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partisanship for mutual wrong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ipartisanship for mutual wrongs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vied to make ambitious promises about political reform during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Both vowed to relinquish various prerogatives our lawmakers enjoy, but it has been nearly a year so far and there has been no follow-up. Lawmakers set up committees that exist merely in name and hold book publishing ceremonies to raise funds once in a while.

So far, they have changed three things - prohibiting lawmakers from holding extra jobs while serving in public office, strengthening the punishments against violence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revising the pension programs for retirees. But lawmakers have been mum on the centerpiece of the reform outline: the elimination of immunity against arrest and a restriction on various sources of income.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members were absent from legislative sessions during the summer because of their street protests. But no one raised the issue of a no-work, no-pay principle. The DP had promised to cut lawmakers’ incomes by 30 percent. The ruling Saenuri Party also agreed to discuss scaling down salaries and apply a no-work, no-pay principle in a joint reform committee. But the parties didn’t cut one cent when setting this year’s spending budget for lawmakers.

The ad hoc committees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receive a budget of 25 million won ($23,338) to 30 million won for six months of activities, with executive-level lawmakers receiving that money. Some special-purpose committees are under fire for merely serving as piggy banks for senior politicians. Some committees do not work or meet, while the extra money gets pocketed just the same. A handsome amount of allowances are handed out to lawmakers who go on trips abroad.

Lawmakers hold publishing ceremonies ahead of much-publicized events on the National Assembly calendar, such as the annual audit and the budgetary review. The funds and donations at these informal meetings don’t come under scrutiny for political fund-raising, which allows our lawmakers to easily make millions of won through these events.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lso promised to scrap their authority for recommending candidates for mayoral, gubernatorial and local council offices. The DP approved it in a first-ever all-party member vote. But politicians are dragging their feet in making the bill into a law. Many cannot surrender the influential right to name candidates for public offices in their constituencies. Partisan bickering has put the National Assembly in a stalemate throughout the year. But somehow bipartisanship is at play when their mutual interests are at stake.


지난해 12월 대선 때 여야는 경쟁적으로 대대적인 정치개혁을 공약했다. 그 중 의원 특권 폐지는 핵심이다. 그런데 1년이 다되어오지만 실천은 미흡한 수준이다. 오히려 무노동 특위나 모금형 출판기념회 같은 편법 특권이 기승을 부린다.
현재까지 실천된 건 국회의원 겸직 금지, 국회폭력 처벌 강화, 헌정회 연로회원 지원금(일명 의원연금) 개선 등 3가지에 불과하다. 불체포 특권이나 경제적 수입에 관한 한 의원들은 요지부동이다. 지난 여름 민주당이 국회를 비우고 장외투쟁에 몰두했지만 ‘무노동 무임금’은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대선 때 민주당은 세비 30% 삭감을 공약했다. 새누리당은 무노동 무임금과 함께 정치쇄신특위에서 합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그런데 대선 후 여야는 2013년도 세비를 정하면서 전년보다 단 1원도 줄이지 않았다.
여야가 슬그머니 만드는 비상설 특위는 대개 6개월 활동에 2500만~3000만원 활동비를 받는다. 이런 돈은 주로 위원장을 맡는 여야 중진이 챙긴다. 그래서 일부 특위는 중진의원의 호주머니를 위한 위인설관이란 비판을 받는다. 어떤 특위는 일도 안하고 그 돈을 받는다. 전형적인 무노동 유보수다. 의원들은 의정활동으로 외국에 가면 교통비·숙박비·출장비를 두둑이 받는다.
국정감사나 예산안 심사처럼 국회가 영향력을 발휘하는 행사를 앞두면 의원들의 출판기념회가 많이 열린다. 여기서 거두어 들이는 돈은 정치자금법 규제를 받지 않는다. 사실상 편법 모금인 셈이다. 의원들은 수 천 만원을 쉽게 모을 수 있다.
여야는 기초 자치단체장과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 공천을 폐지하겠다고 공약했다. 민주당은 얼마 전 사상 최초로 당원 투표를 통해 이를 확정했다. 그렇지만 여야는 지방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입법을 질질 끌고 있다. 의원들이 자기 지역구의 후보에 대한 공천권을 포기하지 않으려는 것도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많다.
여야는 국정원 사건과 정상회담 대화록을 놓고 격하게 싸운다. 하지만 특권에 관한 한 여야는 이불 속에서 뒹굴고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