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paradox of springtim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great paradox of springtime

테스트

Every April, as spring comes, TS Eliot’s poem “The Waste Land” is cited. The famous opening line goes, “April is the cruelest month, breeding/ Lilacs out of the dead land, mixing/ Memory and desire, stirring/ Dull roots with spring rain. Winter kept us warm, covering/ Earth in forgetful snow, feeding/ A little life with dried tubers.”

The poem drew renewed attention as the newly appointed head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Prosecutors’ Office quoted it as he took the office. It was interpreted as meaning that he will launch a full-scale investigation. It makes sense since he said “winter kept us warm” when spring is already here. So people speculate that it may be his way of warning criminals that harsher punishments are to come.

But if you look closer, the poem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The Waste Land” is a poem about the impudence of spring. In fact, spring does not deserve credit for the new buds and sprouts. They spring up only because winter has endured laboring pain in severe cold to keep the seeds and roots. But people forget about the merits of winter and praise spring only. What we must not forget is the paradox of life hidden behind the spectacular festivity - the secret of spring’s conception.

The more extensive investigations become, the greater the pain will be. As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financial authorities began probes, the rental of safe-deposit boxes, bank withdrawals and the sale of gold increase drastically and a shortage of 50,000 won bills begins. There is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money is kept in safe-deposit boxes and closets, not banks. The banks will hand over their transaction information to the National Tax Service, so even law-abiding citizens feel insecure. If you earn more than 20 million won ($17,794) in interest and dividends, you will have to pay more tax. So it is one less reason to keep money in the bank. Although such moves are not desirable, it is the reality.

There’s another paradox. What will happen if a law is passed to prohibit conglomerates from reducing order prices even if they run deficits? The conglomerates will not make long-term contracts with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ey will seek overseas providers who can supply at cheaper prices. The goodwill to help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ill backfire and destroy them. So, a strong focus on law and punishment will lead to catastrophic results most of the time.

TS Eliot’s “The Waste Land” is similar to the lament of Wang Zhaojun, a woman who met a tragic fate in the Western Han Dynasty in China more than 2,000 years ago. “As the barbarian land does not have flowering grasses even when spring comes, it doesn’t seem like spring.” As long as the paradox of laboring pain hidden under festivity is not remembered, spring on this land cannot be spring. Especially this year, April does not seem like spring.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Young-ook











4월의 봄이 오면 꼭 인용되는 시가 있으니, 토머스 엘리어트의 ‘황무지’다.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도 라일락이 자라고 추억과 정염이 뒤섞여 잠든 뿌리가 봄비로 깨어난다. 겨울이 차라리 따스했거니”로 시작하는 그 시 말이다. 이걸 얼마 전 서울중앙지검장이 취임사에서 인용하면서 다시 화제가 됐다. 대대적인 사정 수사를 암시한 것 아니겠느냐는 해석에서다. 하긴 그리 볼 법도 하다. 봄이 왔는데도 “겨울이 차라리 따스했거니”라고 노래해서다. 범죄자들이여 기다려라, 겨울이 따뜻하다고 생각되도록 만들어줄 테니, 뭐 그런 의미가 아니겠느냐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 시를 좀더 들여다 보면 다른 해석도 가능하다. 황무지는 원래 봄의 몰(沒)염치성을 노래한 시다. 봄철에 움과 싹이 새로 돋는 건 사실 봄의 공로가 아니다. 혹독한 추위 속에 씨앗과 뿌리를 건사해온 겨울의 기나긴 산고(産苦) 때문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겨울의 공은 잊은 채 봄만 찬양하지 않는가. 우리가 잊어서 안 되는 건 바로 이 같은 역설(逆說)이다. 화려한 축제 뒤에 가려져있는 잔인한 잉태의 역설, 봄이 간직한 그 비밀 말이다.
그래서 하는 얘기다. 사정과 수사가 대대적일수록 그 이면에 가려져 있는 산고는 더 커진다는 걸. 보라. 국세청과 금융당국이 칼을 휘두르니 금고가 대량 판매되고, 은행에서 예금인출이 급증하고, 금 판매가 크게 늘고, 5만원권 지폐가 태부족하다지 않는가. 돈이 은행이 아니라 금고와 장롱으로 몰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은행과 거래한 정보를 국세청에 통째로 넘겨준다니 설령 죄가 없어도 불안할 수밖에. 이자와 배당 소득이 2000만원을 넘어서면 세금을 더 내야 하니 은행에 맡길 이유도 줄었기에 벌어지고 있는 모습들이다. 이런 행태가 바람직하다는 건 절대로 아니다. 현실이 그렇다는 걸 말하고 싶을 뿐이다.
역설은 또 있다. 대기업이 아무리 적자를 보더라도 납품대금을 깎아선 안 된다는 법이 통과되면 대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대기업은 중소기업과 장기 거래를 하지 않는다. 납품선은 국내가 아닌 해외로 돌릴 게 뻔하다. 중소기업을 돕겠다는 선의가, 실제론 중소기업을 망가뜨리는 악의로 변한다는 거다. 그러니 법과 칼이 펼치는 화려한 축제는 이처럼 대부분 참담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엘리엇의 ‘황무지’는 2000여년 전 전한(前漢)시대 비련의 여인이었던 왕소군의 한탄과 막바로 연결된다. “오랑캐 땅에는 꽃도 없으니 봄이 와도 봄이 아니다(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라는 회한 말이다. 축제 뒤에 가려진 산고의 역설을 기억하지 못하는 한 이 땅의 봄은 결코 봄일 수 없다. 특히 올 4월은 여러 모로 더 그렇다. 모든 사람에게 진짜 봄이 오기를!


김영욱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