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lution from China must be addressed, ministry says

The city was barely visible yesterday under heavy air pollution hanging over Gangnam in souther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aid fine-particle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normal. By Oh Jong-taek 어제 서울 강남에 드리운 두꺼운 공기 오염으로 가시 거리가 거의 없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 먼지 집중도가 정상 보다 높았다고 말했다. 오종택 기자
■ fine-particle:미세먼지
■ concentration: 집중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서울과 인근 경기 지역의 미세 먼지 공해가 어제 정상보다 2~3배 그 집중도가 더 높았다.
The environment institute said that such hazardous atmospheric conditions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a massive amount of fine-particle pollution originating in China.
■ hazardous: 위험한 해로운
■ atmospheric: 대기의. 공기의
■ be attributed to~: ~의 탓이다. ~에 기인하다
환경 연구소는 그러한 위험한 대기 조건은 대부분 중국에서 만들어진 대규모 미세먼지 공해 탓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So it comes as no surprise that Beijing was wrapped in a blanket of smog at the end of last month. From afternoon on Nov. 22 until dawn on Nov. 25, the Chinese capital, like on many days, was choking from its own chronic pollution.
■ come as no surprise: 놀라운 일이 아니다
■ wrap: 싸다. 둘러싸다. 휘감다
■ choking: 숨막히는
■ chronic: 만성적인
따라서 베이징인 지난 달 말 스모그 담요에 둘러싸였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11월 22일 오후에서 11월 25일 새벽까지 중국의 수도는 다른 많은 날과 마찬가지로 만성적인 공해로 목이 막혔다.
The U.S. Embassy there, through its Twitter account, announced hourly measurements of the fine-particle concentrations in the air; and those figures peaked early Saturday morning, with fine-particle pollution reaching 394 micrograms per cubic meter - about 15 times wh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onsiders safe at 25 micrograms per cubic meter.
■ hourly measurement: 매시간 측정
■ World Health Organization: 세계보건기구
베이징의 미국 대사관은 트위터 계정을 통해 공기 중에 미세 먼지 집중도를 매시간 측정해 발표했다. 그 측정치는 토요일 아침 정점을 찍어 미세 먼지는 입방 미터당 394 마이크로그램을 기록했다. 이는 세계건기구가 안전하다고 여기는 입방 미터 당 25 마이크로그램의 15배 쯤이다.
But China is not the only one grappling with the pollution problem. Officials at Korea’s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long acknowledged that fine-particle matter from China is dirtying the skies of its neighbors to the east. The pollution has been particularly bad in Korea in recent weeks,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acknowledged, which is a cause for concern and further action.
■ grapple with: 씨름하다
■ Ministry of Environment: 환경부
■ further action: 추가 조치
그러나 중국이 공해 문제와 씨름하는 유일한 나라는 아니다. 한국의 환경부 관리들도 중국에서 날아 오는 미세 먼지가 동쪽 이웃 나라들의 하늘을 더럽힌다는 사실을 인정해 온지 오래다. 공해는 최근 몇 주 한국에서 특히 심각했다고 환경부 관리들은 인정했다. 이는 추가 조치와 걱정의 원인이다.
And putting an entirely new perspective on China’s smog problem, the United States has started expressing concern. Authorities there asserted that air composition in California is sometimes affected by fine particles that can be sourced back to Asia, which indicates that pollution from China is as far reaching as America’s West Coast. This fine-particle matter, also known as PM-2.5, is directly emitted from power plants, car exhaust, smoke and industrial gases, and usually contain various chemical elements. They are 2.5 micrometers in diameter or smaller - essentially invisible to the human eye.
■ assert: 주장하다
■ composition: 구성
■ emit: 방출하다. 내뿜다
■ car exhaust: 차량 배기가스
■ diameter: 직경
중국의 스모그 문제에 전혀 새로운 시각을 부여한 것은 미국이 우려를 표현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미국 당국은 캘리포니아의 공기 구성이 때때로 아시아에서 발생한 미세 먼지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이는 중국의 공해가 미국 서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 PM-2.5로도 알려진 이 미세 먼지 물질은 발전소, 차량 배기가스, 연기, 산업 가스 등에서 직접 방출되고 대개 다양한 화학 물질을 함유한다. 그들은 직경이 2.5마이크로미터이거나 더 작으며 사람의 눈에는 사실상 보이지 않는다.
More easily inhaled into the lungs than bigger particles, they can have serious health implications and are a major public health threat. This type of smog is particularly heavy in China during the winter months when coal is burned for heating.
■ inhale: 흡입하다. 들이마시다
■ implication: 함의. 영향
조금 더 큰 먼지 보다는 쉽게 폐에 흡입되는 이 미세 먼지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중요한 대중 건강 위협이다. 이런 형태의 스모그는 중국이 석탄을 때 난방을 하는 겨울 달에 특히 심각해진다.
To analyze this kind of pollution,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receives assistance from Korea’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환경보호국
■ assistance: 지원
이런 공해 물질을 분석하려고 미 환경보호국은 한국 환경과학원의 지원을 받는다.
From Baeknyeong Island in the Yellow Sea, the institute collects particle matter through filters every week, sending that information to the United States for analysis, where the amount and particular composition can be determined.
■ Yellow Sea: 황해 서해
■ filter: 여과장치
서행 백령도에 국립환경과학원은 매주 여과장치를 통해 이 미세 물질을 수집하고, 그 정보를 분석을 위해 미국에 보낸다. 미국은 조사에서 공기 구성에 어떤 특정 미세 물질이 있는지 파악한다.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also surveys fine-particle pollution in China through an artificial satellite that it has used since 2008, as well as measuring equipment installed on Baeknyeong Island last year.
■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미 항공 우주국
■ install: 설치하다
미 항공우주국 역시 2008년부터 사용해온 위성을 통해, 또 지난해 백령도에 설치한 장비를 통해 중국 발 미세먼지 공해를 조사한다.
번역: 이재학 전문위원(ljhjh@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