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quantitative easing is endi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U.S. quantitative easing is ending

The U.S. Federal Reserve’s $10 billion monthly scaling of the quantitative easing stimulus programs suggests a turning point in the global economy. Citing improvements and a better outlook in the job market, the Fed announced it will reduce its monthly multibillion-dollar purchase of government and mortgage bonds by $10 billion starting January. But it will maintain ultra-low interest rates around zero percent to help the economy recover.

Despite the modesty in the taper action, the move is the beginning of an end for a large-scale artificial monetary stimulus as an emergency life-line to keep the economy afloat after it collapsed amid Wall Street’s meltdown in 2008. The limitless liquidity easing had been an extreme shock therapy. Monetary policy as well as the economy had to return to normal sometime. With stable signs of recovery, the Fed decided the time had arrived for a gentle exit in order not to upset the market.

We must watch the repercussions on our market and economy, which is swayed by foreign investors and overseas factors. Analysts do not believe foreigners will rush out like in the past and wreak havoc on the foreign exchange and stock markets. The country maintains a large surplus in its current-account balance and foreign exchange reserves at over $345 billion. The Korean economy’s fundamentals are relatively sound compared to the economie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But a scale-back in U.S. liquidity could still affect the export-oriented economy.

What poses as danger is household and government debt. The economy has long been under the U.S. easing spell. The global-wide loose monetary policy has led to spikes in individual and national debt. Household debt reached 1,000 trillion won ($941.5 billion) and combined government and public-sector debt also at 1,000 trillion won. The U.S. taper will likely pressure interest rates to go higher. People and country would have to seek more debt in order to pay off interest rates.

The ultra-loose policy is coming to a close around the world. Volatility in financial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in the short-term would be unavoidable. Authorities should closely monitor the markets and come up with a long-term strategy to change the economic structure.

Individuals and the government would have to reduce debt and corporate restructuring should be accelerated. The Korean economy remained resilient even when other emerging markets crashed on expectations of U.S. tapering in quantitative programs in September. The action also could serve as a momentum to the Korean economy.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한 것은 세계경제 흐름이 변곡점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 비록 축소규모가 월 100억달러에 그치고 제로수준의 초저금리는 계속 유지하기로 했지만 리먼 브라더스 사태 이후 5년여 만에 통화정책의 방향이 바뀌었다는 게 중요하다. 돌아보면 무제한 양적완화는 매우 비정상적인 극약처방이었다. 경제가 안정을 되찾는대로 통화정책이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다행히 미 연준은 시장에 미칠 충격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서서히 출구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 경제연구기관들은 과거처럼 한꺼번에 외국자본이 빠져나가 외환·주식시장이 패닉에 빠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상수지가 흑자를 유지하고, 외환보유액이 3450억 달러에 이르는데다 미국·유럽 등에 비해 한국경제의 기초체력이 상대적으로 괜찮기 때문이다. 물론 방심은 금물이다. 세계적으로 유동성이 축소되면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가 위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무엇보다 걱정스런 대목은 가계부채와 나라 빚이다. 우리 경제주체들은 오랫동안 미국의 양적완화에 젖어있었다. 저금리 바람을 타고 가계부채가 1000조원, 국가부채와 공공기관의 채무도 1000조원으로 팽창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본격화되면 국내 금리는 오를 수밖에 없다. 자칫하면 빚을 내 이자를 갚는 악순환에 빠질 지 모른다.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전세계적인 유동성 잔치는 끝났다는 점이다. 단기적으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진 만큼 자본 유출입의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새로운 환경에 맞춰 경제체질을 바꿔야 한다. 가계와 정부는 부채 축소에 나서고, 부실기업의 구조조정도 서둘러야 한다. 물론 지나치게 위축될 필요는 없다. 지난 9월에도 미국의 출구전략 조짐으로 이머징 국가들은 경제위기에 시달렸지만 한국 경제는 반사이익을 누린 바 있다.앞으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를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 것도 우리 하기 나름에 달려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