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t an end to litigation na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ut an end to litigation nation

테스트


A friend asked me if I knew an attorney specializing in traffic accidents as he would like to sue the insurance company of the other driver. When I spoke with a lawyer, he said that a victim in a traffic accident can get more compensation if he sues. Just as the market price and the appraised value differ in real estate, the insurance policy and the decision of the judge can vary, he said. I thought it is only natural that people choose to take legal action rather than settling it out of court.

When I was a junior reporter, I used to spend most of my days with cops at police stations. I befriended older police officers. But I overlooked the frustration and grudges that the accusers and the accused felt. I had no idea the officer sitting in front of them was as fearful as the king of the netherworld. After I left the national desk and covered other fields, I realized that the police station and agency were scary places. I had been reckless and bold.

Prime Minister Kim Hwang-sik hosted the “Building a Healthy Society” meeting at the annex of the Central Government Complex on Wednesday, and excessive litigation became a topic of discussion. In 2009, 623,700 people were sued, and in 2010, 514,800. The number was 555,000 last year. It is approximately 55 times the number of lawsuits in Japan, whose population is larger than Korea’s. As of 2010, the number of accused per population of 100,000 in Korea was 146.4 times that of Japan. People tend to rely on investigative authorities to resolve unreasonable business practices, inefficient civil lawsuits and damage compensation. But a more fundamental reason is the generally poor level of trust in society.

Foreign statistics showed that the number of operations increased as the number of doctors increased. Some are concerned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lawyers encourages lawsuits. Reconsideration of legal services for the people in the legal blind spot is the desirable direction. At the meeting, the case of “Legal Home Doctor” by the Gangseo District Office in Seoul was presented. Twenty counselors who graduated from law school were designated as legal home doctors this year and have been assigned to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social welfare committees. Geun Yun-hwa, 29, of the Gangseo District Office, was one of them. She persuaded a landlord to apply for an eviction order instead of raising a lawsuit against a tenant who did not pay rent. A person with a first-grade disability was excluded from welfare benefits as he was registered as an owner of a stolen car in an identity theft case, and Geum helped him resolve the issue through a civil suit for automobile ownership transfer. When can we break away from the shameful title of “Lawsuit Nation?” We say the worst reconciliation is better than the best decision.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지인인 교통사고 피해자의 가족이 "가해차량 보험사를 상대로 고소하려 하는데 혹시 아는 변호사 있느냐"고 물어왔다. 법률을 전공한 친구에게 전화하니 "교통사고 배상은 소송을 통하면 더 많이 받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땅값도 공시지가와 실거래가가 다르듯, 보험사 약관과 판사의 종합적 판단은 아무래도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이래서야 소송이 줄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자 초년병 시절 새벽부터 밤중까지 경찰서를 집 삼아 돌아다닐 때는 형사들이 가족이나 동료처럼 여겨졌다. 나이 지긋한 분에게도 "형님"이라 부르며 허물없이 굴었다. 고소인 또는 피고소인 신분으로 경찰서에 불려온 그 많은 사람들이 품고 있을 억울함·원한·분노를 당시엔 간과했다. 마주 앉은 경찰관이 염라대왕처럼 느껴진다는 것을 몰랐다. 그러나 사회부를 떠나 다른 분야들을 취재하면서 경찰서·검찰청이 얼마나 '무서운' 곳인지 새삼스레 실감하게 됐다. 예전엔 간이 배 밖에 나와있었던 셈이다. 하긴, 화투판에서조차 '광은 경찰서 앞이라도 일단 먹고 봐야 한다'는 격언(?)이 돌지 않는가.
12일 서울정부청사 별관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건강한 사회 만들기' 보고회에서 우리나라의 무분별한 고소 행태가 다시 화두로 등장했다. 고소가 접수된 대상 인원이 2009년 62만3700명, 2010년 51만4800명, 작년엔 55만5000명이나 된다. 인구가 훨씬 많은 일본의 55.2배다. 10만명당 피고소인 수로 따져도 일본의 146.4배다(2010년 기준). 대한민국 육군 병력 50만명 보다 많은 인원이 매년 경찰서에 불려다니는 것이다. 비합리적인 거래관행, 민사소송의 비효율성, 피해구제를 수사기관에 의지하려는 경향 등이 지적되지만, 아무래도 한국이 총체적인 저(低)신뢰사회라는 점이 가장 근본적인 원인일 듯하다.
의사 수가 느니 수술 건수도 늘더라는 외국 통계가 있듯이, 변호사 증가가 고소·고발을 더욱 부추길 것이라고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다. 법의 사각지대에 있던 서민층에 대한 법률서비스 제고가 올바른 방향일 것이다. 그제 보고회에서는 서울 강서구청의 '법률 홈닥터' 활용 사례가 발표됐다. 로스쿨을 졸업한 변호사 20명을 올해 5월 법률 홈닥터로 선정해 지자체·사회복지협의회 등에 배치했는데, 강서구청의 금윤화(29) 변호사도 그중 한 명이다. 금 변호사는 월세를 내지 않는 세입자를 고소하려던 집주인을 설득해 건물명도청구 소송으로 해결하도록 했고, 대포차 소유자로 엉뚱하게 등록돼 복지혜택에서 제외된 1급 장애인에게도 고소 대신 민사(자동차소유권이전등록 소송)로 문제를 풀게끔 도왔다. 우리가 언제쯤 '고소 공화국'의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최상의 판결보다 최악의 화해가 낫다'는데 말이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