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itizen battles the governmen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citizen battles the government

Personal struggle against unjust power is a frequent topic in Hollywood movies. The “Mission Impossible” series starring Tom Cruise and the “Bourne” series of Matt Damon are notable films of that genre. The movie ends in triumph, and the protagonist becomes a hero. But in reality, it is just too painful for an individual to fight against the power of establishment.

A Korean-American has been living this struggle for three years. This is the story of Stephen Jin-woo Kim, born in 1967.

The Kim family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when Stephen was 9 years old. By the time he was 11, his father would ask him what the New York Times editorial of the day was about, and if he couldn’t provide a solid answer, the father would say he didn’t deserve to have a meal. Thanks to the rigorous education, he skipped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ttended Fordham Preparatory and graduated from Georgetown University’s School of Foreign Service. He earned his master’s degree at Harvard and a doctorate at Yale. Then, he went to work for the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the largest federally funded nuclear research center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Bush administration, Henry Kissinger was so impressed by his briefing o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that Kissinger referred him to Vice President Dick Cheney.

But his American dream ends there. Now, he is on trial for espionage against the U.S. government. He is charged with making an unauthorized disclosure of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when he spoke to Fox News reporter James Rosen after the nuclear experiment in May 2009. At the time, Kim was working as senior adviser at the State Department’s Verification, Compliance and Implementation Bureau. The “secret” was that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as learned from a North Korean source about Pyongyang’s additional nuclear and missile experiments. Federal prosecutors indicted him for leaking the information in August 2010.

Kim rebutted that he was asked by a State Department communications official to explain North Korean issues to the news agency and that North Korea’s test was widely anticipated. He has also claimed that the espionage charge is excessive as he never worked for another country. After the indictment, prosecutors have kept the investigation confidential, and the trial is being postponed. In the meantime, he has used up nearly all his assets to pay attorney fees.

Last week, the Washington Post featured a story re-examining the Stephen Kim case while addressing the government’s excessive snooping on news media.

While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has raised funds to help him, public attention has diminished over three years. Kim is being neglected by both the country he was born in and the country where he grew up.

“My life has stopped here,” Kim said as he continues the battle all alone.

How long can an individual stand up against a powerful institution? As I interviewed the Korean-American intern harassed by the crooked Blue House spokesman, the tragedy of Stephen Kim kept coming to mind.

*The author is the JoongAng Ilbo Washington bureau chief.

by Park Sung-hee



부당한 권력에 맞선 한 개인의 몸부림. 헐리우드 영화에서 종종 등장하는 소재다. 톰 크루즈가 주연한 ‘미션 임파서블’이나, 맷 데이먼이 연기한 ‘본 시리즈’가 그런 영화다. 영화는 해피엔딩으로 끝나고 개인은 영웅으로 부각된다. 현실세계에선, 그러나 개인이 권력에 맞서기란 너무나 고통스럽다.
한국계 미국 시민권자로 미국 땅에서 그 고통스런 싸움을 3년간 이어가는 사람이 있다. 1967년생 스티븐 김(한국명 김진우) 얘기다.
그는 9세 때 미국으로 이민했다. 아버지는 11살 난 아들에게 “오늘 뉴욕타임스 사설이 뭐냐”고 물어 대답을 못하면 “밥 먹을 자격이 없다”고 야단을 쳤다. 엄격한 교육 덕분에 초등학교 때 월반을 했고, 명문 사립고인 포드램 프렙 스쿨을 거쳐 조지타운대에 입학했다. 하버드 정치학 석사·예일대 박사로 승승장구한 그를 미국 최대의 국립 핵연구소인 리버모어 연구소가 영입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시절 헨리 키신저가 북한 핵과 관련한 브리핑을 듣고 감탄해 딕 체니 당시 부통령에게 소개할 만큼 그의 능력은 뛰어났다.
하지만 아메리칸 드림은 여기까지다. 지금 그는 미국 정부와 법정투쟁 중이다. 죄목은 간첩죄. 리버모어 연구소 소속으로 국무부 검증·준수·이행 정보 총괄 선임보좌관으로 일하던 2009년 5월, 북한의 2차 핵 실험 뒤 폭스뉴스 기자에게 기밀을 누설했다는 혐의다. 폭스뉴스 기자가 보도한 ‘기밀’이란 “북한이 추가 핵·미사일 실험을 한다는 사실을 중앙정보국(CIA)이 북한 정보원으로부터 파악했다”는 부분이다. 연방 검찰은 스티븐을 정보 유출자로 지목해 2010년 8월 기소했다. 스티븐은 국무부 공보담당자로부터 기자에게 북한 문제를 설명해주라는 요청을 받았고, 북한이 추가 핵 실험을 한다는 건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이며, 다른 나라를 위해 일한 게 없는 내가 왜 간첩이냐고 항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검찰 측은 기소 후에도 기밀이라며 수사자료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재판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그 사이 비싼 변호사 비용을 대느라 그의 재산은 바닥이 났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주 ‘정부의 무리한 언론 사찰’을 문제 삼으며 스티븐 김 사건을 재조명하는 기사를 실었다. 반면 사건 초반만 해도 목소리를 함께 내주고 성금을 모아줬던 한인들은 3년의 세월 앞에 관심이 시들해졌다. 간첩죄라는 사슬에 묶인 그는 낳아준 조국과 키워준 조국으로부터 동시에 외면 받은 채 언제 끝날지 모를 ‘싸움’을 외롭게 이어가고 있다. “제 인생은 여기서 멈췄습니다.”
무제한의 수단을 동원할 수 있는 권력 앞에서 개인은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청와대 대변인이라는 비뚤어진 권력에게서 상처 입은 한국계 미국 시민권자인 인턴직원을 취재하면서 스티븐 김의 비극이 자꾸 중첩돼 눈에 아른거렸다.
워싱턴총국장 박승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