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pricious nature of mone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capricious nature of money

Princeton University professor Shin Hyun-song, an authority in international finance, recently mentioned an interesting property of money. He said it was a mistake for emerging economies to raise interest rates to prevent foreign funds from fleeing the country during economic crises. When a crisis hits, the economy becomes sluggish. When the interest rate goes up under such circumstances, corporate and financial institutions struggle further, and foreign investors would leave the country.

Money is extremely capricious. At the end of 1997,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demanded Korea raise the call rate by more than 30 percent in order to keep dollars in the country, but the economy collapsed hopelessly. The high interest rate that suffocated the Korean economy was the wrong prescription that was based on misunderstanding the nature of money.

Generally, money is reluctant to get traced and exposed. It is good at hiding itself. Tax investigators fight against the stealthy nature of money. While we think tax audits would result in more tax revenue, it actually has its limits. A far greater volume of money would go underground. This year, the demand for 50,000 won bills has surged, but the volume coming back to the Bank of Korea decreased noticeably. Those in finance think rich people are cashing out their assets and stocking up on 50,000 won bills.

Nowadays, low tax revenue is a concern but, historically, the shortage of tax revenue was most serious shortly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The economic growth rate of 1998 plummeted to -5.7 percent. So many companies went bankrupt that the revenue dropped drastically. What contributed the most to the resolution of the shrunken tax revenue was the tax exemption on credit card usage. As tax deductions were offered on credit card usage, people began charging their purchases more. As a result, countless underground incomes were exposed, leading to more tax revenue. It was money ? not the stick ? that brought the hidden money into the daylight.

Money also cannot stand uncertainty. That’s why transactions are not made even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a real estate tax cut until the tax is actually lowered. This tim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nounced an acquisition tax cut jointly with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t the housing market is still frozen. The acquisition tax cut can only be implemented when the National Assembly passes a revision. For now, no one can be sure how much the cut will be, when it will be passed, or even if it will be passed. When transactions aren’t suspended, the money flow stops and the market freezes.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goals of a 70 percent employment rate and economic revival through the so-called “creative economy” are directly related to money. These objectives can only be accomplished when the money flow is smooth. The government need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oney well. I hope Deputy Prime Minister of Economy Hyun Oh-seok’s finance and economy team are well-versed in the nature of money.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LEE SANG-RYEUL



인간에게 인간의 속성이 있듯이 돈에는 ‘돈의 속성’이 있다.
최근 들은 돈의 속성 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국제금융 권위자인 미국 프린스턴대 신현송 교수 애기다. 신 교수는 신흥국들이 경제위기 때 외국자금 이탈을 막으려고 금리를 올리자는 주장을 물정 모르는 소리로 평가했다. 호황 때는 금리를 올리면 자금이 들어오지만, 위기 때 금리를 올리면 되레 자금이 더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이유는 이렇다. 위기가 오면 경제 형편이 어려워진다. 이때 금리를 올리면 기업과 금융기관 사정은 더 나빠지고, 외국자금은 이걸 보고 더 떠나간다는 것이다. 지독한 변덕이다. 이자 한 푼이라도 더 취하려고 불구덩이라도 뛰어들 듯 하다가, 막상 불이 붙으면 웃돈이 무슨 소용이냐며 일단 튀고 본다. 1997년 말 외환위기 때 국제통화기금(IMF)은 달러를 붙잡아야 한다며 콜금리를 30%이상 올리라고 강요했지만, 속수무책이었다. 당시 한국경제를 질식시켰던 IMF의 고금리 처방은 돈의 속성을 잘못 짚은 데서 나온 틀린 처방이었던 것이다.
돈은 대개 노출과 추적을 싫어한다. 숨는 데는 도사다. 세무조사는 이런 속성과 싸운다. 세무조사로 세금을 더 걷을 수 있을 것 같지만, 한계가 있다. 훨씬 많은 돈이 더 교묘하게 지하로 자취를 감춘다. 이미 올 들어 5만원권 수요는 가파르게 늘었는데, 한국은행에 되돌아오는 돈은 눈에 띄게 줄었다. 금융권에선 자산가들이 재산을 5만원권으로 바꿔 비축해두고 있다는 얘기가 많다.
지금도 세금이 안 걷혀서 걱정이지만, 역대 세수 부족 근심이 가장 컸던 때는 IMF 직후였다. 98년 당시 경제성장률은 -5.7%로 곤두박질했다. 부도기업이 속출해 세금 거둘 대상이 마땅찮을 정도였다. 그때 세금 가뭄 해결의 일등 공신은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세금을 덜 낼 수 있다고 하니 너도나도 신용카드를 쓰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수많은 음성소득이 노출돼 세수로 연결됐다. 숨은 돈을 햇볕 아래로 끌어낸 것은 몽둥이가 아니라 돈이었던 것이다.
돈은 불확실성을 못 참는다. 뻔히 보이는데 손해를 입는 것을 경멸한다. 정부가 부동산 세금 인하 발표를 내놓아도 실제 세금이 내리기 전까지 거래가 실종되는 이유다. 이번에도 기획재정부가 안전행정부·국토교통부와 합동으로 취득세를 내리겠다고 발표하자 주택 시장에선 거래절벽이 생겨나고 있다. 취득세 인하는 국회에서 법이 고쳐져야 가능한 사안이다. 하지만 세금이 얼마나 줄어들지, 언제 통과될지, 과연 통과되기는 할지 도무지 종잡을 수 없다. 그렇다고 정부가 세금을 내리겠다는데 당장 거액을 들여 집을 사기도 주저된다. 거래가 사라지면 돈이 멈추고 경기는 얼어붙는다.
박근혜 정부가 추구하는 고용률 70%와 창조경제를 통한 경제부흥은 결국 돈과 직결돼 있다. 돈이 잘 돌아야 가능한 일이다. 그러자면 돈의 속성을 잘 알아야 한다. 현오석 경제팀이 돈의 속성에 보다 정통했으면 좋겠다.
경제부문 이상렬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