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ckoffs, parody bags and value marketi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nockoffs, parody bags and value marketing

테스트

Recently, I got together with a group of fashionable friends who often serve as a guide to “hot trends.” One showed off her newest bag. It looked like a Kelly bag by Hermes, but the material was strange. “Is it a knockoff?” I asked. But she claimed that it was a Samantha bag, the hottest item in posh Gangnam.

The Italian leather manufacturer processes cowhide to resemble crocodile skin, and the bag is priced at 400,000 to 500,000 won, when bags from Hermes or Colombo are sold at over 10 million won ($8,893). When she carries the bag, people know that it is a Samantha bag - instead of assuming it’s from Hermes or Colombo. Based on this rather absurd theory, she claims that it was not a fake.

Since last year, “fake bags” featuring prints of luxury-brand bags are gaining popularity. These “parody” bags have a photograph of a notable designer bag by Hermes, Balenciaga or Chanel. Today, witty parodies are as popular as the original high-end items.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on why those who had consumed luxury goods are now more enthusiastic about the parodies. They may have grown tired of the soaring price of luxury items. Also, so many people have access to luxury goods now that they want to find a unique way to show off their fashion sense. Another analysis is that people are protesting and ridiculing the established culture after Psy’s “Gangnam Style” and “Gentleman” made successful debuts around the world.

With the changing consumer trends, interest in Korea’s own brands are also growing. Homiga, which became famous after President Park Geun-hye was spotted carrying a knockoff of, is not the only one. The soft bag offers nylon or canvas bags with python and exotic leather prints. Another popular local brand Havianoo is by a former stylist to actresses. Some say that the local designers are emerging, and foreign luxury brands are on the decline. Industry insiders argue consumers are now more focused on value rather than ostentatious spending.

But are the changing trends really due to buyers’ desire for value or satirize the culture? In fact, the latest popular items are success cases of “star marketing.” If you search for products online, you would easily find articles and photos of celebrities. An industry insider said, “Once a celebrity is photographed with an item, it becomes a hit.”

I’d rather welcome the remarkable rise of Korean brands. I may be overanalyzing the new trends to perceive them as excessive celebrity obsession. I cannot help but feel that once a celebrity moves on to another designer item, the earlier brand would suffer seriously. Also, I am concerned for those talented designers without celebrity network to make it in the fashion industry.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내겐 ‘핫 트렌드’의 가늠자 역할을 하는 후배들과 오랜만에 강남에서 모였었다. 이때 한 후배가 새로 장만한 백을 보여줬다. 생긴 건 에르메스 켈리 백인데, 가죽이 이상했다. “짝퉁?” 했더니 “이게 요즘 핫하게 뜨는 사만타백”이란다. 사계(斯界)를 떠난 지 오래인 터라 나만 몰라봤을 뿐, 이 백은 이미 강남권을 휩쓴 모양이었다. 소가죽을 악어가죽처럼 가공한 사만타라는 브랜드의 이탈리아산 가죽으로 1000만원대가 넘는 에르메스나 콜롬보 등의 백 디자인을 차용해 40만~50만원대로 파는 백이라고 했다. 이 가방을 들고 나가면 에르메스네 콜롬보네 하는 게 아니라 “사만타백이네”라고 한단다. 그래서 희한한 논리지만 짝퉁이 아니란다.
 그런가 하면 지난해부터 캔버스 천에 명품 브랜드의 가방을 프린트한 ‘페이크백’이 뜨고 있다. 에르메스·발렌시아가·샤넬의 대표 디자인 가방 사진을 프린트한 이 백은 명품 패러디로 인기를 끌었다. 요즘은 명품이 아니라 패러디 상품이 더 유행이란다. 과거 명품 소비에 앞장섰던 이들이 명품 비틀기에 더 열성이라는데 이유로는 다양한 분석이 나왔다. 가격으로 찍어 누르는 명품에 넌더리가 났다거나 똑같은 명품백을 든 사람이 너무 많아서라고도 하고,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젠틀맨’ 이후 기성 문화에 대한 비틀기와 저항의식이 높아진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 같은 소비자 의식의 반전으로 독창적인 우리 브랜드 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단다. 박근혜 대통령이 짝퉁 제품을 들어 유명해진 호미가뿐 아니다. 나일론이나 천에 페이톤 문양 등을 프린트해 고급 가죽가방인 척하는 ‘소프트백’이나 최지우·이연희 등 여배우의 스타일리스트 출신이 만든 ‘하비아누’ 등도 꽤 핫한 브랜드로 통한다.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가 뜨고, 해외 명품 브랜드는 지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업계에선 “소비자들이 과시욕보다 실속을 따지는 가치 소비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정말 가치 소비나 시대 풍자 정신을 구현하려는 소비자 욕구 때문일까? 따지고 보면 요즘 뜨는 상품들은 모두 ‘스타 마케팅’의 성공사례다. 인터넷에 해당 상품 이름만 쳐봐도 유명인이 거론된 기사와 사진이 줄줄이 뜬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일단 연예인이 들고 사진 한번 찍혀주면 불티나게 팔린다”고 했다. 해외 명품보다 국내 브랜드가 뜨는 건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이도 대중의 ‘셀레브리티 과몰입’의 한 현상으로 보인다면 너무 삐딱한 걸까. 유명인이 업체를 갈아타면 해당 브랜드가 순식간에 타격을 받을 것 같은 느낌도 지울 수 없다면…. 한편으론 유명인과 줄을 못 대는 패션상품은 어떻게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야 할지 괜히 걱정된다.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