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ye for an eye, a tooth for a tooth?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n eye for an eye, a tooth for a tooth?

테스트

One day, I went to a department store in downtown Seoul and mistakenly entered the garage for the luxury hall. A garage attendant stopped my car and asked, “Are you visiting the luxury hall?” He must have thought that my old domestic car didn’t belong there. Feeling a sudden surge of anger and embarrassment, I said, “Yes, I am shopping here!” and parked my car among the shiny imports. But I regretted my decision when I had to pay 10,000 won ($9.25) for parking. “If I backed off, I could have bought fried chicken for my kids,” I thought.

A few days ago, a corporate executive showed me a text message he got from his wife. She reminded him to take whatever the restaurant serves and to always act prudently. “Always think about your wife and children,” she said. Another executive told me a story. When he was having lunch with coworkers, one of them got a dish he didn’t order. But people advised him to just eat whatever he was served.

Lately, big corporations have similar tales since a Posco executive’s ramen incident. (He made a fuss on an airplane about the ramen he was served, which was later widely publicized, costing him his job.)

As we are not living alone, we have to pay the price for mistakes. The 10,000 won I paid to park in the luxury hall was actually not a lot. Nowadays, if you throw a fit, you can be ruined. The executive who made a fuss over instant noodles had to resign. A confectionery company chairman punched a hotel manager, and customers canceled orders. The company had to shut down, and the innocent workers lost their jobs. A salesman at Namyang Dairy Products had to quit when his harsh phone conversation with a franchise owner spread on a social network. The company is under investigation for forcing dealers to buy certain products, so it must have been company culture. These cases evoked public outrage as they illustrate the high-handed attitude of those in power.

But is it fair to punish the abuser by taking away the job? The public’s retaliation for the “wrongdoer with power” is incredibly harsh. While we are thrilled by the severe punishments given to those who abuse their power and positions, the consequence in the offline world is the spread of panic and distrust like the Orwellian world. I even want to revive the Code of Hammurabi, the Babylonian law with scaled punishments like “an eye for an eye, a tooth for a tooth.” The law was made in ancient times ruled by extreme retaliation and rage. The entire family of an accused attacker could be killed in retaliation for an assault. Considering today’s situation, the Code of Hammurabi seems far more advanced. After all, we cannot even expect the tolerance of Jesus who said, “Love your enemies.”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예전에 시내 백화점에 갔다가 명품관 주차장 입구로 잘못 들어간 적이 있다. 이때 남자 직원이 내 차를 세우더니 물었다. “정말 여기 오셨어요?” 내 낡은 국산 승용차가 딱 걸린 모양이었다. 순간 괜히 울컥해서 “네, 여기 왔어요”라고 고집을 부리며 번쩍이는 수입 승용차들 사이에 기어이 주차했다. 그리고 나올 때 주차비 1만원을 내고서야 비로소 후회했다. ‘성질 참았으면 애 좋아하는 치킨이 한 마리인데…’.
며칠 전, 한 대기업 임원이 식사 중에 자기 아내한테서 온 문자를 보여줬다. 식당에선 주는 대로 먹고, 행동 조심하라는 내용이었다. ‘항상 처자식을 생각하라’는 경고문도 있었다. 한 대기업 간부에게선 이런 얘기도 들었다. 점심시간에 식당에서 동료들과 음식을 주문했는데, 한 동료의 음식이 잘못 나왔단다. 그런데 다른 동료들이 동시에 그에게 한 마디 하더란다. “그냥 먹어.” 결국 그는 아무 말 못 하고 잘못 나온 음식을 먹었다는 것이다. 요즘 대기업 주변엔 이런 일화가 넘친다. ‘포스코 라면 상무’ 사건 이후 벌어지는 광경이다.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다 보니 ‘울컥’ 관리 잘못 하면 비용을 치러야 한다. 혼자 울컥해 ‘김여사 짓’을 하고 낸 1만원은 지금 생각하면 참 관대한 대가였다. 요즘은 성질 잘못 부렸다간 패가망신한다. 비행기에서 진상짓을 한 ‘라면 상무’는 회사를 떠났다. 한 빵집 회장은 호텔에서 주차시비를 하다 직원을 때린 일이 알려져 거래처에서 납품정지를 당하고 회사는 폐업해 죄 없는 근로자들만 거리로 몰려나게 됐다. 남양유업 영업사원도 대리점주에게 폭언으로 강매한 통화 내용이 SNS로 퍼져 직장을 떠났다. 회사도 강매 혐의로 수사 받고 있으니 그도 회사일 하느라 벌어진 일일 게다. 어쨌든 이들은 돼먹지 않은 ‘갑의 횡포’가 만연한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여서 사회적 공분을 이끌어냈다.
그런데 폭언·주먹 한 방에 ‘생업을 잃는 벌’은 적정한 것일까? 요즘 SNS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대중의 소위 ‘갑 가해자’에 대한 응징은, 한마디로 ‘걸리면 다 죽는다’. 무한 응징 시대다. 이는 일견 통쾌하지만, 그 여파로 오프라인 세상엔 ‘조지 오웰의 세계’와 같은 공포와 불신이 번지는 부작용이 나타난다. 이에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대등 보복의 원칙을 정한 ‘함무라비 법’이라도 복원하고픈 심정이 된다. 이는 자기 집안 일원에게 해를 입히면 상대 집안은 몰살시키는 등의 무한 보복과 분노가 지배했던 원시시대에 나온 법인데, 이제 보니 작금의 세태보다 훨씬 ‘선진적’이어서다. 이런 마당에 ‘원수를 사랑하라’는 예수식 관용까지 바라기엔 갈 길이 너무 머니…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