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ing an issue out of racism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aking an issue out of racism

테스트

The only famous American women I knew about before I went to study in the United States were Helen Keller and Harriet Beecher Stowe, the author of “Uncle Tom’s Cabin.” Then, I learned about Rosa Parks. An African American, she refused to obey a bus driver’s order to give up her seat to a white passenger, and her arrest helped propel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resistance to racial segregation.

While I knew little about Rosa Parks, a middle school student passionately explained her life and the significance of her action to me. He described Parks as a symbolic figure who changed America’s modern history. I realized that even middle school students consider racial discrimination a heinous crime in the United States.

That’s why I paid special attention to a racial discrimination suit that a fired white employee filed against a Hyundai Heavy Industries subsidiary in Atlanta, Georgia. While the court didn’t accept the plaintiff’s charges, we need to take note of his claims.

The head of the subsidiary made racial jokes, and Korean employees had a cliquish culture that excluded locally hired employees. If the suit were filed by a non-white American, would the company have been able to avoid the charge? Hyundai may have benefitted from the preconception held by many in America that Caucasians are traditionally the inflictors of racial discrimination.

Koreans have only a vague sense of racism, largely because the country has long believed itself to be made up of a single ethnic group. Koreans are not generous about accepting foreigners and are insensitive to their claims of discrimination. Last year, a broadcasting station aired a segment about the dangers of Korean women dating foreign men. While foreign media called video segment discriminatory and resident foreigners protested, not many Koreans or domestic media outlets took the claims seriously. The lawsuit in Atlanta was similarly overlooked.

If Korea could remain a homogenous country forever, there would be no problem. But those days are over. Korean companies are going global, and we cannot survive without living alongside foreigners. Multicultural families are already becoming a part of our communities. Since they are Korean citizens, policies are being made to ensure their well-being.

As yet, those policies are limited to education and human rights protection. So far, we don’t have any programs aimed at teaching Koreans how to live harmoniously alongside people with different backgrounds, worldwide efforts to eradicate discrimination and why racism is a crime.

At this rate, Koreans who make racial jokes without realizing how offensive they’re being could end up in trouble in countries where even middle school students are aware of the sensitivity of the issue. Korea is already a global economic power. We need to begin educating our citizens how to become global citizens, before it’s too late.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내가 아는 유명한 미국 여성은 헬렌 켈러와 ‘톰 아저씨의 오두막’ 작가 스토 여사 정도였다. 미국에 잠시 공부하러 가기 전까지는 말이다. 그러다 미국에서 새로 각인된 인물은 로자 파크스였다. 백인에게 자리를 내주라는 버스 기사의 요구를 거부해 체포되면서 미국 흑인인권운동의 불씨를 지폈고, 이후 인종분리정책의 폐지까지 이끌어낸 중심 인물이다. 당시 로자 파크스를 잘 몰랐던 내게 그녀를 알려준 건 중학생이었다. 그는 그녀의 생애와 행위의 의미에 대해 열변을 토했다. 그녀는 미국을 바꾼 현대사의 대표 인물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미국에선 중학생들도 인종차별을 흉악한 범죄로 꼽는다는 것을 알게 됐다.
 최근 애틀랜타 현대중공업에서 해고된 백인이 인종차별을 당했다며 낸 손해배상 소송사건이 예사롭지 않아 보인 건 이런 경험 때문이다. 현대중공업이 소송에선 이겼지만 지적된 내용은 그리 가볍지 않다. 당시 한국인 법인장은 인종 관련 농담으로 논란을 일으켰고, 한국인들은 자기네끼리 뭉쳐 현지 고용인에게 소외감을 줬단다. 이런 생각도 들었다. 소송 제기자가 백인이 아닌 유색인종이었다면 과연 기업이 이길 수 있었을까? 백인은 인종차별의 가해자라는 미국인들의 선입견 덕에 간신히 이긴 건 아닐까?
 원래 한국인은 ‘인종차별’이라는 개념 자체가 약하다. 단일민족으로 오래 살아와서 그럴 거다. 외국인을 받아들이는 데도 인색하고, 그들이 인종차별 문제를 제기해도 반응이 둔하다. 지난해 한 방송사가 외국인 남성과 한국인 여성의 교제 실태라는 영상을 내보냈다 외국 언론에서도 인종차별을 지적당하고, 한국에 사는 외국인들이 방송국에 항의 방문을 하는 등 들끓었는데도 이에 귀를 기울인 한국인은 별로 없었다. 언론을 포함해서. 이번 애틀랜타 소송도 마찬가지다.
 물론 우리가 계속 단일민족 국가로 살 수 있다면 그래도 큰 문제는 없을 거다. 그러나 이미 그런 시절은 지났다. 한국발 글로벌 기업이 줄줄이 나오는 판에 외국인과 함께하지 않으면 먹고살 길도 없다. 다문화 가정도 일상화됐다. 물론 이들은 우리 국민이니 정책이 있다. 한데 겨우 당사자 교육과 인권 보호 차원을 넘지 않는다.
다른 인종과 어울려 사는 법, 인종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 인종차별이 왜 범죄인지 등을 가르치는 대국민 글로벌 시민 교육은 취약하다. 이대로 가면, 중학생까지 인종차별은 범죄라고 알고 있는 나라에서 ‘인종차별 농담’을 유머랍시고 날리고 자신이 인종차별을 했는지도 모르고 시비에 휘말리는 사례가 얼마나 더 나올지 알 수 없다. 이미 한국은 지구촌이 주목하는 경제대국이다. 글로벌 시민 교육을 국사 교육만큼 열심히 해야 할 때가 된 것 같다. 더 늦기 전에….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