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ve there’s no gender risk, pleas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ove there’s no gender risk, please

테스트

Lately, I was completely stunned by the expression, “gender risk.” A senior male journalist mentioned the term as we discussed President Park Geun-hye. It sounded as if the female president could be a risk factor for state administration - in other words, being a woman poses a risk as a state leader. He also said that men often say Park is struggling with a lack of communication and chaos over appointments because she is a woman.

So I asked my male colleagues if they feel the gender risk. Many of them said that times have changed, but a considerable number of them pointed out the following:

- Even pro-Park lawmakers criticize her failure to dominate the organization, and her obsession with justification and self-image seems a little strange to men.

- It seems that the president and her aides don’t know how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nsidering the ages of the male Blue House aid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don’t know how to communicate with their female boss.

- President Park displays some female characteristics that men find hard to understand. She talks without listening and gets upset when other people don’t listen to her, as we’ve seen in her address to the nation on March 4. She also nags her subordinates at the Blue House and in the cabinet and gives a 7,000-word order to them. Then, when she had to apologize, her apology lasted for only 17 seconds - and it was read by one of her spokespersons and in the name of chief of presidential staff.

- Lately, citizens are more worried about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style of the president than North Korea’s Kim Jong-un. It is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the entire nation is so worried about the president. If a male president was so lost, he would have evoked severe criticism, not just concern. President Park is actually enjoying a gender premium.

Now, I realize how unfamiliar a female president can be. But it may be too much to consider it a risk factor. Then, I learned of the passing of former British Prime Minister Margaret Thatcher. When I was young, she taught me that a woman can be a leader.

She fought strong opposition and addressed the “British disease” caused by excessive welfare. She also led the Falklands War and defended British sovereignty. Also, she has been domestically criticized for aggravating polarization. At any rate, it was Margaret Thatcher and her Thatcherism that rebuilt the British society, which male leaders could not save.

Thatcher was sneered at as former President Ronald Reagan’s soul mate. Her pro-American policy was criticized as she fully supported the foreign policy of Reagan,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fall of communism. The world is always ready to attack the femininity of female leaders anytime.

As I recalled memories of Thatcher, I realized that male and female leaders have different ideas and may take different paths to reach the same destination. Male and female leaders accomplish things in different ways, but it is not a risk factor or a reason for criticism. There is no gender risk. Now, President Park needs to prove that herself.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젠더 리스크(gender risk)’. 최근 들었던 말 중 가장 ‘확 깼던’ 단어다. 한 남성 선배가 박근혜 대통령 얘기를 하면서 한 말이다. 대통령이 여성인 게 국가운영의 위험요인일 수 있다는 말, 한 마디로 ‘여자라서 어쩔 수 없다’는 말로 들렸다. 남자들끼리 모이면 ‘대통령의 불통과 인사 난맥상 등이 여자라서 그렇다’고 쑥덕거린다고도 했다. 그래서 남자들에게 물어봤다. ‘젠더 리스크’를 느끼는지. 상당수가 “지금이 어느 때인데…”라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무시 못할 일부는 이런 지적을 했다.
-친박계 의원들이 앞장서 비판할 정도로 조직 장악을 못하고, 명분과 자기 이미지에만 집착하는 모습이 남자들에겐 낯설다.
-대통령과 참모들이 서로 소통방법을 몰라서 헤매는 것 같다. 청와대 남성 참모들의 연령대로 볼 때 여성 상사와 소통방법을 모를 가능성이 크다.
-박 대통령은 ‘남자에겐 이해하기 힘든 여자의 특징’을 보여준다. 듣기보단 자기 말만 하고(불통 이미지), 자기 말을 들어주지 않으면 화부터 내고(3월4일 대국민담화), 잔소리가 많고(7000자 분량의 지시사항), 사과에 인색한 모습(17초 사과) 등이다.
-국민들은 요즘 북한 김정은보다도 대통령의 국정운영방식을 더 걱정한다. 이렇게 온국민이 대통령을 걱정하는 사태는 건국 이래 처음일 거다. 남성 대통령이 이 정도 헤맸다면 국민이 걱정만 했겠나? 박 대통령은 오히려 ‘젠더 프리미엄’을 누리고 있다.
이로써 여성 대통령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는 건 알았다. 하지만 이를 위험요소라고 하기엔…. 그러다 마거릿 대처 전 영국총리의 타계 소식을 들었다. 그는 내 사춘기 때 여성도 총리를 할 수 있다는 걸 깨우쳐준 인물이다. 그리고 많은 저항에도 복지주의에 길든 영국병을 고쳤고, 주변국의 우려에도 포클랜드 전쟁을 감행해 영유권을 지켰다. 물론 영국에선 양극화를 심화시켰다는 등의 비난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어쨌든 남성들이 구하지 못했던 영국 사회를 다시 일으켜 세운 것은 여성 총리 대처였다.
대처는 ‘레이건의 애인’이라는 비아냥도 들었다. 당시 공산주의 몰락의 주역이었던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과 외교 노선을 함께 하는 등의 친미정책에 대한 비난이었다. 이렇게 세상은 여성 지도자에게 틈만 나면 여성성을 무기로 공격할 준비가 돼 있다. 대처의 기억을 더듬다 깨달았다. 여성과 남성 지도자는 발상의 방식이 다르고, 목적지는 같아도 가는 길과 방법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 남녀 지도자는 다른 방식으로 성취할 뿐, 그게 위험요소도 욕먹을 일도 아니라는 것이다. 젠더 리스크는 없다. 이젠 박 대통령이 이를 증명해주길 바란다.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