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funny about the tunnel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thing funny about the tunnels

테스트

Last weekend, I visited Cheorwon in Gangwon. It started off as a nice excursion, but my heart was heavy on the way back. It wasn’t because of the sizzling weather. Witnessing the actual site of the divi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grave. You may think I am overly emotional. It’s been a while since the topic of national division has come up for most citizens, other than those who are politically active or whose families are in the North. We have grown accustomed to the nuclear threats of Kim Jong-un, and a North Korean anchor’s declaration of turning Seoul into a “sea of flames” became a joke. Frankly, I was one of those who were laughing.

Cheorwon is the site of the second underground tunnel. I have a habit of interpreting a war in the context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I thought of the battle of the Later Han. Gongsun Zan, a warlord in Lioadong, collapsed because he failed to block the underground tunnel that Yuan Shao, a rivaling warlord, had dug under the fortress. In the Battle of Guandu, Yuan Shao dug tunnels into Cao Cao’s fort, and later, Cao Cao also used the same tactic in another battle.

Underground tunnels are a hostile and intense tactic used since the ancient times. North Korea began to dig the Cheorwon Underground Tunnel in 1972, when the atmosphere for peace was building up after the July 4 Inter-Korean Joint Statement. The underground tunnel poignantly illustrates the harsh reality of living on the other side of the border from North Korea, which habitually says one thing and means another.

“There may be death, but there will be no failure,” says a sign at the main entrance to the 6th Army Division defending the Cheorwon region. The saying seemed far more heroic and serious than when it was used by sportsmen. Young soldiers boasted that the 6th Division had the first victory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presented water from the Amrok River to President Syngman Rhee and killed the most number of enemies. To the sons of the South Korea, the North was a real enemy.

A few days ago, I was discussing the North Korean issue with a Chinese friend who does business in China,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en he recently went to the U.S., his American friends were concerned about the risk of doing business in Korea. Then, when he came to Korea, the Yoon Chang-jung scandal was the hottest topic, and he soon forgot about the North Korean threat. “Koreans ignore what North Korea is up to, and Chinese people are indifferent. Only Americans are anxious,” he said. It was hard to find any tension in our conversation.

In Cheorwon, I couldn’t help but have a wry smile at the absurdity of the peninsula. North Korea attacks behind our back, and South Korean politicians pretend to be serious but offer no solutions. People joke about North Korea while young soldiers are defending the demarcation line intensely. When will this black comedy be over?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지난 주말, 철원에 있었다. 나선 길은 산책처럼 가벼웠는데 오는 길도 가볍진 않았다. 올 들어 가장 더웠다는 날씨 때문만은 아니다. 눈으로 확인한 분단의 현장이 주는 무게라는 게 있었다. 웬 신파냐고 하실 분, 있을 거다. 정치지향적 사람이나 실향민이 아닌 대다수 시민들에게 분단이란 주제가 그리 무겁지 않게 된 게 꽤 되므로. 북의 김정은이 핵을 들고 흔들 때도 “쟤는 또 뭐니?” 하고, 북한 아나운서가 힘주어 협박하는 ‘복수의 불바다’니 뭐니 하는 말을 ‘개그’처럼 들어넘기는 것도 다반사니 말이다. 고백컨대, 나도 그 수준이었다.
철원엔 제2땅굴이 있었다. 전쟁을 『삼국지』를 통해 이해하는 버릇이 있는지라 땅굴을 돌아보며 후한(後漢)말의 전투를 생각했다. 요동의 실력자 공손찬(公孫瓚)의 멸망은 원소(袁紹)가 성밑으로 파고 들어온 땅굴을 막지 못해서였다. 관도대전에서 원소는 두더지부대를 만들어 조조(曹操)진영으로 땅굴을 팠고, 기주성 전투에선 조조가 땅굴을 팠다. 땅굴은 이렇게 고대 전쟁부터 활용된 적대적이고 치열한 전술이었다. 철원 땅굴은 남북간 평화 분위기가 무르익던 7.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된 1972년부터 파기 시작했단다. 땅굴은 그렇게 말과 실제가 다른 북한과 경계를 맞대고 사는 우리의 험한 현실을 담담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수사불패(雖死不敗·비록 죽을지언정 패배는 없다). 철원지역을 지키는 6사단 정문에 걸려 있는 글귀다. 스포츠맨들이 쓸 땐 그저 그랬던 이 말이 앳된 얼굴의 아들 같은 병사들 머리 위로 펼쳐져 있으니 비장하고 짠했다. 병사들은 입을 열면 “6사단은 6.25 전쟁 당시 최초의 승리를 거두고 압록강에서 물을 떠서 이승만대통령에게 헌수했으며, 적군을 가장 많이 사살한 구국사단”이라고 자랑했다. 우리 아들들에게 북은 사살하고, 죽음으로 맞서야 하는 현실의 적(敵)이었다.
며칠 전, 중국인 사업가 친구와 북한 문제를 놓고 시시덕거렸다. 중국과 한국, 미국을 오가며 사업하는 이 친구는 최근 미국에 갔더니 그곳 친구들이 한국 사업의 위험성을 걱정하더란다. 그런데 한국에 오니 온통 윤창중 얘기만 해서 그도 금세 북한을 잊어버렸단다. “북한에 대해 한국인들은 무시하고, 중국인민들은 무관심한데 미국시민들만 불안해 하더라”는 둥 이날 밥상에 오른 남북문제는 긴장감이라곤 없었다.
철원에서 이 장면이 떠오르며, 문득 블랙코미디처럼 어긋나는 우리의 현실에 쓴웃음이 나왔다. 늘 뒤통수치는 북한, 표정만 비장하고 해결책은 없는 우리 정치권과 정부, 북한을 코미디나 조크 소재로 삼는 보통 사람들, 그럼에도 긴장 어린 눈빛으로 휴전선을 지키는 앳된 병사들…. 이 블랙코미디는 언제·어디까지 계속될까.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