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p the revolving do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op the revolving door

The controversy over revolving door practices has once again been reignited after some cabinet minister nominees accumulated great wealth in the private sector after retiring from their government posts. They might deny any favoritism, but their hiring to high-paying large law firms or companies suggests they might have been rewarded for their connections to the government.

A cabinet minister is no simple government post. The rank carries heavy political symbolism and must draw respect and credibility from the people. But who would respect as a minister someone who sold their government experience in exchange for fat paycheck? Such a person may already be counting on an even better paying job when they finish this new stint in the country’s administration. What gives them the right to enjoy such privileges?

Some could argue that government officials are entitled to decent paying jobs after earning a meager wage for most of their career in the public sector. But that’s a selfish argument when you consider the job security and tax and pension benefits that civil servants enjoy compared to the average salary earner.

The revolving door practice is prevalent because the public sector wields too much power. The deep-seated tradition of favoritism and connections in the country also plays a part. When pushing for favorable rulings, licenses, legislation or regulations, retired bureaucrats are the best way to get insid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luence in the government. The collaboration among incumbent and former government officials and lobbyists keeps the revolving door spinning.

The government has made several attempts at stemming such practices, with little success. The Government Public Ethics Committee said in 2011 that it would disclose the new jobs of ex-government officials on its Web page, but has yet to do so.

Regulations are not going to stop the revolving door. Instead, there must be a mechanism to cut off corrupt connections. One way would be to legitimize lobbying activities. Former government officials could be hired through legitimate channels, like in the United States. Both their activities and those of incumbent officials could be better supervised this way. The moral standards of incumbent government officials need to be improved and closely monitored.

Most importantly, government officials should willingly continue to behave in an ethical manner after they retire. During an executive meeting at the ruling Saenuri Party, Chung Ui-hwa, the former vic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suggested that the contentious candidates return to their high-paying jobs. The nominees should take his advice if they do not want to cause problems for both the new government and themselves.



전관예우 받은 후보자, 자진 사퇴하길
관행의 뿌리는 전·현직-업자의 결탁
로비 양성화, 감시 강화 등 대책 내놔야

새 정부 각료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를 계기로 전관예우 관행이 도마에 올랐다. 공직을 그만둔 뒤 로펌이나 기업에 재취업해 큰 돈을 벌어들인 후보자들이 적잖기 때문이다. 본인들은 부인하겠지만 전관예우를 누렸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원래 법조관행이던 전관예우는 이제 낙하산·회전문 인사와 뒤섞여 경제·교육·국방 등 분야 불문하고 전체 공직자 사회로 퍼졌다.
각료란 일만 잘하면 되는 자리가 아니다. 정치적 상징성이 크므로 국민들의 신뢰와 존경도 중요하다. 그런데 금전적 혜택에 푹 빠져 있던 전직 공직자가 또 다시 장관 자리를 차고 앉는다면 국민들이 납득하겠나. 그렇게 장관이 된다면 퇴임 후엔 종전보다 더 두둑한 전관예우를 누릴 것 아니겠나. 염치 없는 이중과세(二重過歲)다.
일부에선 전관예우를 공무원 시절의 적은 봉급을 보상받기 위한 자기방어라고도 하지만, 이는 변명에 불과하다. 공무원으로서 누리는 안정성, 퇴직 후 연금혜택 등을 고려하면 대우가 박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전관예우가 광범위하게 퍼진 건 기본적으로 관(官)의 힘이 너무 큰데다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연고주의·온정주의가 만연한 탓이다. 사법권, 인·허가권, 규제권을 틀어쥔 관에 접근해 이해관계를 관철시키려면 공직자 출신만큼 효과적인 채널도 없다. 현직·전직·업자(민원인)의 담합구조가 곧 전관예우로 나타난 것이다.
정부도 이런 관행을 막기 위해 여러 번 대책을 내놨지만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했다. 2011년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 취업심사 결과를 인터넷에 공개한다고 했지만 1년8개월이 지나도록 못하고 있다.
물론 공직자의 재취업을 한꺼번에 틀어막으려는 촘촘한 규제는 현실적이지도, 효과적이지도 않다. 직업선택의 자유를 저해하고 사유재산권을 제한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종전의 규제는 소수 고위직의 과도한 전관예우를 막지도 못하면서 생계형 재취업에 나선 실무급 공무원들에게 애꿎게 피해를 주기도 했다. 실제 과거 일부 퇴직 공무원이 취업제한에 불복해 제기한 소송에서 법원은 직업선택의 자유를 우선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관예우 관행을 사후규제로 단번에 틀어막기는 어렵다. 이해관계의 고리를 자르기 위한 제도장치를 단계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예컨대 로비활동 양성화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전직 관료들의 로비활동을 떳떳하게 공개해 국민적 감시하에 두자는 것이다. 어중간한 규제보다는 미국식으로 로비활동을 투명하게 드러내는 게 차라리 낫다. 이와 함께 공무원의 부패에 대한 감시 강화는 기본이다. 전관예우는 궁극적으론 현직이 움직이는 탓에 일어나는 문제이므로 현직에 대한 감시는 늘 중요하다.
전관예우 당사자들의 현명한 처신도 필요하다. 어제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정의화 전 국회부의장도 이 문제를 지적하며 “조용히 판단해서 고액봉급자로 돌아가시는 것이 어떤지 제안한다”고 했다. 그의 말 대로 전관예우의 단물에 취해 있던 장관 후보자는 알아서 물러나는 게 험한 꼴을 피하는 길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