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ider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onsider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테스트


A friend of mine sent a book to my office titled “Do or Die, Don’t Give Up,” by Professor Song Jin-gu of Incheon JEI College. He has made his name as an evangelist of hope and the book’s message is clear: He wants to give hope and courage to people in despair and facing adversity.

Why did my friend send me this particular book?

It is no news that the suicide rate is extraordinarily high in Korea, the highest among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ember countries for nine straight years. A survey showed that one in six Koreans had seriously considered suicide, and three in 100 have attempted it. So many people are living on the edge.

A few days ago, a mother in her 70s and her middle-aged daughter from Incheon burned coal briquettes and killed themselves by carbon monoxide poisoning because of extreme financial difficulties. A middle-aged man running a bakery in Busan accumulated excessive debt and hung himself. In Daegu, a mother in her 40s, who was a basic living subsidy recipient, killed herself and two school-aged daughters by burning a solid fuel. In Seoul, a septuagenarian woman threw herself off her apartment because she could not afford to pay her hospital bill. Sometimes it seems as though there is an endless line of people waiting to jump off a cliff.

Last year, 15,906 Koreans killed themselves. Every day on average, some 43.6 people ended their own lives. The means there is a suicide in Korea every 33 minutes. A more serious concern than the high number of suicides is that the rate is constantly increasing. In 1991, the suicide rate was 7.3 per 100,000 people. It increased to 14.4 in 2001 and 31.7 last year. Korea’s rate of increase is also the highest of OECD members.

In his book, Professor Song proposes that the balance of hope and despair is a zero-sum game; a gain (or loss) of hope is balanced by despair, and vice versa. In other words, when despair grows to 100, hope goes down to zero, and the person may choose suicide. The suicides of high-profile businessmen and celebrities illustrate that people make extreme choices when they lose hope no matter how rich and famous they may be.

Many of those in difficult situations live happy lives because they have hope. Song claims that people live without feeling depressed or lethargic when the emotional balance is at least 70 percent hope and 30 percent despair.

We hear more gloomy stories than heart-warming tales this holiday season. However, when we approach life with a positive attitude, we will be able to rekindle hope even amid despair. Everything depends on attitude and perspective. That may be the message my friend wanted to convey when he sent me that book.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Bae Myung-bok

















지인이 사무실로 책을 한 권 보내왔다. 『포기 대신 죽기살기로』란 책이다. ‘희망 전도사’로 이름이 난 송진구 교수(인천재능대)가 쓴 책이다. 실의와 좌절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려는 의도가 분명해 보인다. 요즘 대세인 ‘힐링’ 바람에 편승한 책 같기도 하다. 뜬금 없이 지인은 왜 이 책을 내게 보낸 것일까. ‘대한민국=자살공화국'은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다. 2003년 이후 9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를 기록 중이다. 국민 6명 중 1명이 심각하게 자살을 고민한 적이 있고, 100명 중 3명은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벼랑 끝에 선 사람이 그처럼 많다는 뜻이다. 신문 사회면에는 하루도 자살 관련 기사가 빠지지 않는다.
엊그제 인천의 한 아파트에서는 생활고를 비관한 70대와 40대 모녀가 연탄불을 피워놓고 동반자살했다. 부산에서는 제과점을 하던 40대 남자가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이 들어오면서 빚만 쌓이자 스스로 목을 매 자살했다. 대구에서는 기초수급자로 생활하던 40대 엄마가 중고생인 두 딸과 함께 가스레인지에 착화탄을 피워놓고 자살했다. 서울에서는 병원비를 감당 못한 70대 할머니가 아파트에서 투신자살했다. 벼랑 끝에서 몸을 던지는 사람들의 행렬에 끝이 보이지 않는다.
작년 한 해 동안 자살한 대한민국 사람은 1만5906명이다. 전국 각지에서 매일 43.6명이 스스로 목숨을 끓은 셈이다. 33분에 한 명 꼴이다. 자살률보다 더 심각한 것은 증가 속도다. 1991년 인구 10만명 당 7.3명이었던 자살률이 2001년에는 14.4명, 지난해에는 31.7명으로 급증했다. 자살률과 함께 자살률 증가 속도에서도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압도적인 1위다.
책에서 송 교수는 ‘희망+절망=100’이란 공식을 제시하고 있다. 희망과 절망은 저울의 두 추와 같아서 한 쪽이 내려가면 다른 쪽은 올라가게 돼 있다고 말한다. 절망이 점점 커져 100이 되는 순간 희망은 제로(0)가 되면서 자살을 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재벌그룹 회장이나 인기 연예인의 자살에서 보듯이 아무리 돈이 많고, 인기가 높아도 희망이 사라지면 자살을 하는 것이고, 더 이상 불행할 수 없을 것 같은 사람이 웃으며 사는 것은 절망보다 희망이 크기 때문이란 것이다. 희 망과 절망이 최소한 70 대 30의 비율은 되어야 무기력증이나 우울증에 시달리지 않고 살 수 있다는 게 송 교수 주장이다.
훈훈한 얘기보다 우울한 얘기가 많은 연말이다. 그렇더라도 부정보다 긍정의 마음으로 삶을 대하면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불씨를 살릴 수 있다. 세상사 다 마 음먹기 나름이다. 지인은 이 말을 내게 해주고 싶었던 것일까. 요즘 내가 그렇게 우울해 보였나.

배명복 논설위원ㆍ순회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