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empty slogans, please
Published: 17 Apr. 2013, 19:42
Both the ruling party and main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 competitively came up with commitments for political reform during their campaigns for the December presidential election. They vowed to relinquish their extraordinary privileges as lawmakers, starting with giving up immunity from arrest during legislative sessions. They also pledged to not take salaries when they aren’t working in the National Assembly, downsize their hefty pensions after retirement, bar legislators from having a second job and cut their annual allowances, all as a gesture to meet the growing demands of the times.
But we wonder what they did for the last four months. The Saenuri Party has only kept their promise not to nominate candidates for municipal elections. That’s all. But if the opposition party says no to the ruling party’s idea, it could hardly be realized. Lawmakers from both sides of the aisle promised to revamp their extravagant pension systems, but they have backpedaled to maintain their privilege. That’s not all. As it turns out, the ruling party’s rosy slogan of “balanced appointments for high-profile government offices” without taking regional and factional factors into account was only a strategy for election victory.
We are seriously wondering if the spectacular array of commitments toward political reform was just bait to get more votes in the election and if they really were determined to revamp the political establishment. That’s why all the pledges look like bounced checks.
In fact, political reform is not a difficult concept. It’s about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politicians and citizens. Shifting the axis of politics from politicians to the people is political reform and advancement. There is a broad consensus on how to achieve it: Lawmakers’ extravagant privileges must be limited and a reform on the party, legislature and election systems is a must.
There are few, if any, disagreements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camps. The only question is whether they have a strong enough will to put it into action. Both parties must enact their reform pledges and implement them quickly. Political reform based on empty rhetoric is a political regression.
어제 새누리당의 박재창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이 향후 여당이 추진할 정치쇄신의 방향을 공개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없지만 정치쇄신안을 구체적인 제도로 현실화하려는 노력 자체는 평가할 만하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지난해 대선 유세 기간 중 정치쇄신 공약을 경쟁적으로 내놓은 바 있다. 예컨대 국회의원의 특권을 내려놓겠다며 불체포 특권 포기, 무노동·무임금 적용, 연금제도 개선, 겸직 금지, 세비 삭감 등 갖가지 약속을 했다. 정당과 국회가 자신을 위해 쌓은 특권의 성(城)을 스스로 허물겠다는 의사 표시였다. 하지만 대선이 끝난 지 4개월이 되도록 여야는 도대체 무엇을 실천했나. 새누리당이 기초단체 선거에 정당공천을 하지 않겠다는 공약을 우여곡절 끝에 겨우 지킨 것 정도 아닌가. 다만 이것도 민주당의 호응이 없어 실질적 효과를 거둘지는 의문이다. 또 국민적 비난의 대상이었던 국회의원 연금도 손 보겠다고 했으면서, 올해 예산에 그대로 집어넣어 존속시키지 않았나. 그뿐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했다 흐지부지된 탕평인사 역시 대선 직전 정치쇄신 차원에서 내놓은 것 아니었나. 이쯤 되면 정치쇄신 공약이 선거 때 유권자의 환심을 사기 위한 ‘미끼상품’과 뭐가 다른가. 여야 모두에게 쇄신의 진정성이나 실천 의지가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거창했던 쇄신 공약들이 국민의 눈엔 부도수표로 비치는 것이다. 정치쇄신은 어려운 개념이 아니다. 기본 방향은 국민과 정치의 거리를 좁히는 일이다. 정치의 축을 정치인에서 국민으로 옮기는 작업이 곧 쇄신이요, 정치 선진화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국회의원의 특권 제한, 정당·국회·선거 제도의 개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엔 이미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에 대해선 여야 간에도 이견이 별로 없는 상태다. 실천할 의지가 있느냐의 문제다. 차제에 여야는 국민에게 약속했던 정치쇄신안을 국회 차원에서 논의해 하루빨리 법제화하고 실천해야 한다. 말로만 요란한 정치쇄신은 오히려 정치적 퇴행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