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ultural Olympics at Pyeongcha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cultural Olympics at Pyeongchang

테스트

At first we struggled, as foreigners mistook Pyeongchang as Pyongyang. Daegwallyeong in Pyeongchang county was also unknown to foreigners, and they found it strange to pronounce. So the dream to create an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in a natural setting, like the Aspen Music Festival in Colorado, could have ended in just that - a dream. Now, however, the Great Mountains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and School at Daegwallyeong is celebrating its 10th anniversary. Today, the festival has emerged as a major classical music event, attended by musicians from around the world.

I attended the Great Mountains Music Festival last week and listened to Paganini and Dvorjak at the Alpensia Concert Hall. Clara-Jumi Kang, who played violin for the Paganini guitar quartet, had previously attended the music school operated by the festival; now she is a star, having won the Indianapolis and Sendai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s in 2010. Dozens of former students are now teaching younger musicians.

Juilliard professor Kang Hyo set the foundation of the festival, and sisters Chung Kyung-wha and Chung Myung-wha took over in 2010, using their international network to expand it. As of last year, 11 world premieres, seven Asian premieres and four Korean premiers have been performed.

The finale of the concert on Saturday evening was Sibelius’s “Finlandia,” a piece of music that offered me courage and comfort in my youth. After the concert, I had the chance to have beer with the founders of the festiva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norary professor Kim Kyung-sun, the university’s School of Art professor Lee Kang-soon, and former Chuncheon YWCA president Lee Hui-soo.

The three founders, who knew each other from Bible study, heard in 2001 that the cities of Pohang and Jeonju were trying to invite the Sejong Soloists to create a music festival, but they thought Gangwon should host the world-famous musicians. Professor Kim’s elder sister was Kang Hyo’s classmat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director of the board of the Sejong Soloists. At first, they chose Yongpyong county as the site and held a preliminary festival in 2003. Later, they moved the festival to the Alpensia Resort, where Pyeongchang was seeking to hold the Winter Olympic Games at the time. In 2004, the first Great Mountains Music Festival was held in Pyeongchang.

It is truly amazing that Pyeongchang - which is usually associated with mountains, rivers, potatoes and the novella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 has become home to a world-class music festival. Some locals complain that the festival is catering to people from Seoul and they would rather hear Korean singers like Lee Mi-ja or Shim Su-bong. However, they are not aware of the tremendous brand effect of the Great Mountains Music Festival. Thanks to the classical music festival,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can proudly call itself a cultural Olympics.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처음엔 외국인들이 ‘평창’을 ‘평양’으로 착각해 애를 먹었다. ‘대관령’은 말할 것도 없었다. 국제 인지도가 아예 없다시피 한 데다 발음마저 어려웠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도 아스펜 같은 자연 속 국제음악제를 하나 만들자는 꿈은 자칫 백일몽으로 끝날 뻔했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대관령국제음악제 얘기다. 다행히 강효 줄이어드 음대 교수, 그리고 세종솔로이스츠와 인연이 닿았다. 강원도에서도 오지에 속하던 평창은 지난 10년 사이에 세계 음악인들이 초청받고 싶어하는 연주 메카로 발돋움했다.
지난 토요일 대관령음악제에 갔다. 알펜시아 콘서트홀에서 파가니니와 드보르작을 들었다. 파가니니 기타 사중주에서 바이올린을 켠 클라라 주미 강은 대관령음악제에서 운영하는 음악학교 출신이다. 그새 쑥쑥 커서 인디애나폴리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와 센다이 국제바이올린 콩쿠르에서 동시에 우승(2010년)한 스타가 됐다. 주미 강처럼 학생에서 스승으로 성장한 음악학교 출신이 벌써 수십명이나 된다. 강 효 감독이 주춧돌을 놓은 음악제를 2010년부터 정명화·정경화 자매가 이어받자 판이 더 커졌다. 국제적 음악인맥의 힘이다. 지난해까지 세계 초연이 11개, 아시아 초연이 7개, 한국 초연이 4개나 된다. 27일 알펜시아 뮤직텐트에서 연주된 리처드 다니엘푸어의 ‘방랑하는 다르빗슈의 노래’도 세계 초연이었다.
토요일 저녁 음악회의 피날레는 젊은 시절의 나에게 용기와 위안을 안겨주었던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였다. 가슴 속에서 잔향(殘響)이 여전히 요동치는 가운데 대관령음악제의 산파역이라 할 김경순(65·강원대 명예교수)·이강순(64·강원대 문화예술대 교수)·이희수(60·전 춘천YWCA 회장)씨와 함께 맥주 한잔을 했다. 성경 공부모임 멤버이던 이들은 2001년 포항·전주에서 세종솔로이스츠를 영입해 음악제를 만들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 “강원도로 모셔오자”고 의기투합했다. 당시 김 교수의 언니(김태자)가 강효 교수의 서울음대 동기이자 세종솔로이스츠 이사장인 점을 십분 활용했다. 처음엔 장소를 용평으로 정하고 2003년에 예비음악제도 열었다. 우여곡절 끝에 장소는 동계올림픽 유치를 모색하던 평창으로 최종 결정됐고, 2004년 드디어 제1회 대관령음악제가 열렸다.
연상되는 것이라곤 산과 강, 감자, 소설 ‘메밀꽃 필 무렵’ 정도였던 평창이 세계적인 음악제의 고장으로 떠오르다니 참 대견하다. 강원도 일각에선 아직도 “서울 사람들 좋은 일만 시킨다. 차라리 이미자·심수봉을 데려와야지”라는 볼멘 소리가 나온다고 한다. 대관령음악제의 엄청난 브랜드 효과를 모르고 하는 말이다. 5년 뒤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도 음악제 덕분에 ‘문화 올림픽’을 자부할 수 있게 되지 않았는가.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