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 time to smell the hybrid ros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ake time to smell the hybrid roses

I went to see flowers at the rose greenhouse, or glasshouse, at th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Ochang, North Chungcheong. The trip was inspired by a short report on Kim Ju-hyeong, who was designated master of the local administration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afety for developing 26 indigenous rose species in the past 18 years.

I asked myself: indigenous roses, not wild roses or sweetbriers? I suddenly became curious. Since it is my job as a journalist to investigate, I didn’t hesitate to drive two hours to see the roses in person.

As I traveled to Ochang, I thought about the old house I grew up in. In my neighborhood, my house at the time was called the house with a rose fence. My mother had set up a fence and planted climbing roses. Every spring, the fence was covered with beautiful vines with red blooms. As a girl, I used to dream of my future as blooming like those roses.

When I arrived at the greenhouse last week, I had to first blame my lack of imagination when it comes to enhanced strains of wild roses or sweetbriers. Kim’s roses were of many colors and shapes - from the greenish Green Pearl to purple, orange, red, yellow and crimson varieties.

The so-called Sae-al, a mix of pink and white rose, is still in development, and Kim’s Hong is a clear, dark crimson - the familiar color we often saw on children’s ribbons in the old days when dyeing technology was not as advanced.

The shapes are not of the thorny wild roses or sweetbriers. Kim creates new breeds by mixing foreign varieties with indigenous kinds. After breeding repeatedly on average for eight years, he gets a new rose. Even when he begins with foreign seeds, it can be registered as an indigenous kind if the new breed is developed according to certain standards.

“No matter where the seed comes from, it becomes indigenous if we create a new breed and grow it in Korea,” he says. “Now, I wish we could export new varieties of roses for royalty.”

During the foreign currency crisis in the late 1990s, most Korean breeding companies were sold to foreign companies. As a result, we have had to pay a hefty amount for the seeds for many kinds of vegetables and fruits we enjoy every day. In an effort to recover sovereignty of breeds, our researchers across the country began to nurture new breeds one after another. Now, even indigenous roses - originally classified as foreign plant breeds - are being created in what amounts to a remarkable restoration of our sovereignty in seeds and breeds.

Perhaps I have been too immersed in busy routines, as I could have forgotten about the rosy dreams I had when I was young.

But even if my rosy dream had turned into something like a thorny cactus, I may soon be able to transform it into a new beautiful rose eight years later - if I breed it with a new rosy dream now.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좀 이른 꽃구경을 다녀왔다. 충북 오창에 있는 충북농업기술원 장미 온실로. 이곳에 가게 된 건 작은 기사 덕분이었다. 이 기술원 김주형 박사가 18년 동안 26종의 토종 장미 품종을 개발해 행안부가 선정하는 ‘지방행정의 달인’에 선정됐다는 내용이었다. 찔레꽃이나 해당화가 아니라 ‘토종 장미’란다. 듣기만 해도 매혹적이지 않은가. 궁금한 건 못 참고 달려가 확인하는 걸 업으로 살아온 터, 두 시간 거리 정도는 문제될 게 없었다. 게다가 장미를 보러 가는 길인데….
 토종 장미를 찾아 오창으로 가는 길, 어린 시절 옛집을 생각했다. 동네에서 우리 집은 ‘장미담장’ 집으로 통했다. 엄마는 큰길과 면한 담장을 철조망으로 만들고 양 옆에 넝쿨장미를 몇 그루 심었다. 이 녀석들이 봄이면 철조망 가득 빨간 장미를 피워내곤 했다. 계절이 바뀌면 장미도 졌을 터인데, 내 기억 속의 담장엔 언제나 장미가 만발해 있다. 그 시절, 장미 담장 안에서 나는 장미처럼 아름답고 화려하게 만개할 미래를 꿈꾸곤 했다.
 추억에 잠겨 들어선 온실에서 나는 먼저 내 상상력의 빈곤을 탓했다. 토종이라기에 기껏 찔레꽃이나 해당화 개량종 정도로 생각했으니 말이다. 한데 그곳엔 한복 색깔만큼 화려하고 다양한 색깔의 꽃들이 제각각 피어 있었다. 초록빛이 도는 ‘그린펄’부터 보라색·다홍색·붉은색·노란색·주황색. 아직 개발이 덜 됐다는 흰색과 핑크색이 섞여 있는 ‘새알’. 또 옛날 날염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 나왔던 아이들 댕기 색깔, 유치하고 촌스러운 ‘킴스홍’의 선명한 진다홍색은 정겹고 감동적이었다.
 생김새도 가시투성이 찔레꽃이나 해당화가 아니다. 그냥 장미다. 외래종과 찔레꽃 등을 두루 섞어서 신품종을 만든다고 했다. 육종을 거듭해 8년 정도 지나면 새 종자가 나온단다. 남의 씨앗으로 육종해도 품종 기준에 맞는 새로운 종자가 개발되면 토종 종자로 등록된다고 했다. 김 박사는 말했다. “씨앗은 어디서 왔든 우리나라 땅에서 우리가 만든 종자면 토종이죠. 이젠 종자를 수출해서 로열티를 벌고 싶어요.”
 외환위기 당시 국내 종묘회사들이 모두 외국 자본에 넘어간 후 우리는 매일 먹는 채소·과일 씨앗도 모두 로열티를 내고 사다 썼다. 그러나 지고는 못 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종자주권 회복’을 외치면서 여러 연구실에서 새로운 종자들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그러더니 이젠 외래종 식물인 장미까지 토종으로 만들고 있었다. 아~ 대한민국이다.
 이 와중에 든 상념 하나. 흐르는 일상에 치여 장미 같은 인생의 꿈은 잊은 채 가시 돋친 선인장처럼 되었어도, 다시 장미의 꿈과 육종하면 8년 후엔 새로운 장미로 피어날 수 있을까.
양 선 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