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er needy what they really need

Home > 영어학습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ffer needy what they really need

테스트

It’s been a while since I got on the subway in the afternoon on a weekday. The train was not crowded, and I overheard a conversation among several old ladies. They were discussing how to get through this year’s winter, which is supposed to be especially severe. One argued, “We need to be careful when keeping the heating pad on.” She argued that the electricity fee has gone up, and they could get a huge bill if they liberally used electricity. Another responded, “What a catastrophe! All those people will freeze to death if they can’t use their electric heating pads.”

Their conversation struck me not because they were loud, but because of their views. I believed that the problem of excess usage of electricity cannot be fixed unless the lower-than-production-cost electricity fee becomes more realistic. But an electricity rate hike will only make working-class citizens suffer even more in the severe winter. I searched the government’s plans for citizens this winter, and found various proposals to keep the underprivileged warm.

But these measures have never really helped those in low-income households, and it is not realistic to expect the government to resolve the issue completely. In the end, our society needs to work together to make sure all the poor neighbors stay warm and healthy this winter.

There are many volunteer events to help our neighbors. Recent media reports have featured companies, organizations, agencies and celebrities making kimchi and delivering coal briquettes every day. However, some consider delivering briquettes to be a mere showoff. Households using oil boilers couldn’t get any help and orphanages are receiving less substantial aid, such as fruits and snacks, for the children. As the economy has slumped, end-of-the-year acts of charity may shrink as well.

So I called Kim Seok-hyun, director of outreach at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But he was quite hopeful. He claimed that the donation culture was spreading. As of Tuesday, the organization had raised 35 billion won ($33 million) more than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most promising sign is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 donations was increasing. Around this time last year, about 200 people made donations of more than 100 million won, but this year, more than 400 people did, including 65 anonymous donors. Kim said, “More and more people consider donations to be a natural act of kindness and tend to make donations anonymously.”

Koreans are warm-hearted, indeed. The making of kimchi and delivery of briquettes are only a prelude to the notion that we care for one another. It is too crooked to look at these acts as mere showoffs. They may have not realized that low-income families use oil and gas for heating, rather than briquettes. Now, all we need to do is to shift the direction a bit to make sure we can offer the needy what they really need.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오랜만에 평일 대낮에 지하철을 탔다. 빈자리도 더러 있는 한산한 객차에서 할머니 서너 분의 얘깃소리가 귀에 꽂혔다. 주제는 엄청나게 춥다는 올 겨울나기. 한 분이 “올 겨울엔 전기장판 함부로 켜면 안 된다”고 열변을 토했다. 최근 전기값이 올라 자칫 요금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다른 할머니가 말했다. “큰일일세. 전기장판으로 한겨울 나는 노인네들 다 얼어죽겄네.”
그들의 대화가 유난히 귀에 꽂힌 건 큰 목소리 때문이 아니라 이 말 때문이었다. 평소 생산원가 이하의 전기요금을 현실화하지 않으면 전기 과소비 구조를 고칠 수 없다고 주장했던 터였는데 전기값 인상으로 서민층의 겨울나기가 더욱 힘겨워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어서다. 이에 올 겨울 서민 대책에 대해 검색했더니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올 겨울 서민들의 따뜻한 겨울나기와 관련해 깨알 같은 지원 대책을 내놓고 있었다. 하나 매년 당국의 대책으로 진정 모든 서민들이 따뜻한 겨울을 난 적이 없고, 실제 추위로 인한 서민층의 악전고투를 당국이 모두 해결하기도 어려운 일이다. 결국 가난한 이웃의 겨울나기는 시민사회가 함께 감당해야 할 몫이다.
겨울 들어 가난한 이웃을 돕겠다는 자원봉사 행사는 줄을 잇는다. 각 기업·단체·기관·유명인들이 앞장서 김장나누기와 연탄배달 행사를 하는 모습이 거의 연일 보도됐다. 그런 한편으론 연탄 나르기 등 사진에 찍히는 ‘전시성 자원봉사’는 넘치는데 기름 때는 서민층은 도움 받을 길이 없고, 보육원 등에 과일박스라도 넣어주는 실질적 도움은 줄었다는 푸념도 도처에서 나왔다.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연말 온정마저 위축된 것일까. 궁금해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김석현 대외협력본부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한데 그는 대단히 희망적이었다. 오히려 기부문화가 단단해지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10일 현재 모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0억원이나 많았다. 기업보다 개인기부가 점점 늘어나는 게 가장 희망적이란다. 작년 이맘때는 1억원 이상 기부자가 200명이었는데, 올해는 어제로 400명을 돌파했고 이중 65명은 익명이란다. 김 본부장은 “사람들이 기부를 당연한 걸로 여기고 안 보이게 기부하는 경향이 점차 강해지고 있다”고 했다.
알고 보면 한국사람은 참 따뜻하다. 연말에 벌어지는 김장나누기와 연탄 나르기는 이제 이웃을 생각할 때가 됐음을 알리는 축제의 서막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전시성이라며 삐딱하게 보는 건 너무 메마른 시각이다. 다만, 불우이웃들은 연탄뿐 아니라 기름과 가스를 더 많이 땐다는 데 생각이 덜 미쳤을 거다. 이제 필요한 사람의 입장에서 필요한 것을 장만해주는 도움 쪽으로 방향만 조금 틀면 될 거다.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What’s Popular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