진하는 동남권 신공항(10조원) 정도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여야가 경쟁하고 있는 복지공약은 개발사업 못지 않게 재정에 부담을 줄 전망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를 검증할 장치가 제대로 없다는 것이다. 지난 총선 때 기획재정부는 여야가 복지공약을 실천하려면 향후 5년간 새누리당 75조, 민주당 165조가 필요하다며 ‘거품’을 지적했다. 그러나 선관위는 이런 발표가 정부의 선거 중립을 위협할 수 있다며 제동을 걸었다. 이런 규제는 이번 대선에도 적용되고 있다. 정책 검증도 과제지만 정책 공약이 빈곤한 것도 문제다. 선거가 3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지지율 선두를 다투고 있는 안철수 후보는 공약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공약이란 것이 이렇게 급조될 수 있는 것인지, 그런 공약은 언제 누가 검증하는지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좋은 공약은 선거와 국가를 살린다. 반면 나쁜 공약은 유권자를 호도한다. 환상에 빠졌던 사회는 선거 이후 두고두고 대가를 치른다. 중앙일보가 공약제안 및 공약검증 캠페인을 시작하는 이유는 ‘나쁜 공약의 추억’ 때문이다. 나쁜 공약이 유권자와 선거를 포획하여 사회를 갈등과 혼란으로 끌고 가는 후진적 관행을 반복할 수는 없지 않는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