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en to the voices of those in the field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isten to the voices of those in the field

테스트

“The ongoing crisi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is essentially a turf war.” A reader, who introduced himself as a high school history teacher, called me seeking help. He said, “The president and many groups and agencies mention designating Korean history as a mandatory subjec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ut it can never solve the problem.”

He argued that the core of the debate is a turf war. Korean history lost its footing when it was categorized as one of the CSAT electives in fairness to other social studies subjects. The students need to select two social studies subjects, and if Korean history becomes mandatory, teachers of other social studies subjects would resist. But not testing Korean history would make students neglect the subject, so it must be included in the CSAT.

His proposal was to spin off Korean history from the areas of social studies. Instead, the first period of the CSAT, which is now Korean language, should be reorganized as “Korean studies” to include both language and history. The test can consist of 40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and 10 questions in history to test both subjects. Also, the A-type test for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can exclude the challenging institutional history section so they would study government, economics and culture as well. As students choose two subjects among the social studies options excluding Korean history, other teachers would not suffer a disadvantage. His idea was to acknowledge the presence of the turf war and to avoid a fight to solve the problem.

He said that he has discussed the idea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to come up with the proposal. As the Korean history debate is in progress, teachers of other social studies subjects become very sensitive. He has also visited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convey the proposal. While the official said he was not familiar with the plan, he admitted that the plan has a point.

However, introducing such a drastically new system would have to be supported by the public, so implementation would not be easy. “Even if we have a good idea, teachers have no means to lead public opinion,” he said. So the high school teacher was seeking anyone who can help. He called me, thinking I may be able to assist. I felt partly responsible for his proposal as he had such expectations for me. Therefore, I am writing about his idea in my column.

However, it is pathetic that new ideas from the field are considered hard to be implemented without the support of public opinion in a country that aspires to establish a “creative economy.” The field is exploring issues and seeking solutions. When public opinion gets involved in specialized areas, it can hardly propose specific and effective methods. Rather, public opinion can be whimsical and meddling without taking responsibility. If you want to solve the problem, it would be more accurate and faster to listen to the voices of those in the field, not the voices of the public. I am sure there are many more executable and plausible ideas in the field.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지금 국사 교육 위기의 본질은 결국 밥그릇 싸움입니다.”
 고등학교 국사 교사라고 밝힌 한 독자가 “국사 교육을 도와달라”며 전화를 걸어왔다. 그는 “요즘 대통령을 비롯해 각계에서 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문제를 거론하지만 그런 방식으론 절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했다. 그 본질이 밥그릇 싸움이기 때문이란다. 국사가 홀대받게 된 데는 사회탐구 과목의 형평성을 고려해 국사도 똑같이 수능 선택과목에 두어서인데, 두 과목 선택하는 사탐에서 국사를 필수로 하면 다른 사탐 선생님들이 가만히 있겠느냐는 것이다. 그렇다고 국사를 평가하지 않으면 학생들이 공부하지 않으니 반드시 시험에 포함시켜야 한다고도 했다.
 그가 제시한 해법은 국사를 사탐 과목에서 빼내는 것이었다. 대신 수능 1교시 국어 과목을 한국학으로 개편해 국어와 국사를 함께 시험 치도록 하는 방법이 좋겠다고 제안했다. 국어 40문항, 국사 10문항을 별도로 출제하면 큰 부담 없이 시험을 치를 수 있다는 것. 또 이과생이 치르는 A형에선 어려운 제도사 부분을 빼면 되니 이과생한테도 정치·경제·문화사는 다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사탐은 국사를 제외한 다른 과목들 중 두 과목을 선택하면 되니 사탐 선생님들도 불만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밥그릇 싸움의 본질을 인정하고, 싸움을 피하는 쪽으로 가야 문제가 해결된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는 국어 선생님들과 논의해 이런 방법을 도출했다고 했다. 지금 국사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다른 사탐 선생님들이 예민해져 함께 말도 못 섞을 정도라는 현장의 분위기도 전했다. 그는 교육부 담당자를 찾아 건의도 했단다. 담당자도 처음 듣는 얘기지만 꽤 일리가 있다고도 하더란다. 그러면서도 이렇게 새로운 방식을 추진하려면 여론이 움직여줘야 한다며 실행은 어려울 것이라고 난색을 표했다는 것이다.
 “아이디어가 있어도 교사들은 여론을 추동할 방법이 없어요.” 그는 도와줄 사람을 찾다 왠지 내가 도와줄 수 있을 것 같아 전화를 했단다. 타인의 기대를 받는다는 건 그에 대한 책임도 있는 것이므로, 내 글에 그 교사의 아이디어를 실어 세상에 던져본다.

 한데 ‘창조경제’하겠다는 나라에서 현장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여론을 등에 업지 않으면 실행되기 어렵다’고 했다니…. 가장 절박하게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은 현장이다. 전문 영역에 간섭하는 여론이란 구체적 방법론까지는 제시하지 못한다. 오히려 변덕스럽고, 무책임하게 목소리만 높이는 것일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대중의 입이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게 정확하고 빠를 거다. 현장엔 아마도 실행 가능한 다른 아이디어들이 더 많이 있을 거다.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