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exible women and rigid men
Published: 11 Nov. 2012, 20:09
I recently had coffee with a friend at a cafe next to City Hall on a sunny autumn day. We faced each other with steaming cups of Americano coffee, but we didn’t have much to chat about. After a long silence, my friend abruptly asked me a question. “So, who do you think will win?” He apparently thought I would have some more information about the presidential election since I work at a newspaper. “If I knew the answer, I would have opened a business as a fortuneteller,” I replied. We laughed and took long sips of coffee.
After talking about some of our other friends, we ran out of things to say. “Let’s go somewhere and drink soju,” my friend suggested. We jumped out of our seats and left.
During our conversation at the cafe, I noticed two women sitting across our table. One was talking and the other was listening. She must have had a lot of things to say, because she didn’t stop for a moment. The other listened patiently, looking right into her eyes and nodding constantly. I caught the occasional “Oh, you are so right,” and the frequent “Oh, you are absolutely right. I totally understand what you mean.” Sometimes they laughed out loud, clapping their hands.
It reminded me of the book I began reading with a terrifying title: “The End of Men” by Hanna Rison, an American female columnist. In the book, she argues that the patriarchal era has ended and a matriarchal society has emerged. Male superiority has come to an end.
The writer said social intelligence and horizontal and open communication have become important structural factors of the modern economy, and “flexible women” have become far more adaptive than “rigid men.” She said men are no competition in terms of flexibility.
Her argument seems accurate because my wife and daughter recently complained increasingly that I have become a stubborn old man. They tell me that I lack flexibility. But that may not be all of it. What I confirmed from the conversation at the cafe is that men cannot compete with women in the ability to listen to others and empathize. In modern society, communi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the true nature of the crisis that men are facing today is probably about a lack of empathy.
Recently, a video clip of a male university professor singing a song went viral. In front of an audience, he sang the song “The Flower of All the Flowers” with changed lyrics: “The flower of all the flowers, Madame Geun-hye’s flower, bloom and bloom, bloom forever .?.?. The star of all the stars, Madame Geun-hye’s star, in the hearts of 80 million, shine and shine, shine forever,” he sang. He sang with his hands put together in front of him with such seriousness. One Internet user left a comment for the video that “Maybe he is an intelligent anti[-Park]?” Well, “The End of Men” is not a title that came out of nowhere. It really is a crisis of men.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Bae Myung-bok
모처럼 친구를 만났다. 늦가을 햇살이 길게 스며든 시청 옆 카페. 뜨거운 아메리카노 한 잔씩을 앞에 놓고 마주 앉았다. 별로 할 말이 없다. 침묵 끝에 던지는 친구의 질문이 뜬금없다. “누가 될 것 같으냐?” 그래도 언론계에 있으니 뭐 좀 알 것 아니냐는 거다. “야, 내가 그런 걸 알면 진작 미아리에 돗자리 깔았지.” 시큰둥한 대꾸에 희미하게 웃는다. 몇몇 친구의 근황을 주고받고 우리는 다시 입을 다문다. “어디 가서 소주나 한잔 하지.” 친구의 제안에 둘은 기다렸다는 듯이 자리를 박차고 일어섰다. 같은 시각, 건너편 테이블에 마주 앉은 두 여자. 한 여자는 말을 하고, 한 여자는 듣고 있다. 무슨 할 얘기가 그리도 많은지 말하는 여자의 입은 잠시도 쉬지를 않는다. 듣는 여자는 상대와 눈을 맞추고 연신 고개를 끄덕인다. “그래, 맞아.” “그렇지, 정말 그럴 거야.” “그 심정 충분히 이해해.” 추임새 같기도 하고 맞장구 같기도 한 말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둘은 가끔 손뼉을 치며 함박웃음을 터뜨리기도 한다. 『남자의 종말(The End of Men)』이란 ‘무시무시한’ 책을 읽고 있다. 미국의 여성 칼럼니스트인 해나 로진이 쓴 책이다. 남성성이 지배하던 가부장(家父長)적 시대가 가고, 여성성이 지배하는 가모장(家母長)적 사회가 도래하면서 남성우월적 체제가 종말을 고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저자는 사회적 지능과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한 구조로 경제가 바뀌면서 ‘뻣뻣한 남자’보다 ‘유연한 여자’가 훨씬 뛰어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유연성에서 남자는 여자의 상대가 안 된다는 것이다. 갈수록 꼰대 스타일, 아저씨 스타일이 돼간다는 게 아내와 딸의 나에 대한 불만이고 보면 그 말이 맞는 것 같기도 하다. 요컨대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얘기 아닌가.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닐 것이다. 우연히 카페에서 엿들은 두 여자의 대화에서 내가 확인한 것은 여자의 ‘공감(empathy)’ 능력이다. 상대의 말을 끝까지 경청하고, 상대의 입장에서 그 말을 헤아려 공감할 줄 아는 능력에서 남자는 여자의 발끝에도 못 미친다. 갈수록 소통이 중요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남자가 처한 위기의 본질이 바로 이것 아닐까. 모 대학 남자 교수의 노래하는 동영상이 인터넷에서 화제다. 그는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꽃 중의 꽃’이란 곡을 개사해 부른다. “꽃 중의 꽃, 근혜님 꽃, 8000만의 가슴에, 피어라 피어라, 영원히 피어라…별 중의 별, 근혜님 별, 8000만의 가슴에, 빛나라 빛나라, 영원히 빛나라~” 두 손을 연단 위로 모으고 열창하는 그의 표정에선 신성한 경외(敬畏)마저 느껴진다. 한 네티즌은 “지능적 안티?”라는 의미심장한 댓글을 남겼다. 남자의 종말! 그냥 나온 말이 아니다. 남자의 위기 맞다. 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