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xury goods aren’t classy
Published: 06 Jan. 2013, 19:37
As the Lunar New Year approaches, department stores are rolling out expensive luxury gift sets, including a 2 million won ($1,880) set of 10 dried yellow corvinas. I thought it was a joke, but I confirmed that the online shopping site was actually selling the set. The most expensive gift set, the “Special Dried Yellow Corvinas from Beopseongpo Yeonggwang, Set #4,” was priced at 2.47 million won at Lotte Department Store. The description indicates that it was a limited, one-time sale for the “best exclusive delicacy prepared by the masters.”
How many people can afford to pay 200,000 won for a fish no matter how delicious and special it may be? It is not some luxury Chanel or Prada handbag that you can show off. The fish will be gone after you consume it. If I were served such expensive fish, I would get nervous and get sick. Not many people would pay their own money for the fish, so most of them would be used as gifts. But they are likely to be more of a bribe than a holiday gift.
The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driven by vanity is called “the Veblen effect.” For some goods, the demand goes up as the price increases. American economist and sociologist Thorstein Veblen wrote in his 1899 book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that the upper class senselessly engages in conspicuous consumption to show off their social status. While it is unclear if the demand for the expensive fish set can be explained with the Veblen effect, it is true that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luxury goods is a common trend in Korean society.
A few years ago, The Wall Street Journal quoted a report by global consulting firm McKinsey and Company and called Korea most “luxury friendly.” According to the report, 46 percent of the Koreans responded that they spent more money on purchasing new luxury goods in the last year than before, far higher than Japan’s 6 percent, America’s 6 percent and the European Union’s 5 percent. The portion is even higher than China, where 44 percent of the respondents admitted that they spent more money on luxury goods. Some 22 percent of Korean respondents said that showing off luxury goods is in bad taste, while only 5 percent said they felt guilty about spending money on luxury brand items.
No one should be blamed for paying his own money to purchase certain goods. The luxury buyers may believe that an expensive price tag comes with better quality. The psychology of finding exclusivity, a sense of belonging and self-satisfaction from luxury goods is also understandable. But it is regrettable that Korea has turned into a sitting duck for foreign luxury brands. After a series of price increases, some handbags cost as much as a small automobile these days. In Northern Europe, showing off luxury goods is considered senseless and indicates a lack of self-esteem. It is very rare to find people conspicuously dressed in luxury items. Owning luxury goods does not make the owner classy.
* The author is an editorH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Bae Myung-bok
설 명절(2월 10일)을 앞두고 200만원짜리 굴비 세트가 나왔다고 한다. 굴비 한 갓(10마리)에 200만원이 넘는 고가의 상품인데도 찾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농담인가 싶어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가 보니 진담이다. L백화점 쇼핑몰에 전시돼 있는 굴비 세트 중 제일 비싼 ‘법성포 영광굴비 세트 특품 4호’의 가격은 247만2500원이다. 한시적으로 적용하는 특별 세일 가격이란다. ‘장인 정신이 만든 최고의 명품’이란 설명이 요란하다. 아무리 맛있는 명품 굴비라 한들 한 마리에 20만원이 넘는 굴비를 제 돈 내고 사먹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샤넬이나 프라다 핸드백도 아니고, 먹고 나면 없어지는 먹거리 아닌가. 부담스러워서 먹다가 체할 것 같다. 제 돈 주고 직접 사먹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고, 99% 선물용일 것이다. 하지만 이쯤 되면 선물보다 뇌물일 가능성이 크다.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때문에 수요가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베블런 효과’라고 한다. 미국의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1899년 출간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 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지각 없이 행해진다”고 말한 데서 유래한 용어다. 고가의 명품 굴비 세트가 잘 팔리는 것을 베블런 효과로 설명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우리 사회에 과시적 성격의 명품 소비가 많은 건 사실이다. 몇 년 전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은 국제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의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은 ‘럭셔리 프렌들리(luxury friendly)’ 국가”라고 보도했다. 세계에서 가장 명품 친화적인 나라란 것이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 새 명품 구매에 전보다 더 많은 돈을 썼다’고 응답한 한국인 비율은 46%로 일본(6%)이나 미국(6%), 유럽연합(EU·5%)은 물론이고 중국(44%)보다도 높았다. ‘명품을 과시하는 것은 나쁜 취향인가’라는 질문에 한국인은 22%만 ‘그렇다’고 대답했다. ‘명품 구매에 돈을 쓰면서 죄책감을 느낀다’는 응답률도 한국(5%)이 제일 낮았다. 과시욕이든 뭐든 제 돈 내고 제 물건 사는 걸 뭐라 할 순 없다. 비싼 만큼 제 값어치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특정 계층에 속한다는 소속감이나 자기 만족을 위해 명품을 구매하는 심리도 이해 못할 건 아니다. 하지만 그 바람에 한국이 해외 명품업체들의 최고 ‘봉’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은 좀 안타깝다. 눈 하나 깜짝 안 하고 수시로 가격을 올리다 보니 핸드백 하나 값이 소형 승용차 값과 맞먹기도 한다. 북유럽에선 명품을 자랑하면 모자란 사람 취급을 받는다. 자존감(自尊感) 부족이란 것이다. 그 탓인지 명품으로 치장하고 다니는 사람을 거의 볼 수 없다. 가진 물건이 명품이라고 사람도 명품이 되는 것은 아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