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dex doesn’t bring happiness
Published: 05 Apr. 2013, 18:12
Purchasing power parity adjusts the misleading reality projected by GDP. The most notable is the Big Mac Index, which measures the level of living standards based on the price of the hamburger sold at the McDonald’s chain. A happiness index may be the second revised indicator of GDP. Former French President Nicolas Sarkozy was most active in developing a happiness index at the government level. In 2008, he commissioned two Nobel Prize-winning economists to come up with a way to measure happiness. But partly because his term ended, and also because the index is not easily defined, a visible result is yet to come.
The most well-known happiness index is the Gross National Happiness, or GNH. It was a concept that began in Bhutan, which aspires to become a poor yet happy country. Bhutan’s fourth Dragon King, Jigme Singye Wangchuck, said in 1974 that GNH was more important than GDP. The country with a per-capita national income of $2,000 measures GNH every two years and makes it an administrative objective. The attempt of Statistics Korea is ?an extension of supplementing GDP. There is no reason to criticize its intention to pay more attention to well-being and happiness. However, what worries me is that the agency is approaching the development of the index as it calculates GDP. Ironically, we want to measure happiness because we are not happy. We are struggling because we are trying to measure the immeasurable. When quantity, not quality, of happiness is measured, it may result in yet another index estranged from reality. It is not easy to come up with a fair way to calculate a happiness index any better than GDP, since a happiness index would inevitably reflect subjective satisfaction.
Instead of wasting energy on creating a new indicator, it would be better to make public more primary data of existing statistics, including GDP. As experts and the media dissect,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ata, we may be able to find more clues about why we are so unhappy. It also works well with the spirit of the time?. If gathering resources, making a system and producing a result was the way of the growth-driven era, the solution in the age of happiness can be found by sharing statistics and communicating with one another. We need democratization of statistical data first.
Another pitfall of a happiness index is that an indicator is bound to lead to comparison. Once the index is announced, we will work so hard to catch up with the countries with a higher happiness index. We may be faced with temptations. It is widely believed in academia that Bhutan’s GNH was fabricated to highlight the achievements of the king. When the king of Bhutan came up with GNH, he was only 19 years old. Not having a happiness indicator does not make us any more unhappy. So let’s not blame GDP, for it has done nothing wrong.
*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Young-hun
통계청이 국민행복지수를 만들겠다고 3일 밝혔다. 행복한 나라를 만들려면 기존의 국내총생산(GDP·Gross Domestic Product) 통계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사실 GDP에는 약점이 있다. 1934년 GDP를 실용화한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도 인정했다. “GDP는 국가 전체의 후생 수준을 보여줄 수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자연재해로 막대한 희생자가 생겨도 복구 관련 산업이 흥하면 GDP는 늘어난다. GDP 착시 교정의 첫 버전은 구매력 지수다. 국가별 물가를 감안한 햄버거 값을 통해 생활 수준을 가늠하는 빅맥 지수가 대표적이다. 행복지수는 GDP 교정의 2.0쯤 된다. 정부 차원의 행복지수 개발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인물은 니콜라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이다. 그는 2008년 두 명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에게 행복지수의 개발을 의뢰했다. 그가 물러난 탓인지, 지수 개발이 어려워서인지 아직 손에 잡히는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행복 지수의 최고봉은 국민총행복(GNH, Gross National Happiness)이다.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라는 부탄에서 시작된 개념이다. 74년 부탄의 4대왕 지그메 싱기에 왕추크가 “GNH가 GDP보다 중요하다”고 말하면서부터다. 1인당 국민소득 2000달러의 부탄은 2년에 한 번씩 GNH를 측정해 국정 지표로 삼는다. 통계청의 시도도 이런 GDP 보완책의 연장선에 있다. 고단한 삶을 더 신경 쓰겠다는 의도야 탓할 이유가 없다. 걱정스러운 건 지수 개발 발상이 지극히 ‘GDP식’이어서다. 행복지수 붐은 역설적으로 행복하지 않아서 시작됐다. 이는 측정되지 않는 것, 측정할 수 없는 것에서 나오는 아우성이다. 지수를 통해 이를 질이 아닌 양으로 바꾸는 순간, 또 다른 소외가 생기게 마련이다. 주관적 만족도가 많이 반영될 행복지수를 GDP보다 더 잘 만들기도 쉽지 않다. 새 지수를 만드는데 힘을 빼느니 GDP로 대표되는 기존 통계의 원시 데이터를 더 많이 공개하는 편이 낫겠다. 전문가·언론 등이 이를 쪼개고, 들추고, 파보면 ‘왜 행복하지 않은가’에 대한 실마리를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시대 정신에도 이게 맞다. 자원을 모아 체계화하고 결정체로 만드는 게 성장시대의 방식이라면, 통계 권력을 나누고 소통해서 해법을 찾는 건 행복시대의 해법이다. 통계 민주화부터 하라는 얘기다. 행복지수의 함정은 더 있다. 지수는 비교로 귀결되기 마련이다. 지수가 발표되면 행복 선진국 따라잡기 총력전이 시작될 것이다. 유혹도 있을 것이다. 부탄의 행복 지수는 왕의 업적을 자랑하기 위해 조작됐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GNH를 표명했을 때 부탄 왕의 나이는 불과 열아홉이었다. 행복 지표가 없어서 행복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러니 애꿎은 GDP를 탓하지 마라. GDP는 죄가 없다. 김영훈 경제부문 차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