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to celebrate the end of wa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arning to celebrate the end of war

테스트

For most people, July 27 doesn’t mean much. June 25,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is famous, but the day that the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is largely forgotten. However, the West looks at the armistice quite differently.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Western countries, the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is celebrated. U.S. President Barack Obama is scheduled to attend the ceremony marking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rmistice.

The Commonwealth of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New Zealand, observe Remembrance Day at 11 a.m. on November 11. Germany surrendered and signed the armistice to end hostility “at the 11th hour of the 11th day of the 11th month.” In Western culture, the end of the war is remembered as a time of hope and new beginnings, while the outbreak of a war is tragic.

In the East, however, war is remembered differently. In Korea, the Korean War evokes tragic memories - stories of refugees struggling to survive, children eating barley rice balls. People seem bored by the stories of the older generation, remembering when the capital city of Seoul was lost within three days of the North’s unexpected invasion.

Of course, we all understand how tragic and painful the Korean War was. However, it was also a proud victory as the Republic of Korea fought against the invading enemies with volition, courage and strategy. The Marines created legends of “the Devil Killers” and “the invincibles” through the Tongyeong Landings and the Mt. Dosol Battle. The Army’s Sixth Division pushed away the Chinese forces from Yangpyeong to Hwacheon Lake, and the lake was renamed Paro, meaning “the lake that defeated the barbaric intruders.” But the younger generation is bored by the endless seriousness and tragedy, when they have far more exciting music.

In England, the injured British Armed Forces Royal Marines who participated in the Falklands War join their former and current soldiers and families to run 12 miles in an annual charitable fundraising event called the Dartmoor Yomp. Sports bring different generations together to embrace the pains and wounds of the war. On July 23, nine Korean War veterans and three Vietnam War veterans left the United Nations Headquarters in New York on hand-cycles. The meritorious veterans will travel 630 kilometers (390 miles) to Washington D.C., displaying the iron will and indomitable human spirit that cannot be undermined even by the wounds of the war.

We should mark June 25 as the day we remember the war dead and July 27 as a day for sports and cultural events to overcome the pain of the past and make a leap to the future? We need to teach the younger generation that they are obliged to remember the pains of the war, but should transcend those wounds to open a new era of peace and hope.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IN-TAEK



7월27일은 왠지 낯설다. 6·25전쟁 발발일인 6월25일은 두고두고 기려왔지만 정전일인 이날은 오랫동안 잊힌 신세였기 때문이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통일을 막는다며 정전에 반대했던 게 주된 이유일 게다. 하지만 동서양의 문화 차이도 상당히 작용한 듯하다. 미국 등 서양에선 정전일을 주로 기념한다. 미국에선 올해 정전 60주년 기념일에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영국·호주·뉴질랜드 등 영연방 국가에선 현충일 행사를 11월11일 오전 11시에 시작하는 게 전통이다. 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 항복문서에 서명한 바로 그 시각이다. 전쟁 발발은 비극이지만 종식은 희망이자 새로운 시작이라는 생각에서 오히려 그날을 더 기념하는 게 아닌가 싶다.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도 동서양이 사뭇 다르다. 한국에서 6·25전쟁은 슬픈 음악이다. 피란 가서 고생한 사연 일색이다. 6·25 체험행사장에 가봤더니 아이들이 보리주먹밥을 씹으며 어쩔 줄을 몰라 한다. 적의 갑작스러운 침략에 사흘 만에 수도 서울을 잃고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졌다는 회상 앞에 온통 지루한 얼굴뿐이다.
물론 6·25는 고통이고 비극이다. 하지만 적의 침략에 맞서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가 의지와 용기와 지략을 총동원해 일궈낸 자랑스러운 승리의 역사이기도 하다. 해병대는 통영상륙작전과 도솔산 전투 승리로 각각 ‘귀신 잡는 해병’과 ‘무적해병’ 신화를 창조했다. 육군 6사단은 중공군을 양평 용문산에서 화천호까지 밀어내 이 호수 이름을 ‘오랑캐를 물리친 호수’라는 뜻의 ‘파로호’로 바꿨다. 이렇게 힙합처럼 신나는 음악은 두고 이별가 같이 무거운 타령만 틀어대니 젊은 세대가 따분해 하는 건 아닐까. 문제는 소통이었다.
영국에 가보니 포클랜드전쟁에 참전했던 해병대 상이용사들이 동료, 현역 후배, 가족이 함께 참가해 황무지 19㎞를 하루에 달리는 다트무어 욤프라는 자선스포츠행사를 매년 열고 있었다. 스포츠로 전쟁의 상처를 어루만지며 세대간에 소통한다는 발상이 신선했다. 그런 의미에서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앞에서 출발하는 ‘정전 60주년 희망의 핸드사이클’ 행사가 눈에 들어온다. 6·25 참전 9명과 베트남전 참전 3명 등 12명의 국가유공자 1급 상이용사들이 워싱턴까지 630㎞ 거리를 손으로 바퀴를 돌리는 핸드사이클로 달린다. 전쟁의 상처 앞에서도 결코 절망하지 않는 불굴의 인간정신을 보여준다.
앞으로 6·25는 전몰자 추념 행사로, 7·27은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경쾌한 스포츠·문화 행사로 각각 나누면 어떨까. 전쟁을 잊지 않으면서도 이를 뛰어넘어 새로운 평화와 희망의 시대를 여는 것은 젊은 세대의 몫이란 걸 알려주는 마당으로서 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