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cret to welfare is in the VA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secret to welfare is in the VAT

The United Kingdom is considered to have a relatively low welfare level compared to other Northern and Western European nations. Unlike German and French universities, all British colleges require tuition payments from students, as much as £9,000 ($13,577) per year. While publ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offer free education, a high percentage of parents choose expensive private options, which charge about twice the university tuition. Eighteen percent of high school students are enrolled in such schools. Also, unemployment benefits aren’t very high - at £56 to £71 a week. Instead, the government offers medical insurance and comprehensive protection to those members of society who need it, such as the handicapped and refugees.

The tax rate in the U.K. is 28.4 percent, about 9 percent higher than it is in Korea. The VAT is 20 percent, twice Korea’s rate. The highest income tax rate - 50 percent - is levied on those with annual earnings of more than £150,000.

Still, the British government is struggling to provide welfare benefits. Lately, the government has been considering or has decided on a reduction in childcare subsidy recipients, selective senior heating subsidies, an integration of the senior pension and national pension and an exclusion of short-term foreign visitors from public medical service.

More tax revenue is needed to maintain the welfare benefits, but it’s not easy. The British government has lowered the corporate and income tax rates in order to prevent companies and individuals from relocating to other countries in the European Union with relatively lower tax rates, such as Ireland or Luxemburg. Recently, France attempted to drastically increase its tax rate for high-income earners, and many wealthy citizens moved to Belgium. So the only remaining option for the government is to increase the VAT. The U.K. increased it by 2.5 percent in 2011 and Finland upped its rate from 23 percent to 24 percent early this year.

When I met with Korean economic and financial ministry officials, I offered my opinion on the necessity of raising our VAT. A high-ranking official who has been appointed to a ministerial position said during his business trip last year, “A 2 percent hike in VAT would relieve the welfare concerns.” But many other career bureaucrats remain silent, probably because they don’t want to go against the president, who has opposed tax increases.

Some pundits say raising the VAT could lead to the collapse of the administration. But the move was handled without much trouble in the United Kingdom two years ago. Spending shrank initially but recovered after a few months. The government’s efforts to persuade the public worked because it was in its early days, when Prime Minister David Cameron’s approval rating was fairly high.

Welfare is war. The government needs a drastic strategy to get through the minefield of citizens’ tangled interests. A few days ago, I met Professor Chang Ha-joon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and he said Koreans would accept a tax increase if the government provides a convincing explanation on how desperate the welfare expansion situation is.

*The writer is the Lond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by Lee Sang-eon










영국은 다른 북·서유럽 국가들에 비해 복지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은 나라다. 우선 독일·프랑스 등과 달리 모든 대학이 학비를 받는다. 연간 최대 9000 파운드(1600만원)다. 공립 초·중등 학교는 무상이지만 학력 차이 문제 때문에 부모가 사립 학교(통상 학비는 대학의 두 배 가량)에 보내는 비율이 높다. 고교생의 경우 약 18%가 사립고 학생이다. 실업 수당도 그다지 많지 않다. 주당 56~71 파운드(9만4000~12만원)다. 대신 의료보장과 장애인·난민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 수준은 북유럽 못지 않다.
이런 영국의 조세부담률은 28.4%로 한국에 비해 약 9% 포인트가 높다. 부가가치세율은 20%로 한국의 두 배. 최고소득세율은 50%로 연간 15만 파운드(2억5000만원) 이상의 수입에 적용된다.
이 정도로 세금을 걷으면서도 복지에 허덕인다. 자녀 양육 보조금 지급 대상 축소, 노인 겨울 난방 보조금 선별적 지급으로 전환, 노인기초연금과 국민연금 통합 지급, 외국인 단기 체류자 공공의료 제공 대상에서 제외 …. 최근 결정되거나 검토되고 있는 사항이다.
복지 수준을 유지하려면 세수를 늘려야 하는데 방법이 마땅치가 않다. 영국 정부는 법인세율과 소득세율은 낮추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회사나 개인이 상대적으로 세율이 낮은 아일랜드나 룩셈부르크 등 유럽연합(EU) 내의 다른 나라로 주소지를 옮길지 모른다. 세원 자체가 줄어드는 일이다. 최근 프랑스에선 실제로 고소득자에 대한 소득세율을 크게 올리려 하자 부자들이 벨기에 등으로 거주지를 이전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남는 카드는 부가세 인상 정도 밖에 없다. 영국의 보수당 정부는 집권 다음해인 2011년 4월 부가세를 2.5% 포인트 올렸다. 다른 유럽국도 사정이 비슷하다. 핀란드는 올해 1월 부가세율을 23%에서 24%로 조정했다.
출장 온 한국의 경제·재정 분야 고위 공직자들은 ‘사견’임을 전제로 부가세율 인상의 필요성을 얘기했다. 최근 장관급으로 기용된 K씨는 지난해 런던 출장 때 “우리 정부가 부가세 2%만 올리면 복지 문제에 좀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금 그를 포함해 대부분의 전문 관료들이 입을 다물고 있다. 증세에 반대하는 통치권자의 뜻을 거스르지 않겠다는 심사인 듯하다.
흔히 부가세 인상은 정권의 몰락을 불러온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2년 전 영국에선 별 문제 없이 진행됐다.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수개월에 뒤에 회복됐다.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의 지지율이 꽤 높았던 집권 초기라서 정부의 설득이 먹혀 드는 분위기였다.
복지는 전쟁이다. 모든 국민의 이해득실이 얽혀있는 지뢰밭을 돌파하려면 과감한 승부가 필요하다. 수일 전에 만난 케임브리지대 장하준 교수(경제학과)는 “정부가 복지 확충의 절박함을 잘 설명하면 국민들이 증세도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언 런던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