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petrators too often labeled insan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erpetrators too often labeled insane

The recent Navy Yard shooting in Washington, D.C. was an unexpected attack by a delusional gunman. On Sept. 26, the FBI revealed that Aaron Alexis, who worked for a military subcontractor, suffered from delusion and auditory hallucinations. A note stating that he was being controlled by “an ultra-low frequency attack” was also released. The authorities claimed that his psychological condition is a likely motivation for the mass murder.

In a way, that conclusion has been expected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incident. The FBI and American media focused on the metal state of Alexis from the day of the attack. They tracked down information about his background, the neighborhoods where he grew up and acquired statements that he had problems controlling his anger. While some said he was pleasant and normal, he was labeled as having an anger management problem.

As the rampage that left 13 people dead at the center of the American capital was being called the abnormal behavior of an insane person, other social issues were left hidden. The news no longer mentions that the perpetrator was unhappy with the wages, welfare and contract with his employer.

The military security issue is not highlighted enough when it poses serious concerns. People seem to feel that it is fortunate that the perpetrator was mentally insane. They want to believe that such a tragedy can only be committed by an unusual person in an extraordinary circumstance.

When a shooting incident or heinous crime occurs in the United States, similar patterns are repeated. The perpetrators are labeled with various conditions. If there’s no clinical condition to associate with a criminal, he is branded “a loner with no friends.” When that’s not enough, clues are sought even from the kind of music the perpetrator had listened to. It may be my personal prejudice, but Americans seem to have preconceived ideas that a criminal must have a mental condition.

The perpetrator of the Sandy Hook Elementary School shooting in which 20 children were killed in December was thought to have had developmental and personality disorders. Twenty-year-old Adam Lanza grew up in a well-to-do family and was smart, but he did not get along with people.

However, the motivation of the rampage remains unknown because Lanza killed himself. It is believed that he had suffered from mental illness and committed the crime impulsively.

Last month, a 20-year-old man attempted to commit a similar crime at an elementary school in Georgia, and a similar diagnosis has been given on him as well.

If the responsibility is put on an individual, the public can avoid panic temporarily because it is not a “structural problem” that individuals cannot run away from. But when the society is not held accountable, similar incidents will be repeated. Can we say shooting incidents happen so often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there are more insane people there?

After the Navy Yard shooting, U.S. President Barack Obama advocated a stronger need for gun control, but it was met with little support. Guns are not the only issue.

The latest major crimes in the United States are related to social frustration or discord. However, individuals are always blamed. If the systematic problem is not addressed, reform is not possible.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By LEE SANG-BOK



지난주 미국 수도 워싱턴을 긴장시켰던 해군기지 총격 사건은 한 정신이상자의 돌발행동으로 요약되고 있다. 연방수사국 FBI는 26일 군 하청업체 직원이었던 범인 알렉시스가 환청과 망상에 시달려 왔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그가 범행 직전 “주파수 공격을 받고 있다”고 적은 노트 내용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정신장애가 범행의 직접적 원인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어찌 보면 사건 초부터 예견됐던 결과였다. FBI와 미국 언론들은 첫날부터 범인의 정신질환 문제를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알렉시스가 자란 동네를 샅샅이 뒤져 평소 분노를 잘 참지 못했다는 증언을 끌어냈다. “평범하고 쾌활한 청년”이란 평도 많았지만 일찌감치 ‘분노조절장애’란 병명이 그에게 붙여졌다.


수도 한복판에서 13명이 사망한 이 사건이 정신질환자의 이상행동으로 귀결되면서 다른 사회적 이슈들은 자연스레 묻혀졌다. 범인이 불만을 품어 왔다는 급여와 복지, 군 하청업체 계약 문제 등은 언급조차 되고 있지 않다. 군 보안 문제도 사안의 심각성에 비해 너무나 미온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대신 모두들 범인이 정신이상이어서 다행이라는 분위기다. 이런 비극이 특별한 사람의 특별한 행동이었다고 믿을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총격 사건이나 잔인한 범죄가 일어나면 비슷한 패턴이 반복된다. 범인들에겐 다양한 이름의 병력이 붙여진다. 마땅한 병명이 없으면 ‘친구가 없던 외톨이’란 낙인이라도 찍힌다. 그것도 부족하면 평소 어떤 음악을 들었는지까지 나온다. 개인적 편견일진 몰라도 범인의 정신이 이상한 걸 입증하고 말겠다는 강박관념까지 느껴질 정도다.


 지난해 12월 초등학생 20명이 죽은 코네티컷주 총기 사건의 범인은 발달 및 인격장애가 있는 것으로 결론내려졌다. 스무 살 청년 애덤 랜자는 가정도 부유했고 무척 똑똑했지만 사람들과 전혀 어울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본인이 자살해 범행 의도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정신질환에 따른 우발적 행동이라고 믿고 있을 뿐이다. 지난달 조지아주 초등학교에서 유사범죄를 저지르려 했던 스무 살 청년에게도 비슷한 진단이 내려졌다.


 이런 식으로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면 일시적 공포는 피할 수 있다. 개인이 벗어나기 힘든 구조의 문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임을 사회에 묻지 않으니 같은 사건이 재연되게 마련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일어나는 미국의 총기 사건을 특별히 정신이상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까. 워싱턴 해군기지 사건 이후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총기규제의 필요성을 외쳤지만 민망할 정도로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비단 총기만의 문제도 아니다. 요즘 미국 내에서 일어나는 대형 범죄들은 대부분 사회적 분노나 갈등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늘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는 데 급급한 상황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시스템을 건드리지 않으면 개혁은 불가능하다.


이상복 워싱턴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