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cting consumer choice
Published: 06 Nov. 2012, 20:38
Smartphones have become so common in Korea that they are even own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are almost exclusively available with advanced features, huge storage and over-the-top functions.
As a result, a number of consumers who largely use cellphones the old-fashioned way - to call people - have no choice other than to buy highly advanced multifunctional phones that are hard to comprehend. Manufacturers do not offer domestic consumers the simpler, lower-end smartphones they export to other countries. It is difficult to find a cheap local brand, which seriously undermines consumer choice.
Manufacturers have come up with the poor excuse that they cannot release lower-end models at home because local carriers do not want the cheap models to be released in the market.
The reasoning is clear. Mobile operators get higher profits from expensive, multifunctional phones that eat up data.
However, the lack of consumer choice translates into higher prices for handsets. While carriers offer to subsidize the cost of the handsets, consumers have to accept higher fixed monthly fees, longer contracts or both.
They simply cannot get a deal on their phones anywhere.
To solve such a structural problem, distribution and market channels should be broadened by separating the cost of handsets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More access to the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 services that borrow radio spectrums from conventional mobile networks is a good option.
The MVNOs can help to widen the marketing mix, satisfy various customer segments and reduce the costs of handsets and service. To make this work, we must have a larger variety of phones and services available in the intermediary wireless service network.
At the same time, handset manufacturers should guarantee consumers the right to choose by churning out more diverse types of mobile phones instead of making unreasonable excuses.
국내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이 ‘대용량ㆍ고사양’의 고가 (高價) 제품 일색이어서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제약되고, 과도한 통신비 부담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한다. 5일 본 지(8면) 보도에 따르면 올해 국내 단말기 제조업체들이 내놓은 휴대전화는 모두 21종으로 평균 출고가가 85만 원에 이르고, 일반폰(2종)을 제외한 스마트폰 가격은 평 균 90만원이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는 초등학생까지 사용이 일반화된 스마트폰의 가 격이 이처럼 높게 책정된 것은 한결같이 메모리 용량이 크고, 온갖 기능을 모두 집어넣은 고사양의 제품만 국내 에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그 바람에 데이터 사용량이 많 지 않고, 별다른 특수 기능을 쓸 일이 없는 휴대전화 이용 자들마저 울며 겨자먹기로 고가의 스마트폰을 쓸 수 밖 에 없는 게 현실이다. 단말기 제조사들은 국내에서 만들 어 해외에 수출하는 중저가 스마트폰조차 국내에는 내놓 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단순한 기능의 값싼 스마트폰 을 구할 길이 없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심 각하게 저해하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단말기 제조사들이 중저가 스마트폰을 내놓지 않는 이 유는 이동통신사들이 값싼 3G모델의 출시를 원치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통신사들이 비싼 월정 요금제가 적용 되는 대용량ㆍ고사양의 값비싼 LTE폰에 단말기 보조금 을 집중함으로써 중저가 스마트폰의 출시를 막고 있다는 것이다. 단말기 보조금은 결국 고액의 통신비에 전가된 다. 소비자 입장에선 보조금을 받아 단말기 값을 낮춰도 비싼 통신비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것이다. 값싼 단말기 를 저렴하게 이용할 길이 원천적으로 차단된 셈이다. 이런 폐해를 막으려면 통신사와 단말기를 분리해서 선 택할 수 있는 길을 넓혀야 한다. 우리는 이미 이동통신재 판매(MVNO)를 이용한 알뜰폰 시장을 확대할 것을 제안 했다. 그러자면 이통사를 통하지 않고 유통되는 이른바 자급폰의 보급을 늘려야 한다. 단말기 제조사들도 통신 사 핑계만 댈 게 아니라, 다양한 기종을 시장에 내놓아 소 비자들의 선택권을 보장하기 바란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