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nd Chuseok with family, tea
Published: 04 Sep. 2013, 20:10
“My grandfather lived in Hamyang, South Gyeongsang, and every spring, he set out with two cows and his servant. I accompanied him. He would first stop at the tea fields in Hadong and purchase tea after checking the process of harvesting and roasting the leaves. Then he would give one of the cows as the price for the tea. Then he would cross the Seomjin River and visit Mr. Heo, an artist who painted Mount Mudeung. He would share the tea, compose poems and write calligraphy for about a month. He would bring back a few paintings, and present Mr. Heo with several boxes of tea and the remaining cow. Then the three of us would walk back home. I can still visualize the servant carrying the paintings and climbing Mount Jiri.”
Fortunately, I got to have three memories related to tea this year. In June, I had a temple stay at Buseok Temple in Seosan, South Chungcheong. The head monk Ju-gyeong offered me a calming green tea. He said, “The first cup is enjoyed for its aroma, the second for the taste, and the third is enjoyed with the heart.” The taste of the tea at the temple became a comforting memory, along with the long twilight in Seosan.
On a rainy day in August, I encountered the silky fermented tea at the Dasan Chodang in Gangjin, South Jeolla. Thanks to the tea offered by the resident instructors who teach tea ceremony, calligraphy, traditional manners and Silhak tradition, I could recover my energy. The trips to Seosan and Gangjin were not planned properly, but I am grateful that I took the journeys, thanks in part to the pleasant memories of the tea.
Recently, a friend offered a chance to enjoy traditional tea made by the venerable Myodeok, a master monk of “the nine rounds of roasting” method. The tea not only stimulated my appetite but also made me happier. I was amazed by the tea, and thought tea may be the tradition, culture and identity of Korea.
Yesterday, I went shopping for holiday gifts for relatives. I was looking for a nice tea set, but the selection was limited. The sales clerk said that coffee’s popularity has overwhelmed the demand for tea. Perhaps, it’s not just the tea bu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mental relaxation that are being pushed over. This Chuseok holiday, I want to present my friends and family with traditional tea to enjoy over sweet conversation.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IN-TAEK
세상이 아무리 시끄러워도 계절은 어김없다. 이젠 아침저녁으로 바람이 선선하니 따스한 차 한 잔이 그립다. 문득 차를 가르쳐준 스승인 고 양함기 선생이 떠오른다. 일제에 항거해 동맹휴학이 한창이던 1930년대 중앙고보에 다니다 “공부할 사람은 공부해야 민족의 미래가 있다”는 현상윤 교장(3·1운동 민족대표 48인의 한 명으로 해방 뒤 고려대 초대 총장)의 권유로 일본 유학을 떠나 의사가 된 분이다. 그분이 생전에 차에 얽힌 어린 시절 추억을 들려준 적이 있다. “경남 함양에 살던 조부께서 봄이 오자 하인을 시켜 소 두 마리를 앞세우고 길을 떠나셨어. 나도 따라갔지. 먼저 하동 차밭에 들러 찻잎을 따고 덖는(차 가공 과정) 과정을 일일이 보면서 차를 사셨어. 차 값으로 소 한 마리를 치렀고. 그런 다음 섬진강 건너 무등산 자락의 그림 그리는 허 선생 댁에 가서 차를 나눠 마시며 시 짓고 글씨 쓰고 시조도 하며 한 달쯤 지내다 그림 몇 점을 들고 돌아오셨어. 차 몇 통과 남은 소 한 마리를 그 댁에 드리고 셋이서 걸어서 돌아왔지. 그림 두루마리를 등에 지고 지리산을 넘는 하인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네.” 우리 차에는 이처럼 한 폭의 그림 같은 사연이 담겨있고 유구한 역사가 깃들였으며 속 깊은 문화가 녹아있다고 할 것이다. 마침 올해는 운 좋게도 차에 대한 추억을 세 가지 만들 수 있었다. 지난 6월 충남 서산의 부석사에 템플스테이를 갔을 때는 주지인 주경 스님이 우려낸 깔끔한 녹차에 피로가 풀리며 마음이 차분해졌다. 일행에게 “첫 잔은 향으로, 둘째 잔은 맛으로, 셋째 잔은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라며 차를 돌리던 스님의 두꺼비처럼 여유있는 모습이 떠오른다. 절집 차 맛은 여운이 유난히 길었던 서산의 석양, 칠흑 같은 산사의 밤과 더불어 두고두고 편안한 기억으로 남았다. 지난달엔 비 오는 날 전남 강진의 다산초당에선 부드러운 발효차를 만났다. 그곳에서 학생들에게 차와 서예, 전통예절과 실학정신을 가르치는 분들이 비 맞은 길손에게 내놓은 차 덕분에 기운을 차릴 수 있었다. 서산과 강진 모두 허겁지겁 어렵게 떠난 길이었는데 가길 잘했다는 생각이 드는 데는 차에 대한 기억도 한몫했을 것이다. 얼마 전엔 친구가 ‘아홉 번 덖음차’의 명인이라는 묘덕 스님이 만든 전통차의 감칠맛을 보여줬다. 입안에 온통 군침이 돌더니 기분까지 좋아졌다. 이런 차도 있나 싶었다. 차야말로 한국의 전통이요, 문화요, 정체성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어제 집안 명절선물을 살피러 시장에 들렀다. 차를 찾았더니 구색이 그리 많아 보이지 않았다. 커피 바람에 밀려서라는 게 직원의 말이었다. 밀리는 건 차가 아니라 우리네 마음의 여유이고 한국 고유의 음료 문화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이번 한가위엔 이야기가 담긴 차를 마시며 오롯이 정담을 나눌 수 있도록 소중한 분들에게 우리 차를 선물해야겠다. 한가위가 딱 보름 앞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