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land is not ours alon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is land is not ours alone

테스트

“No one appreciates my contribution, and no one tried to understand me. I never expected anyone to recognize me, and I’ve never been boastful. But I’ve never had a grudge against anyone or had any regret. We thought we had to do it and we did it. My dear nation, please take my youth. I fall while defending the nation from enemies for the beautiful future of the next generation. I have no regret.”

An unknown student soldier who was killed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left behind a letter. Every line penetrates deep into the heart. The 2013 information session on the Korean War KIA Recovery and Identification Project was held at the National Defense Club on April 30, and a video describing the letter was shown to more than 20 attendees, including families of people killed in the war, members of the Recovery and Identification Team (RIT) and forensic scientists. When the letter was read over black-and-white footage of the Korean War, some relatives shed tears. Their tears have not dried up even to this day.

The rusty helmets, rifles, empty cartridges, bayonets and shovels excavated by the RIT were exhibited at the entrance. A total of 162,374 ROK soldiers were killed or went missing during the Korean War. Only 29,202 bodies were recovered and buried at the National Memorial. There are 133,172 soldiers whose remains are unrecovered. The lonely souls are lying in some remote valley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he excavation and recovery of the soldiers killed in the Korean War is a fight against time. It’s been 60 years since the truce and the recovery and identification process will become harder as time goes by. Large parts of our land have been developed and covered with cement, making excavation impossible. Fortunately,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elevated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War KIA recovery and identification as a government-level project.

Beginning with excavations in Pohang and Mungyeong on March 4, the hunt for soldiers killed in action came into full swing. Last year, military authorities identified 993 bodies of ROK soldiers across the country. Moreover, the remains of two United Nations soldiers, 19 North Korean soldiers and 31 Chinese soldiers saw the light of the day after 60 years. 198 bodies have already been recovered. Six additional remains were found two days ago and six more were recovered yesterday in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Chilgok,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Yangju, Gyeonggi Province. The land we live in does not belong to us entirely. The lives and deaths, blood and sweat, cries and cheers of people who lived in the past permeate every corner of the land. Thanks to their sacrifices and devotion, we have been able to come this far. We must honor them.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아무도 알아주지 않았다 / 아무도 알려고 하지 않았다 / 알아주기를 바라지도 않았다 / 자랑도 하지 않았다 / 그렇다고 누구를 원망하거나 / 후회해본 적은 더더욱 없다 / 우리는 그때 그렇게 해야 한다고 / 생각했고 그리고 그렇게 했다 / 내 살던 나라여! 내 젊음을 받아주오 / 나 역시 이렇게 적을 막다 / 쓰러짐은 / 후배들의 아름다운 날을 위함이니 / 후회는 없다’
 6·25 때 전사한 어느 무명 학도병이 남긴 것으로 알려진 편지 내용이다. 편지의 정확한 출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한 줄, 한 줄이 가슴을 파고든다.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구 국방회관에서 열린 ‘2013년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 설명회’에서도 이 글이 동영상을 통해 소개됐다. 전사자 유가족,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법의학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자리였다. 6·25 당시의 전투 장면 흑백 영상과 함께 편지 글이 소개되자 대부분 60대 이상인 유가족 중 몇몇은 끝내 눈시울을 적셨다. 아직도 눈물은 마르지 않았다.
 설명회장 입구에는 그간 유해발굴감식단이 발굴한 녹슨 철모·소총·탄피·대검·야전삽 등이 전시됐다. 한국전쟁 당시 국군 전사·실종자는 총 16만2374명. 이 중 유해가 수습돼 현충원에 안장된 전사자는 2만9202위뿐이다. 미수습 전사자가 무려 13만3172명이나 된다. 북한 지역을 포함해 한반도 어느 산골짜기에 외롭게 누워 올해도 새봄을 맞이했을 것이다.
 ‘초연(硝煙)이 쓸고 간 깊은 계곡 깊은 계곡 양지녘에…’ 육군 군악대 병사가 가곡 ‘비목’을 부를 때 나도 눈가가 시큰해졌지만, 이건 감상(感傷)에만 맡길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이다. 국군 유해발굴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올해가 벌써 휴전 60주년이니 발굴·신원확인 작업은 시간이 흐를수록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미 많은 국토가 개발되고 시멘트로 덮여 발굴 시도 자체가 힘들어졌다. 그나마 박근혜정부가 역대 정부 최초로 ‘6·25 전사자 유해발굴 확대’를 국정과제로 격상시킨 것은 다행이다.
 지난 3월 4일 포항(해병1사단)과 문경(50사단)에서 열린 개토식(開土式)을 신호로 올해 국군유해 발굴 작업이 시작됐다. 지난해 군이 전국에서 찾아낸 국군 전사자는 993명. 별도로 유엔군 전사자 2명을 발굴했고, 북한군 19명, 중공군 31명도 60여 년 만에 햇빛을 보았다. 올해는 3월 개토식 이후 벌써 198구를 찾아냈다. 경남 창원, 경북 칠곡, 경기도 양주에서 그저께 6구, 어제도 6구를 새로 발굴해 모셨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딛고 있는 이 땅은 우리만의 땅이 아니다. 지난 연대(年代) 수많은 선배의 삶과 죽음, 피와 땀, 비명과 환호가 곳곳에 배어있다. 덕분에 우리가 이만큼 살고 있다.

노재현 논설위원·문화전문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