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oiding the retirement age trap
Published: 24 Apr. 2013, 19:47
Longer working lives can prepare society for a shrinking working population in an aging society and create economic benefits by utilizing veteran skilled workers. The age change could lessen the financial squeeze felt by Koreans for nearly 10 years after retiring between 55 to 58 before they reach the eligible age to collect pensions.
Both the ruling Saenuri Party and main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 have competitively pledged to raise the retirement age during the presidential campaign. But the parties hurriedly reached a bipartisan agreement on legalizing the change without thorough study and debate. Japan, which attempted to raise the retirement age in 1994, only did so in 1998 after 90 percent of companies gradually accommodated the move.
It is also unclear whether retirement changes would evenly benefit workers. Civil servants and employees in the public sector already retire around 60. Private companies commonly set retirement between 55 and 58, but in reality, workers leave at 53 on average. The change in the legal retirement age could ensure jobs in the public sector and for unionized employees of large companies. But they make up a mere 10 percent of the working population.
Extended working years could also lead to fewer job openings for young people, worsening generational conflicts. In Japan, companies have become old because nearly half of the businesses cannot afford to hire young people due legal obligations related to the retirement age.
What matters most is whether companies can handle the extra cost and burden themselves. The bill leaves room for management and labor to restructure wages following the retirement age change. But the labor sector already proclaimed that wages are not negotiable. We also have to consider the traditional wage benefits according to working years. An employee who has worked more than 20 years earns nearly twice as much as a newcomer in his or her 20s.
Without provisions allowing incremental decreases in salary after a certain age while guaranteeing jobs until retirement, few companies could survive very long. Public and large companies may somehow get by, but smaller companies won’t be able to afford the labor costs.
Even with a bipartisan consensus, the bill should not be hastily approved.
Parties representing labor, management and politicians should further discuss the issues so that they can reach a broader consensus that will benefit society as a whole.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정년을 60세까지 연장하는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큰 흐름으로 보면 정년 연장은 세계적 추세다. 고령사회의 노동인구 감소에 대비하고 숙련된 인력을 재활용하는 긍정적 측면이 적지 않다. 퇴직 이후 연금을 받기까지 10년간의 보릿고개를 넘는 안전장치이기도 하다. 되짚어보면 정년연장은 여야가 앞다투어 내건 대선 공약이었다. 하지만 충분한 논의와 숙려(熟慮)기간을 생략한 채 불쑥 정년을 연장하면 우리 사회가 그 충격을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1980년대에 정년 연장을 시도한 일본도 90% 이상의 기업이 적응한 98년에야 60세 정년을 의무화했다. 정년 연장의 혜택이 골고루 돌아갈 지도 불투명하다. 이미 공무원과 ‘신의 직장’들은 거의 60세로 정년이 올라가 있다. 이에 비해 민간기업들은 55~58세 정년이 많지만 실제로 퇴임 연령이 평균 53세에 불과하다. 따라서 정년 연장의 실익은 공기업과 대기업 정규직 노조원 등 10% 안팎의 기득권층에만 집중될 수 있다. 선진국들처럼 정년 연장으로 신입사원의 채용 문호가 좁아져 세대간 갈등을 부를 소지도 배제하기 어렵다. 일본은 절반 가까운 기업들이 정년 연장에 따라 청년층을 고용하지 않아 기업 노화(老化)를 재촉하고 있다. 무엇보다 문제는 기업들의 체력이다. 개정 법률은 사업주와 노조가 임금체계 개편을 할 수 있도록 규정했지만, 노동계는 “임금 조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선을 긋고 있다. 여기에다 우리 사회의 뿌리깊은 연공서열도 생각해야 한다. 근속기간 20년 이상이면 20대 근로자보다 임금이 평균 1.89배나 높다. 정년은 보장하되 일정 연령이 지나면 급여를 삭감하는 임금피크제가 뒷받침 안 되면 기업들만 죽어난다. 공기업·대기업이야 여력이 있을지 몰라도 중견·중소기업들은 그 충격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정년 연장은 여야가 합의했다고 함부로 입법으로 강제할 사안이 아니다. 지금이라도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