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경험자 760만 명 미경험자 4040만 명 그래서 역사교육이 필요하다
Published: 12 Aug. 2013, 19:00
전 세계적으로 독립•해방 바람이 불고 있었기에 선진국 좌파 지식인들도 남한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아니었다. 프랑스 공산당(PCF) 기관지 ‘뤼마니테’의 50년 6월 26일자 기사 제목은 ‘한국에서 미국의 꼭두각시들에 의한 중대한 전쟁 도발. 인민공화국의 군대가 남한군의 침략에 의기양양하게 대응하다’였다. 장 폴 사르트르는 북침설을 주장하다 남침이 점차 분명해지자 “미국의 사주를 받은 남한의 함정에 빠져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우기기도 했다.
6•25가 북한이 소련•중국과 짜고 일으킨 전쟁이라는 사실은 이제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중국은 물론 소련군도 직접 참전(제64전투비행군단)했다. 자라나는 세대는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을까. 지난주 박근혜 대통령이 “한탄스럽게도 학생들의 약 70%가 6•25를 북침이라고 한다”고 지적하면서 역사교육 논란이 벌어졌다. 대통령이 지적한 설문조사 문항의 ‘북침’을 학생들이 ‘북한이 남한을 침략’했다는 뜻으로 오해했을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됐다. 새누리당 이학재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에 의뢰해 ‘6•25 전쟁은 누가 일으켰나’라는 질문으로 다시 조사해보니 응답 학생의 86.8%가 북한이라고 했다니 아주 걱정할 일은 아닌 듯하다.
안전행정부가 주관한 다른 조사에서는 중•고교생의 52.7%가 6•25 전쟁 발발연도를 모르고 있었다 한다. 장년층 이상에겐 한심해 보이겠지만 한편으로 6•25가 서서히 ‘역사’에 편입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 나만 해도 6•25 때 제주도로 피란 갔던 어머니가 공비에 끌려가다 탈출한 적이 있고, 당숙은 참전용사 연금 수혜자다. 생생한 체험담을 들으며 자란 나와 지금 젊은 세대는 또 다를 것이다. 체험과 역사는 아무래도 농도가 다르다.
남한 인구 4799만여 명 중 갓난아기 적에라도 6•25의 포성을 들어본 세대(만 60세 이상)가 760만6903명, 휴전 이후 태어난 세대(0~59세)는 4038만3858명이다(2010년 현재). 760만 명 대 4040만 명. 차이는 갈수록 벌어질 것이다. 이미 초점은 ‘전쟁의 기억’에서 ‘기억의 전쟁’으로 이동하고 있다. 역사교육에 보다 공을 들여야 하는 이유다.
노재현 논설위원•문화전문기자
내가 한 영작
When North Korea invaded ⓐthe South ⓑin the early morning of June 25, 1950, ⓒNorth Korea’s strength was incomparable to that of ⓓSouth. It is a natural consequence that Seoul ⓔfell in three days. However, then Minister of Defense Shin Seong-mo bragged in a press conference in January, “We have all the preparation to recover the lost territory and are waiting for the order.” ⓕIn the annual report by the United States Military Advisory Group to the Republic of Korea ⓕdiagnosed that the level of the ROK Army in June, 1949 was similar to the U.S. Army at the time of the Civil War in 1775.
ⓐ the South → South Korea 처음 표현에서는 정식으로 하고 점차 약식으로
ⓑ in the early morning of June 25 → on June 25, 1950 아침은 명확한 경계가 있는 시점이 아니므로 전치사 in과 함께 쓰이나 특정한 날의 아침에는 on과 함께 씀, 여기서는 아예 이른 아침이라는 표현을 뺌, 내용 전개상 꼭 필요한 내용이 아님
ⓒ North Korea → the North North Korea는 앞에서 나온 표현이므로 반복을 피하여 약식으로 표현
ⓓ South → the South 남한을 지칭하는 경우 the 필요
ⓔ fell → fell to the North 북한에게 함락된 것을 명시
ⓕ In the annual report…diagnosed → The annual report… had said 전치사 in으로 문장을 시작하면 문장의 주어가 없는 상태가 됨, diagnose는 영어에서는 주로 의학적인 진단을 뜻함
Writing Tip
When North Korea invaded ⓐSouth Korea ⓑon June 25, 1950, ⓒthe North’s strength was incomparable to that of ⓓthe South. It is a natural consequence that Seoul ⓔfell to the North in three days.
However, then-Minister of Defense Shin Sung-mo bragged in a press conference in January 1950, “We have all the preparation to recover the lost territory and are waiting for the order.” ⓕThe annual report by the United States Military Advisory Group to the Republic of Korea ⓕhad said that “the level of the ROK Army in June 1949 was similar to the U.S. Army at the time of the Civil War in 1775.”
내가 한 영작
But in another survey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52.7 percen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know the year that the Korean War broke out. While ⓑolder generation may think ⓒit is pathetic,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trend that the Korean War is gradually becoming a part of ⓓthe “history.” I grew up hearing personal stories of the war. My mother had escaped from guerillas when she was ⓔtaking a refuge in Jeju Island. And my uncle is a war veteran and still receives pension benefits.
ⓐ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 older generation → older generations 여러 세대가 있을 수 있음, 여기서는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사람들을 뜻함
ⓒ it → that 바로 앞에 나온 내용은 우선 that으로 받고 그 다음 부터 it으로 지칭
ⓓ the “history” → history 일반적인 역사에는 the를 붙이지 않음, 인용부호는 오히려 실제로는 아니라는 뉘앙스를 줌
ⓔ taking a refuge → taking refuge take refuge는 ‘피신하다’를 뜻하는 관용적 표현
Writing Tip
But in another survey by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52.7 percen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know the year that the Korean War broke out. While ⓑolder generations may think ⓒthat is pathetic,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trend that the Korean War is gradually becoming a part of ⓓhistory. I grew up hearing personal stories of the war. My mother had escaped from guerillas when she was ⓔtaking refuge on Jeju Island. And my uncle is a war veteran and still receives pension benefits.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