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ing our shameful reputa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nding our shameful reputation

South Korea has finally signed on to the Hague Convention of Inter-country Adoption, an international agreement to protect both birth and adoptive families. South Korea’s joining the international treaty on adoption, child laundering and trafficking has been long overdue, and with its membership, the country with the shameful reputation of being one of the world’s biggest “baby exporters” hopes to dramatically change the adoptive culture.

The convention, in principle, places the top priority on children’s basic rights and interests in adoption procedures. Birth parents are encouraged to nurture their children before placing them for adoption. The government offer financial support if birth parents consider giving up their parental rights due to financial reasons. If the birth parents cannot bring up their child, they must first consider putting the child for adoption in their home country. Sending the child overseas should be a last resort, and when it is done the process must be transparent and accredited.

South Korea has long been random, reckless and prejudiced when it comes to adoption. The tradition began with orphaned children after the 1950-53 Korean War. Korean adoptees have the largest global child displacement in the world, even outnumbering the Chinese, but the trade has not eased despite the country’s stunning economic progress. Due to a long cultural tradition of placing significance on blood relations and social prejudice against single mothers, overseas adoptions are still preferred over domestic placements. A special law on adoption in 2011 that required compulsory birth registration and court process for adoption helped build social systems toward enhancing the rights of adopted children.

Some are skeptical the Hague Convention will have any effect on helping to keep Korean-born children in their mother country. The convention principles on birth families and public adoptions won’t likely go well with the South Korean sentiment and culture of aversion toward public adoptions and prejudice against unwed mothers.

The support programs for single parent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too lacking to encourage birth families to keep their children, not to mention legal protections and experts in the field. The government must draw up systems and programs and the society should change mindset toward adoptions so that we can uphold the true spirit and purpose of the Hague Convention and end our shameful reputation on overseas adoption.


우리나라가 드디어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에 서명했다. 협약이 체결된 지 20년 만에 이뤄진 지각 가입이지만 이를 계기로 ‘아동 수출대국’이라는 오명을 가진 우리나라의 입양문화가 획기적으로 바뀌기를 기대한다. 이 협약은 입양에 있어서 아동의 기본권과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먼저 입양이 아니라 친부모가 양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천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경제적 이유로 양육권 포기 위기에 몰린 부모에게 국가가 보조금을 주는 등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또 친부모 양육이 어려울 경우 국내입양이 차선책이며, 국제입양은 최후의 수단으로 강구할 것을 권하고 있으며, 입양 시 공개입양을 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입양문화는 세계에서도 유례없이 비뚤어진 것이 사실이다. 6·25전쟁으로 국내에서 돌보기 어려운 아동을 외국으로 입양시키며 시작된 국제입양은 경제 발전을 이룬 이후에도 줄지 않고 계속됐다. 혈연 중시 풍토로 국내입양이 어렵고, 미혼모가 자녀를 키우기 어렵게 하는 편견 등 문화적 환경도 열악했고, 법적으로도 국제입양 절차를 간소화하면서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오랫동안 지속돼 온 측면이 있다. 그러다 2011년 입양특례법이 출생신고를 의무화하고 법원이 입양을 최종 결정하도록 개정되면서 비로소 입양아동의 인권을 중심으로 제도가 정비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헤이그협약이 실효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친가정 양육과 공개입양 등의 협약정신이 혈연을 중시하고 공개입양을 꺼리며 싱글맘에 대한 편견이 강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과 충돌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친부모 보호가 확대되기에는 미혼모와 장애아동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고, 이들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와 전문인력의 미비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번 헤이그협약 가입이 국제사회에서의 형식적 체면치레로 끝나지 않으려면 결국 입양을 줄이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제도 마련과 함께 시민들도 문화적 편견을 극복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함께해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