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 is more for fashion Hallyu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ss is more for fashion Hallyu

“The global fashion project for Korean designers to advance overseas.” “The global fashion brand development project.” “The project to enhance the global capacity of Korean fashion brands.”

These three initiatives are not simply different rewordings of the same thing. The first idea comes from Concept Korea, which is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second is from Seoul’s 10 Soul project, which is back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last is from the global brand fostering initiative of the Korea Fashion Association, and i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hile the first and second initiatives select designers to present their works in New York and Paris, the third focuses on backing mid-sized fashion brands. All three are aimed at adding fashion to the Korean Wave, or Hallyu, and popularizing domestic brands on a global scale.

The three projects are all pursing ambitious initiatives at the same time. Concept Korea has announced a list of designers that will appear in its New York showcase in September. Seoul’s 10 Soul has internally selected designers for its Paris exhibition and will soon release an official statement. The globalizing project is also planning a major event in New York on Aug. 5.

We welcome the suppor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giving the fashion industry. We don’t even have to get to the “creative economy” policy to emphasize how fashion has come to reflect the level of culture and lifestyle of a country. However, even fashion industry insiders wonder why everyone is waging separate battles when they all have the same objective.

They have tight budgets, but will each have to pay separately to promote and run their events. This will obviously make it harder to share information and result in inefficiency and unnecessary expenditures. In fact, two projects selected the same designer, and designers and brands are not sure which project they belong to in terms of seniority and size. The fashion Hallyu projects should be unified into one so they can be operated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join forces. In 2001, the then-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city of Seoul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the fashion industry, agreeing to create a consultative inter-ministerial policy organization. The committee would make it easier to host different events abroad and co-organize events like the Korean Fashion Contest.

What made the joint scheme fall apart? Those in charge said that each agency and local government wanted to take credit for their part, and no additional budget was created for the integrated initiative.

In New York, Paris, London or Milan, a single channel - usually the Fashion Association - arranges Fashion Week, discovers and fosters new designers and supports overseas advancement projects. If anyone is curious about the fashion of that country, the Fashion Association is the place to go. Berlin and the Foreign Ministry of Germany are preparing Berlin Fashion Week in a bid to make the city “the fifth-largest fashion center.”

In the fashion industry, collaboration is key. Shoes meet architecture; T-shirts meet photography. Artists are creating hybrid projects and tearing down boundaries. This is how to get fashion Hallyu going.

If the walls between projects are higher than the walls around the global market, how can the Korean fashion wave spread around the world?

*The author is a staff writer of the JoongAng Sunday.

by LEE DO-EUN

‘한국 디자이너들의 해외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글로벌 패션 프로젝트’. ‘세계화 정책으로 추진하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육성 프로젝트’. ‘한국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육성 사업’.
단어 순서만 바꾼 말장난이 아니다. 맨 처음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축이 된 ‘컨셉코리아’. 두 번째는 서울시가 벌이는 ‘서울스 텐 소울(Seoul’s 10 Soul)’, 마지막은 한국패션협회가 지식경제부 지원으로 추진하는 ‘글로벌 브랜드 육성 사업’이다. 첫째·둘째가 디자이너들을 뽑아 뉴욕과 파리에 진출시킨다면, 세 번째는 중견기업 브랜드 지원에 초점을 맞춘다. 취지에서 드러나는 목적은 하나. 패션 한류의 실현이요, 글로벌 브랜드 만들기이다.
공교롭게도 최근 이 세 프로젝트가 동시에 뉴스를 전했다. 컨셉코리아는 9월 뉴욕 무대에 설 디자이너 리스트를 발표했고, 서울스 텐 소울 역시 파리 진출 디자이너를 내정했다고 귀띔했다(공식 자료는 곧 배포될 예정이다). 글로벌육성사업의 경우 5일 뉴욕에서 큰 행사를 벌인단다.
정부나 지자체가 패션 산업을 지원한다는 건 환영할 일이다. 굳이 창조 경제까지 들먹이지 않더라도 이제 패션은 한 국가의 문화·생활 수준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패션계 인사들조차 목적이 하나인 사업들을 부처와 지자체가 각개전투식으로 벌이는 데는 고개를 갸우뚱한다. 빠듯한 예산으로 홍보·행사운영 등에 제각기 돈을 써야 하는 데다 정보 공유도 힘들어지니 비효율적인 게 뻔해 보여서다. 실제로 두 프로젝트에서 한 디자이너를 겹치기 선정하는 일이 생기기도 했고, 디자이너들 역시 자신의 연차나 업체 규모에서 어떤 프로젝트에 속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는다. 패션 한류 지원사업이 ‘단일화’ 돼야 하는 이유다.
시도가 없었던 건 아니다. 2011년 지경부·문광부·서울시는 패션산업 업무협약서를 맺었고, 범부처 차원의 정책조정기구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이렇게 되면 해외 행사도 다채롭게 벌이고 ‘대한민국패션대전’ 같은 선발무대를 공동으로 주관하는 일이 가능해질 터였다. 왜 그런데 지금은 흐지부지 됐을까. 담당자들의 얘기를 들어봤다. “일단 부처든 지자체든 자기 소관을 확실히 하고 싶어하죠. 실적을 챙겨야 하니까요.” “추가 예산이 있어야 하는데 책정된 게 없어요. 그러니 각자 그냥 하던 대로나…”
뉴욕·파리·런던에선 패션위크 진행, 신진 디자이너 발굴, 해외 진출 지원 등을 패션협회라는 단일 창구를 통해 진행한다. 누군가 그 나라 패션이 궁금하다면 그 곳의 문을 두드리면 된다. 패션 선진국이라서 만도 아니다. 베를린은 이미 베를린 주정부와 독일 연방 외교부가 뭉쳐 베를린 패션위크를 준비한다. ‘제5대 패션도시’라는 공통의 꿈을 꾸면서 말이다.
패션계 여기저기서 ‘콜라보레이션(협업)’이 대세다. 구두와 건축이 만나고 티셔츠와 사진이 짝짓는다. 살아남기 위해 종(種)을 섞고 경계를 허문다. 패션 한류도 거기에 해법이 있다. 세계 시장의 장벽보다 프로젝트끼리 담이 더 높아서야 되겠나.
이도은 중앙SUNDAY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