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s unrealistic vow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hn’s unrealistic vows

Independent presidential candidate Ahn Cheol-soo announced his vision for the country yesterday. Though it came much too late, it still carries weight as he has joined the fierce competition of policies. His criticism of the political establishment also partly explains the reasons behind his running for president. But most of his commitments are still incoherent and lack substance.

The major policies Ahn proposed reveal many loopholes as they don’t work under the current laws nor fit in with our political systems. He vowed he would implement major agreements between Seoul and Pyongyang through a bipartisan consensus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current laws do not stipulate any procedure to seek parliamentary consent on presidents’ policies except for issues involving international treaties, laws and budgets. Ahn also said that he will let a nominee for the head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be recommended by the Assembly and grant legislative oversight of a president’s pardons.

However, the appointment of the BAI chief already needs parliamentary approval, and the president doesn’t have to seek consent from lawmakers under the Constitution. Ahn’s vows only demonstrate a critical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the government works.

Ahn rightly said that our presidents have often used their rights to appoint influential posts as if they were war trophies. But reducing the number of such posts - from 10,000 to 1,000 - goes way beyond common sense, as it needs a drastic overhaul of the existing appointment system, which inevitably needs a massive revision of relevant laws. In a nutshell, those are largely populist and half-baked pledges. His vow to move the Blue House to a place nearer to the people also seems unrealistic. It’s a question of how to communicate, not where.

Ahn expressed his rosy visions for the economy, welfare, jobs and education. They are right in principle but still devoid of detailed plans on how to achieve them. A long list of euphemisms are not policies but political slogans. That is exactly what he attacks: old politics.

A president who runs as an independent with no political affiliation will most likely face immense obstacles during his or her term. Ahn, however, stopped way short of addressing the issue. He didn’t mention how to gather legislative forces if he is elected, or whether he will agree to the idea of unifying candidates in the opposition camp. He didn’t say a word about the future of his presidency, or when or if he should join the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어제 정책 구상을 발표했다. 안 후보는 출마 가능성을 시사하고 오랫동안 뜸만 들여왔다. 출마를 선언한 이후에도 과거 정치에 대한 비판만 할 뿐 새로운 구상을 내놓지 않아 국민의 선택을 어렵게 만들었다. 그런 점에서 늦었지만 정책 경쟁에 합류했다는 것은 다행이다. 자신의 구상을 좀 더 가다듬고 구체적인 집권 후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비전과 정책으로 국민의 판단을 구하기를 바란다.
 안 후보가 어제 발표한 공약은 아직 대부분 담론이나 캐치프레이즈 수준에 그친 것이 많아 보인다. 큰 그림은 없이 조각조각 그동안 여론의 비판을 받아온 내용을 고치겠다고 조합해 놓은 듯한 인상을 준다. 첫술에 배부를 순 없지만 이런 정책으로는 집권 후 국정의 모습이 그려지지도 않고, 실현 가능성도 보장할 수 없다.
 역대 정권들이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를 전리품(戰利品)처럼 활용했다는 안 후보의 지적은 옳다. 그런 자리를 1만 개에서 1000개로 줄이겠다는 건 획기적인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안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다. 청와대를 국민 가까운 곳에 옮기겠다는 약속도 대통령의 역할 변화에 대한 큰 구상 속에서 내놨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남긴다. 대통령 소통은 장소가 아니라 통치방식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안 후보는 경제·복지·일자리·교육에 관해서도 많은 말을 했다. 주장은 원칙적으로 맞고 ‘이상형’이지만 실천 계획이 없다. 무슨 돈으로, 어떤 방법으로, 과거 정권과는 어떻게 다르게 할지 설명을 해줘야 한다. 옳은 말만 나열하는 건 정치 구호이지 정책이 아니다.

 현실적으로 무소속 대통령은 국정운영에 한계가 크다. 여론조사에서 안 후보의 집권 후 안정성이 의심받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회 권한을 강화한다면 안 후보가 가장 먼저 내세운 정치개혁은 누가 어떻게 한다는 건지 연결이 되지 않는다. 단일화 없이 대통령이 되면 의회세력을 어떻게 확보할지, 단일화는 할 것인지, 그렇다면 합치는 민주당과 새 정치는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지, 그는 설명이 없다. 앞으로 추가 정책 발표와 후보 간 토론을 통해 이런 부분을 더욱 보완하고 다듬어 국민의 궁금증을 풀어주길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