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rony of Chinese reform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irony of Chinese reform

Let’s look at the numbers 12,808 and 326 first.

The former is the number of times the term “reform” has appeared on official documents from China’s Central Committee over the last 30 years after China began opening and reforming in 1978. The Hong Kong newspaper Ta Kung Pao counted every single one of them. The latter is the number of times the word “reform” has appeared in 12 major Western media outlets, including The Washington Post, in the last 20 days of their coverage of China.

Reform is undoubtedly the keyword in China, and, if anything, emphasis on it has been growing since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8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began, setting the state administration’s direction for the next decade of the Xi Jinping era. Newspapers, broadcasters and state leaders are advocating reform every day. There has been a flood of “reforms” to such a degree that it is tiresome. We need to be more careful in looking at the essence of China’s reform.

First of all, China’s reforms are ambiguous and unclear. There are a lot of reform measures, but they lack detail and substance - at least, many in Korea and the West think so. Maybe not the Chinese. The day after the plenary session, the headline of the party’s People’s Daily read, “The answer is to pursue development in stability.” But the content was even more confusing. For example, it said that China needs to win the tru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hange the system to reconsider its growth model - all just rhetoric. We can only interpret that the plenary session reforms are designed to pursue change gradually to avoid confusion.

Second, they use logic and words that circumvent the hopes of the public. From the Western perspective, the core of China’s reforms should focus on the decentralization of party authority and an introduction of a system of check and balances. However, China has no intention of giving up control. Pursuing reform while leaving the party’s absolute authority intact does not correspond with British political philosopher John Acton’s saying, “Power tends to corrupt, and absolute power corrupts absolutely.”

At the 14th National Congress Plenary Session two decades ago, “state-owned corporation reform” was the topic of the day,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market economy and the expansion of an open market. But the same three reforms have been proposed once again. China’s leaders surely know that the party’s control of state-run corporations is a major cause of its problems.

Third, China is suffering from reform fatigue. Last month, the People’s Daily lamented and acknowledged that reform pla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have not been implemented in many regions. So the reform in China always focuses on “modification,” but not radical change.

*The author is the Beijing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By CHOI HYUNG-KYU



우선 숫자부터 보자. ‘12808’과 ‘326.’
전자는 홍콩의 대공보라는 신문이 중국이 개혁개방을 시작한 1978년 이후 30년간 공산당 중앙위원회 공식 문건에 등장한 ‘개혁’이라는 단어를 모두 세보고 확인한 횟수다. 후자는 최근 20일간 워싱턴 포스트 등 12개 주요 서방 주요언론의 중국관련 보도에 나타난 ‘개혁’이라는 단어 등장 횟수다. 이 정도면 중국에서 개혁은 국시고 일상 생활이라 할 만하다. 한데 요즘은 더한다. 9일부터 시진핑(習近平) 시대 중국 10년의 국정 방향을 정한다는 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가 시작돼서다. 신문이든 방송이든, 국가지도부든 날마다 개혁, 개혁, 개혁이다. 말 그대로 개혁의 홍수고 동시에 피로다. 그래서 중국개혁의 본질을 보려면 고민이 좀 필요하다.
우선 애매함과 모호함이다. 개혁은 난무하는데 구체성과 핵심을 찾기가 어렵다. 물론 중국인이 아닌 한국, 혹은 서구인의 눈으로 그렇다는 얘기다. 3중전회가 열린 다음날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1면 톱 제목은 이렇다. ‘안정 속에 발전을 추구하는 게 핵심답안.’ 한데 내용을 읽어보면 더 헷갈린다. 예컨대 이번 회의를 통해 국제사회에 신뢰를 줘야 하며 시스템을 바꿔 발전모델을 제고해야 한다는 등 표현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말과 수사(修辭)의 잔치다. 문화로 보면 표의문자의 정신세계고 현실로 보면 자신의 변호에 익숙해야 했던 사회주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결국 이번 3중 전회 개혁 역시 혼란 없이 천천히 그리고 변화와 조정을 추구하겠다는 해석을 할 수밖에 없다.
둘째는 일반의 희망을 피해가는 논리와 화법이다. 서방의 시각으로 보면 중국 개혁의 핵심은 공산당의 절대권력 분산이고 상호 감시시스템 도입이다. 그러나 중국은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 논리를 포기할 생각이 없다. 당의 절대권력을 그대로 두고 개혁하겠다는 것은 ‘절대권력은 부패한다’는 영국정치철학자 액튼 경의 경구를 부정해야 하는 아픔(?)이 따른다. 좋은 예가 있다. 20년 전 제14기 3중전회에서는 ‘국유기업 개혁’이 화두였다. 그래서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확립하고 대외개방을 확대한다는 데 합의했다. 그런데 이번 3중 전회에도 이 세 가지 개혁안은 20년 전 내용 그대로 상정됐다. 당이 국유기업을 놓지 않아 일어난 일이라는 걸 중국지도부가 모를 리 없다.
셋째는 개혁의 폐색호 현상이다. 일종의 개혁 피로다. 지난달 인민일보가 통탄하며 인정했다. 즉 아무리 중앙에서 개혁안을 내려 보내도 지방에선 실행이 안 된다는 것이다. 지진 후 골짜리에 생긴 폐색호가 물의 흐름을 막는 것과 같다는 거다. 지방관은 말한다. “위에 정책이 있으면 아래에는 대책이 있다”(上有政策 下有對策)고. 그래서 중국의 개혁은 항상 ‘급변’보다는 ‘조정’에 방점이 찍혀 있다.
최형규 베이징 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