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s dangerous route
Published: 23 Jul. 2013, 18:56
Collective self-defense refers to Japan’s right to counterattack when its allies are under attack by foreign countries. An attack on an ally is regarded as an attack against Japan. An act to invade other countries, even if it’s described as self-defense, is prohibited by Japan’s Constitution. Article 9 of the pacifist constitution states, “Aspiring sincerely to an international peace based on justice and order, the Japanese people forever renounce war as a sovereign right of the nation and the threat or use of force as a means of settling international disputes.” Allowing collective self-defense while keeping the article intact is nothing but a constitutional revision or an abrog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Japanese government in the past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article in question in its favor but had to stop it in the face of strong public resistance. Buoyed by the Liberal Democratic Party’s landslide victory in the upper house elections, however, the Abe cabinet will most likely push ahead with the argument for collective self-defense.
Japan claims that such self-defense will help support its allies and contribute to international peace. From the perspective of a country victimized by Japan’s aggression-prone imperialist past, it’s impossible to accept that justification. The LDP led by Abe has already vowed to establish a “normal” armed forces - with fewer constraints - and elevate the emperor to de facto head of state. Such moves constitute a brazen declaration to turn Japan into a military power. We wonder how such a weird turn can lead to friendly relations with any allies or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peace.
The victory in the upper house elections was largely thanks to Abenomics. In other words, most Japanese want the government to pursue strong economic policies to overcome a two-decades-long slump rather than amend the constitution. Immediately after the elections, however, Tokyo rushes down a dangerous path. Japan’s return to nationalism and militarization can only deepen tensions and enmity in Asia and adversely affect the peace and chances of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 urge Japan to indulge in some deep soul searching to find the best possible way to world peace.
일본 정부가 집단적 자위권 도입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참의원 선거로 중단됐던 총리 자문기관인 ‘안전보장의 법적 기반 재구축에 관한 간담회’를 8월 초 재소집한다는 것이다. 이 기관은 1기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 때부터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법적 근거를 논의해 온 곳이다. 집단적 자위란 일본의 동맹국이 공격받을 경우 일본이 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해 반격할 수 있다는 의미다. 표현은 자위지만 실제론 공격 행위로 현행 헌법에선 금지돼 있다. 일본 헌법 제9조는 ‘전쟁을 포기하고 국가의 교전권을 인정하지 않으며 군대를 보유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그대로 두고 해석만 바꿔 집단적 자위권을 용인하는 것은 개헌 또는 헌법 폐기나 다름없다. 일본 정부는 과거에도 집단적 자위권을 인정하는 식으로 헌법 해석을 바꾸려고 시도했다가 반대여론에 밀려 중단한 바 있다. 그러다 이번엔 아베 총리가 참의원 선거 압승을 바탕으로 일정을 정해 착착 추진하겠다고 나섰으니 현실화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 물론 일본은 이를 두고 동맹국을 지원하고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일제 침략전쟁의 피해국 입장에선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 아베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은 집단적 자위권 외에 군대 창설, 일왕의 국가원수화 등을 이미 공약으로 제시했다. 이는 평화헌법을 송두리째 뒤집겠다는 뜻이나 같다. 군사대국화를 향한 공공연한 선언이기도 하다. 이게 어떻게 동맹국과 국제평화를 위한 길인가. 자민당의 참의원 선거 압승은 아베노믹스의 효과가 컸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일본 국민들도 개헌보다 장기불황을 벗어날 강력한 경제정책을 원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런데도 선거가 끝나자마자 우경화의 발걸음을 재촉하는 것을 보면 경계와 우려의 시선을 거둘 수 없다. 일본의 우경화와 군사대국화는 아시아에 평화보다 긴장과 반목을 심화시킬 위험이 크다.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일본 정부는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진정한 길이 무엇인지 깊이 있게 성찰하기 바란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