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een monopoly debate is reignited
Published: 11 Aug. 2013, 21:13
Meanwhile, the film industry is swept up in a hot controversy. Early in spring, “Iron Man 3” and the Korean action comedy “Secretly, Greatly” led to a debate over the monopoly of big screens. Backed by major distributors, the two films took up 70 percent of all screens in Korea, taking away chances for smaller movies to be viewed.
Film industry insiders made a series of statements. Fifty-six film professors, including Seoul Institute of the Arts professor Kang Han-sub, called for legal regulations. The professors said that even in the United States, Hollywood blockbusters are played on only 20 percent of all screens. The Film Critics Association called for an immediate negoti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film industry.
The internal debate over screen monopoly is interesting. A critic said that so-called progressive and leftist filmmakers are especially passive over screen monopoly. He argued that it is not just a self-contradiction but also proof that no producer, director or critic can survive when he is stigmatized by major distributors.
In fact, screen monopoly is an old issue. Also, it is a chicken-or-egg question originating from the gap between what is ideal and what is reality. While legal regulations are needed to secure the audience’s right to choose, theaters defend that they had to play movies according to demands. Of course, those who champion regulation claim that the “preference” of the audience is manipulated by the theaters.
In the end, the audience has the power. The consumers need to stand up. Independent documentary director Lee Sung-gyu wrote on his Facebook page: “If a supermarket sells instant noodles from only two makers, it would be a big issue. Media would have heavy coverage and consumer groups would issue statements. The same thing is happening in the film industry, and people are not responding. The Korean audience can only watch the movies that are selected by the capital. Why are we not resisting?”
In other words, a consumers’ movement is needed for movies. We need to show that the viewers’ fury over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to watch a variety of films is real, and that selection variety is not an empty slogan but a true right and desire of the consumers.
*The author is a deputy sports and culture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G-HEE
한국 영화가 연일 폭죽을 쏴 올리고 있다. 관객 1억 명 시대를 돌파했고, 흥행작이 속속 이어진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장악했을 한여름 극장가도 한국산 문제작 2편이 동반 흥행 중이다. ‘설국열차’와 ‘더 테러 라이브’다. ‘설국열차’는 찬반양론이 있다 해도 기대치의 문제일 뿐 봉준호 감독의 브랜드 파워를 입증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33세 김병우 감독의 ‘더 테러 라이브’는 젊은 재능의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른 한편에선 어느 때보다 뜨거운 분란도 있다. 올봄 ‘아이언맨 3’ ‘은밀하게 위대하게’ 때 나왔던 스크린 독과점 논란이 이어졌다. 대형 배급사를 뒤에 업은 두 작품이 전체 스크린의 70%가량을 독식해 작은 영화의 설 자리를 빼앗았다는 것이다. 급기야 영화계의 성명 발표가 이어졌다. 강한섭 서울예대 교수 등 영화학과 교수 56명은 법적 규제를 촉구했다. 미국조차 블록버스터라 해도 전체 스크린의 20% 정도에서 상영된다고 강조했다. 한국영화평론가협회는 “정부와 영화계의 즉각적인 협상 테이블 구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반면에 규제가 만능은 아니라는 신중론도 상당하다. 법적 규제에 위헌 소지가 있고 부작용이 예상된다며 자율 규제를 강조한다. 흥미로운 것은 스크린 독과점 이슈를 둘러싼 영화계 내부의 양상이다. 한 평론가는 “이른바 진보 좌파 영화인들이 영화의 경제민주화 이슈인 스크린 독과점에 대해서는 유독 소극적”이라며 “ 돈줄인 거대 기업에 찍히면 제작자든 감독이든 평론가든 살아남기 힘들다는 방증”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사실 스크린 독과점은 오래된 이슈다. 명분(이상)과 현실의 갭,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이기도 하다. 관객의 다양한 선택권 보장을 위해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지만 정작 극장은 관객이 원한 영화를 틀었을 뿐이라고 항변한다. 물론 규제론자들은 그 관객의 선택, 취향이라는 것도 극장이 만든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니까 결국 관건은 관객이다. 소비자가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독립 다큐멘터리 감독인 이성규씨는 페이스북에 “대형마트에 라면이 달랑 두 회사 것밖에 없다면 난리가 날 것이다. 언론도 보도하고 소비자 관련 단체도 성명서를 쏟아부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일이 영화에서 벌어지고 있는데 사람들의 반응이 없다. 지금 한국의 관객은 영화 자본이 지정해 주는 영화만 볼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 왜 이런 것에 저항하지 않는가”라고 썼다. 말하자면 영화에도 소비자 운동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다양한 영화를 볼 권리를 침해당한 관객들의 분노가 실체임을, 영화의 종 다양성이 구두선이 아니라 소비자의 진짜 권리이고 진짜 욕구임을 보여줘야 할 때다. 양성희 문화스포츠 부문 차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