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the changed nuclear stanc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y the changed nuclear stance?

South Korean and U.S. military officials have agreed that North Korea’s nuclear arms capabilities are now a real threat, said South Korea’s defense minister, Kim Kwan-jin. That is a major shift in Seoul’s assessme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it remained skeptical even after Pyongyang’s third nuclear test earlier in the year. In April, the defense minister said at the National Assembly that North Korea is still incapable of developing nuclear warheads that could fit into long-range missiles. Seoul and Washington shared the revised opinion of the threat during the Korea-U.S. Integrated Defense Dialogue in Seoul in July. Security strategy and readiness have to be reinforced based on the new judgme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arms program.

Kim told the Assembly’s defense committee on Tuesday tha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remained at a developmental and experimental stage until 2010, but it has grown into a real threat in 2013, and is now capable of making and using nuclear arms at any time.” He added that the recent change in attitude by China toward North Korea also underscored the gravity of North Korea’s nuclear arms development.

Kim may have stepped up the alert on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o explain why Seoul asked Washington to extend the timetable for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 control, scheduled for December 2015. But that urgency cannot fully explain why the defense ministry suddenly concluded that Pyongyang’s nuclear capacity has reached the deployment level just a few months after it said it was still at an experimental stage.

Seoul and Washington have not worked aggressively to lure North Korea back to the six-party talks on denuclearization. They both have demanded that Pyongyang first show sincerity by acceptin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nspections. Both believed they could rein in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through international oversight, judging that North Korea was yet to weaponize its nuclear technology.

Our policy o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must change immediately if the North is capable of loading nuclear warheads on a missile. Along with aggressive diplomacy, Seoul must accelerate steps to establish systems to knock down the North’s missiles. The government must clearly explain how it arrived at the new assessment of the North’s nuclear program, as well as describe the measures it plans to take. It cannot ease the public jitters merely through a delay in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김장관 “언제라도 사용 가능” 국회 보고 전작권 재연기 목적이나 파장 훨씬 커 비핵화 노력 강화하고 킬 체인 서둘러야
한·미 군당국이 북한 핵능력을 ‘급박하고 직접적인 위협’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4월 김관진 국방장관이 국회에서 지난 2월 3차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무기 소형화에 성공하지 못했다고 단언한 것과 비교할 때 크게 달라진 것이다. 한·미는 이 같은 정보판단을 지난 7월 한·미 통합 국방협의체(KIDD)회의 등에서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북한 핵상황에 대해 한·미 양국의 판단이 달라짐에 따라 대북 핵정책의 변화와 안보 태세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3일 국회에서 2015년 12월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시점을 재연기할 것 미측에 제의한 배경을 설명하면서 “2010년까지는 개발·실험 수준이었으나 2013년 현재는 언제라도 핵을 무기화하여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실제 위협으로 발전”했다고 보고했다. 김장관은 또 “중국의 대북 태도 변화도 심각성을 반증”한다고 덧붙임으로써 북한이 핵무기 소형화를 통한 실전 배치에 임박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김장관의 발언은 전작권 전환 재연기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1차적 목적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그 함의는 그처럼 단순하지 않다. 3차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능력이 ‘아직 실전배치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과 ‘언제라도 실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은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한·미 양국은 6자 회담 재개와 관련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 수용 등을 요구하며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아직 무기화에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찰 등을 통해 북한 핵보유를 억제할 수 있다는 판단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이미 북한이 언제라도 무기화할 능력을 가졌다면 대북 핵정책은 시급히 적극적인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 동시에 북한 핵미사일을 선제 타격하는 킬체인(kill chain) 구축 등도 최우선적으로 서두를 필요가 있다.
정부는 북한 핵능력에 대한 평가가 달라진 이유를 분명히 밝히고 대처 방안도 시급히 제시해야 한다. 전작권 전환 재연기만으로는 자칫 불안만 조성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