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seniors’ sake, let’s share burde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or seniors’ sake, let’s share burden

테스트

I grew up in a small city, where a municipal nursing home was located on a hill. It was the biggest building in the village, and people called my village “nursing home town.” It was built by U.S. forces after the 1950-53 Korean War, and their unit contributed to the operation greatly. U.S. soldiers used to bring trucks full of flour, cornbread, powdered milk, cookies and candy. Thanks to the underprivileged senior citizens, children got to enjoy treats. I remember getting sick after drinking sour milk and being frightened after mistaking chewing tobacco as a snack.

In the 1960s, Korea was so poor that we had to get help from other countries. We could not support our own elderly. I used to play in the garden of the senior home with friends, and I often spotted seniors having simple meals. When they passed away, they were kept in a dark storage room for a couple of days, and when no family members or relatives came to collect the body, they were covered in straw bags and carried to the cemetery on a handcart. Young children used to test their nerves to go into the room with the body of the deceased at night. I feel very sorry for this disrespectful behavior.

In 1965, senior citizens at the nursing home over 65 were mostly born between 1880 and 1900. They were born in the last years of the Great Han Empire and experienced the fall of the empire, colonial rule, the Korean War and authoritarian dictatorship. They may be the most unfortunate generation in modern history. And they did not live to taste the fruits of economic growth, and the keywords of their lives were “poverty” and “suffering.”

Today, the elderly poverty rate of Korea is the highest amo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but seniors today are far better off than those who died in the 1960s. How about we look at the ongoing basic pension dispute from the generational point of view? I think the easing of long-term financial burden should be prioritized rather than keeping a pledge. So I support the government’s plan. Those with desperate needs should receive benefits first. Korea was built on the sacrifice of the older generation in the 1960s. For future generations, we need to learn from the sacrifices of our ancestors.

I am not the only one willing to share the burden. Painter Kwak Hoon, 72, is well over 65 but still pays for subway tickets.

“Nothing comes for free. When I can afford the subway fare, why should I ride for free?” said Kwak.

A few days ago,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Oh Jong-nam, 61, said, “If the government pays me 200,000 won ($187) in a few years, I will bet 200,000 won worth of worries. I’d feel more comfortable not taking the money.”

The 200,000 won may be as valuable as 2 million won to some, while others could spend it as quickly as 20,000 won. It is wrong that those who aren’t desperate claim that they’re vulnerable and needy.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내가 자란 지방도시 동네 언덕에 시립양로원이 있었다. 마을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다. 그래서 우리 마을은 ‘양로원 동네’라 불렸다. 한국전쟁 후 미군이 지어준 양로원이었는데, 운영 면에서도 미군부대 신세를 많이 졌다. 추수감사절·성탄절에는 미군들이 밀가루 부대·옥수수빵·가루우유·과자·사탕을 트럭에 산더미처럼 싣고 왔다. 불우한 노인들에 묻어서 아이들도 혜택을 입었다. 딱딱하게 굳은 우유를 먹고 배탈난 기억이 있고, 씹는 담배를 과자로 알고 입에 넣었다 기겁한 적도 있다.
가난하던 1960년대. 나라 살림 꼴로 감당 안 되기에 남의 나라에 손을 벌렸다. 우리 어르신을 우리 손으로 부양하지 못한 것이다. 양로원 마당에서 친구들과 놀다 노인들 식사하는 모습을 보면 만날 꽁보리밥에 멀건 국, 신 김치였다. 돌아가시면 컴컴한 창고방에 하루 이틀 모셔두다 연고자가 안 나타나면 가마니 덮고 손수레에 실어 공동묘지로 옮겼다. 철없는 아이들은 밤중에 시신이 모셔진 창고방에 들어갔다 나오는 담력내기 놀이를 했다. 늦게나마 왜 죄송하지 않겠는가. 1965년 기준, 65세 이상으로 치면 당시 양로원 노인들은 대개 1880~1900년 출생이었다. 구한말에 태어나 망국, 식민지 수탈, 6·25전쟁, 독재를 차례로 겪은, 근·현대사상 가장 불행한 세대다. 도대체 경제발전의 열매라곤 단 한 모금도 맛보지 못했으니, 그분들의 삶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가난’과 ‘고난’뿐이다.
비록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이미 세상을 뜬 그 시절 노인보다 나을 것이다. 지금 한창인 기초연금 논란을 이런 세대 관점에서 바라볼 수는 없는가. 개인적으로 공약 이행보다 장기적인 재정 부담 완화가 우선이라고 본다. 그래서 일종의 고육책인 정부안에 수긍한다. 꼭 필요한 사람 순서로 지원해야 한다. 60년대 양로원 세대의 희생을 딛고 지금의 대한민국이 일어섰다.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지금 세대가 선배들 희생의 절반이라도 본받아야 하지 않을까.
둘러보면 나만 그런 생각을 하는 게 아니다. 원로 서양화가 곽훈(72) 씨는 65세가 한참 지났지만 지하철 요금을 꼬박꼬박 낸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능력 있는데 공짜로 타면 사람이 처량해 보이지 않겠는가”라고 그는 말한다. 며칠 전 TV토론에서는 서울대 오종남(61) 교수가 “몇 년 후 정부가 나보고 20만원을 받으라 하면 20만원 이상의 걱정이 들 거다. 나는 20만원 안 받는 게 마음이 편하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20만원이 누구에겐 200만원처럼, 누구에겐 2만원처럼 쓰일 수 있다. 안 그래 보이는 사람들마저 약자고 을(乙)이고 가난하다고 외치는 풍경은 별로 아름다워 보이지 않는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