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in Korea’ has a nice ring to it
Published: 15 Apr. 2013, 21:04
That day, my mother bought two empty jars of Gerber baby food. The world-famous purveyor of baby food, with over 80 years of history, features a portrait of a blue-eyed baby on the packaging. At the time, Gerber containers were extremely popular among Korean homemakers, who used the glass jars to pack lunch items, especially kimchi. A container made in Korea almost always leaked, even if you wrapped it with plastic and rubber bands. The liquid from kimchi would often leak and ruin the bag. But Gerber jars were different. They lasted several months without leaking a drop. They exuded perfection, and that’s why you had to pay tens of won for an empty jar in the days when you could read comic books all day for 10 won ($0.01). “Made in America” was the symbol of the best, most coveted products.
Over several decades, goods made in the U.S.A. were replaced by products manufactured in Japan, Germany and then China. Now, the United States is dreaming of a return to those glory days. Factories that moved to other countries are coming back, and a numb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product (ICT) products are produced in the United States. Google announced last month it would produce Google Glass - an ambitious wearable computer to be released this year - in California. At the end of last year, Apple decided to spend $100 million to relocate its PC manufacturing line back to America. GE CEO Jeffrey Immelt built a new appliance manufacturing plant in Kentucky and declared the era of outsourcing ended. The resurrection of “Made in U.S.A.” is what Boston Consulting Group calls “insourcing” and U.S. President Barack Obama dubbed “a renaissance in American manufacturing.”
Is a revival really possible? Lately, optimistic views are spreading. First, the wage level in China is rising fast. In 2000, the average wage in the United States was 22 times that of China. But by 2015, American workers will be four times more expensive. Second, the economic slump made it more important to add jobs in the United States than producing at cheaper cost in China. Third, high-tech products require design and advanced technology, and it is a competitive edge if the manufacturing site is closer to headquarter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ir U.S. counterparts, Japanese companies are also making a “U-turn” under Abenomics.
How about Korea? We are still seeking outsourcing opportunities. Justifications include labor-management struggles, elevating inter-Korean tension and political attacks on corporations. So it is worrisome that we may leave goblin markets and admiration for American goods to the next generation, along with the slogan “Let’s use domestic products!”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i Jung-jae
‘미제라면 X도 좋다’던 시절, 남대문 시장은 별천지였다. 가끔 어머님 손에 끌려 도깨비 시장을 찾곤 했다. 지금의 남대문 수입상가다. 그땐 주로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물건들을 팔았다. 왜 도깨비일까. “진짜 도깨비가 있어요?” “그럼. 뭐든 있지.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 도깨비 방망이처럼.” 아하, 그렇구나. 초콜릿, 땅콩 버터, 시레이션…. 정말 없는 게 없네. 어린 마음에 도깨비=미국이었다. 그날 어머님은 거버 이유식 빈 병 두 개를 샀다. 80년 전통의 세계적 이유식 거버. 파란 눈의 갓난아이가 활짝 웃고 있는 그 거버다. 당시 주부들 사이에 거버 병은 도시락 반찬통으로 인기 절정이었다. 특히 김치를 싸는 데 유용했다. 한국 병은 어떻게 해도 국물이 샜다. 비닐로 싸고 고무줄로 몇 겹을 묶어도 결국 흘러나온 김치 국물이 책가방을 벌겋게 물들이기 일쑤였다. 거버 병은 달랐다. 최소 몇 달간은 국물 한 방울 안 샜다. 이런 완벽함이라니. 그래서 빈 병 하나에 몇 십원씩 하는구나. 단돈 10원이면 하루 종일 만화책을 볼 수 있던 시절에. 메이드 인 아메리카, 미제는 완소품, 최고의 상징이었다. 그 미제가 일본·독일에 밀리고 메이드 인 차이나로 대체된 지 수십 년, 다시 옛 영광을 꿈꾸고 있다. 밖으로 나갔던 공장들이 돌아오고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의 미국 생산이 속속 결정됐다. 구글은 연내 선보일 야심작, 안경형 컴퓨터 구글 글라스를 캘리포니아에서 만들겠다고 지난달 발표했다. 지난해 말엔 애플이 1억 달러를 들여 PC 생산라인을 미국으로 옮겨오기로 했다. GE의 CEO 제프 이멜트는 켄터키에 새로 냉장고·세탁기 등 백색가전 공장을 짓고 “아웃소싱의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보스턴컨설팅 그룹은 ‘인소싱(Insourcing)’,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제조업 르네상스’라 부르는 메이드 인 아메리카의 부활이다. 미제의 부활은 과연 가능한가. 부쩍 낙관론이 늘고 있다. 근거는 첫째, 중국의 임금 상승이다. 2000년 미국의 평균 임금은 중국보다 22배 비쌌지만 2015년에는 4배 비싼 수준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둘째, 오랜 경기 침체로 중국산 싼 물건보다 미국 내 일자리가 더 중요해졌다. 셋째, 최첨단 제품 생산엔 디자인과 기술이 중요하다. 본사와 생산지가 가까울수록 경쟁력이 높아진다. 그래서일까. 일본 기업까지 요즘 아베노믹스를 빌미로 부랴부랴 U턴 중이다. 우리는 어떤가. 여전히 아웃소싱에 목말라 있다. 뒤틀린 노사관계, 긴장의 남북 대치, 정치권의 기업 때리기… 이유는 많다. 그래서 걱정이다. 이러다 또 후대에 도깨비 시장과 ‘미제의 추억’이나 물려주는 건 아닐까. ‘국산품 애용’이란 구호까지 덤으로. 이정재 논설위원·경제연구소 연구위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