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ill waiting for an era of happines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ill waiting for an era of happiness

테스트

My family went on vacation last week. It was our first trip as a family in 10 years because we had devoted ourselves to getting our kids into college. We were so happy.

It sounds strange but I had always thought that happiness wasn’t a real thing that actually applied to me. We all know happiness exists, but no one knows what it really is, how to find it or how to enjoy it. We don’t know who is happy. Happiness is a strictly subjective phenomenon.

While we were away, I couldn’t be sure if my wife, daughter and son were happy. I wanted to ask but decided not to. If they said “yes,” everything would have been great. But I didn’t want to deal with the disappointment of a “no.”

Can money be translated into happiness? Happiness can be measured in money to a certain extent. An Australian team surveyed the correlation between life-changing events and happiness. Coming into an unexpected $20,000 dollars apparently boosts your happiness as much as getting married. If you lose $180,000 dollars, the level of misery is said to be similar to that of losing a child.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economist Richard Easterlin, the happiness index went up in 45 of 52 countries whose income increased over 25 years since the 1950s. During the period, income levels exploded in Korea, which is among the top 5 nations with the most dramatic jump in happiness.

But as income goes up, the effect on happiness becomes smaller. In the United States, where per-capita income is $40,000, life satisfaction actually went down between the year 2000 and 2006. If you make more than $75,000 a year, increases in income have little impact on happiness.

Moreover, the happiness you feel from an increase in income is relative. You’re happy when you get richer than other people. But you feel less happy if you find others are growing richer than you. Eduardo Porter wrote in “The Price of Everything” that when economic growth results in some people getting more, the happiness of the rest goes down as much as it goes up for the bigger gainers. He calls happiness a zero-sum game.

President Park Geun-hye has promised an era of happiness. Her definition of it is a variation on her father’s “Let’s get rich” slogan. She pledges to boost economic growth and make the country richer so that everyone gets happier. But in a country with a per-capita income of $20,000, economic growth is not enough. She needs to think further. She wants to begin the era of happiness, but her cabinet likely won’t be formed for over a month. The current situation may cause too much suffering to make it worth waiting to see if she can follow through on her promises.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i Jung-jae











지난주 휴가를 다녀왔다. 두 아이 입시에 치여 가족 여행은 10년 만이다. ‘행복했다.’ 이렇게 말해 놓고 나니 왠지 낯설다. ‘행복’이란 단어, 실체가 없는 거라 생각했다. 나랑은 관계없는 것, 존재는 하지만 알 수는 없는 그 무엇. 찾거나 누리는 방법도 모르는 것. 누가 가졌는지, 혹은 누구라도 갖고는 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것. 철저히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 등등….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자 불안해졌다. 아내와 딸·아들도 이번 휴가가 행복했을까. 묻고 싶었지만 그러지 않았다. “Yes”면 당연한 일, “No”면 괜히 속상할까 봐.
행복을 돈으로 환산할 수 있을까. 어느 정도는 ‘그렇다’. 호주의 한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통해 특정한 사건과 행복도의 연관성을 수치화했다. 이에 따르면 약 2만 달러의 공돈이 생기는 게 결혼과 비슷한 정도의 행복도 상승을 가져왔다. 반면 약 18만 달러를 잃는 것은 아들·딸을 잃는 것과 비슷한 불행감을 맛보게 했다.
돈이 많아지면 행복할까? 역시 어느 정도 ‘그렇다’.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의 연구에 따르면 1950년 대 이후 25년간 소득이 늘어난 52개 나라 중 45개 나라의 행복도가 높아졌다. 이 기간 소득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한국은 행복감이 극적으로 증가한 나라 5위 안에 들었다.
물론 소득에 비례해 행복이 무한히 늘어나진 않는다. 소득이 높을수록 행복 증가 효과가 준다. 1인당 국민 소득 4만 달러인 미국은 2000년~2006년 사이 삶의 만족도가 되레 줄었다. 연봉 7만5000달러가 넘어가면 소득 증가는 행복 증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게다가 소득 증가로 얻는 행복은 상대적이다. 남보다 더 부유해져야 행복하고, 남이 더 부유하면 내가 많이 벌었어도 덜 행복해 한다. 그 바람에 많이 벌었지만 불행해하기도 한다. 에두아르도 포터는『모든 것의 가격』에서 “경제 성장으로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보다 많은 몫을 가져가면 전자의 행복이 늘어난 만큼 후자의 행복이 줄어든다”며 “그런 의미에서 행복은 제로섬게임”이라고 했다.
‘국민행복시대’가 박근혜 대통령의 약속이다. 그가 말한 ‘국민행복’은 아버지 박 대통령의 ‘잘살아보세’에 ‘더’나 ‘다’ 같은 부사를 앞에 추가한 개념이다. 대략 ‘경제 성장으로 나라의 부를 늘려 모두가 행복해지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출범 초부터 이걸 갖고 단지 걸거나 뒷다리 잡을 생각은 전혀 없다. 하지만 소득 2만 달러짜리 나라에서 경제 성장은 행복의 필요조건일 뿐 충분 조건은 아니다.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게다가 행복시대를 열겠다며 출범한 정권이 정부 구성도 못하고 한 달을 넘기게 생겼다. 모두가 행복해지기 위한 진통이라 쳐도 좀 과한 것 아닌가.


이정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