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must embrace low-growth trend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We must embrace low-growth trend

테스트

A social network service called “Band” has been hugely popular since last fall. It’s a mobile version of “I Love School,” which created a reunion boom more than a decade ago. A friend of mine invited me to join, and I’ve logged in more frequently than I thought I would. Friends from school, already in their mid-40s, savor memories from the 1980s. We miss the old days and share old stories and photos. Just like “Band” targets nostalgia online, the TV drama “Reply 1994” brings back memories. The stories set in the mid-1990s in the hit series recall the youthful days of the 20s for those in their mid-40s now.

Why do we rave over the ’80s and ’90s? What are the key factors that draw so many Koreans? Is it a passing fad like retro fashion? There’s more than mere nostalgia for our younger days and memories of first loves. While I am not a sociologist, my guess is that people miss the days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boom.

Obviously, people had more opportunities then. Prices were going up, but wages went up faster. If you lived frugally and saved up to buy a house, its value doubled or tripled in a few years. There were more chances to succeed. Students in noncompetitive school districts could get into top universities if they studied hard. It was not extremely difficult to get into Samsung or other conglomerates. It was not rare for a thirty-something to become a CEO.

But today, the odds of finding a job at a major company is hundreds to one. Workers feel insecure about their employment, much less becoming a young executive. People no longer dream to succeed, but are struggling to keep what they have.

Why do we feel so helpless and discontented when per capita national income is more than $20,000? In fact, we are much better off than we used to be. It felt thrilling to live in a nation whose economy was growing at more than 7 percent annually, but now that the economic growth is at less than half that pace, it feels drowsy and powerless. Opportunities are scarce, and young people are not empowered.

People would feel much more energized if the growth rate goes up as high. But that is not realistic. No leader can bring back the blessing of 7 percent economic growth. While we need to keep working to make a bigger pie, we have to embrace the trend of low growth. We should adjust our perception, lifestyle and economic structure to accommodate the new paradigm. It is wiser to upgrade the economy and society while having pride in what we have accomplished so far. Grumbling about the sluggish economy will not make the situation any better.

Let’s make a positive start in the new year. Putting an apostrophe on “impossible” would make “I’m possible.” And putting a space in “nowhere” could make “now here.”

*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reporter for the JoongAng Ilbo.

by YOON CHANG-HEE















'밴드'라는 SNS 서비스가 지난 가을 무렵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십여년전 동창회 열풍을 이끌었던 '아이러브스쿨'의 모바일 판 버전이다. 얼마전 고교 친구의 권유로 가입했는데 생각보다 자주, 오래 들어가게 된다. 어느덧 40대 중반이 된 동창들의 대화창엔 80년대 추억이 넘친다. 빛바랜 사진과 함께 나누는 대화엔 그리움이 가득하다. 모바일 세상에서 밴드가 있다면 방송에선 ‘응답하라’시리즈가 향수를 자극한다. ‘응답하라’가 겨냥한 90년대는 40대 중반에겐 20대 청춘의 기억이다.
80∼90년대에 대한 이 뜨거운 관심은 도대체 뭔가. 많은 한국인들을 몰입게 하는 구심력의 정체 말이다. 복고풍 패션처럼 잠깐 유행했다 사라지는 바람일까. 그럴 것이다. 하지만 아닐 수도 있다. 단순히 옛 대학시절의 감성, 첫사랑의 기억 때문이라고만 하긴엔 너무 뜨겁다. 전문적인 사회분석가는 아니지만 이런 추론을 해봤다. 고도성장 시대에 대한 미련과 아쉬움같은 집단 의식이 그 시절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건 아닐지. 그땐 분명 기회도 더 많았다. 물가도 뛰었지만, 월급은 더 빨리 올랐다. 월급만 알뜰히 모아 모아 집을 사면, 몇 년 새 2∼3배로 뛰기도 했다. 대박 기회도 많았다. 지방이나 서울의 변두리 고교를 다녀도 2~3년 바짝하면 스카이대학 입학이 가능했다. 삼성 같은 대기업 들어가기 그리 어렵지 않았다. 30대 사장도 나왔다.
그런데 지금은? 대기업 들어가려면 수백 대 1 경쟁을 뚫어야한다. 30대 사장은 커녕 미래만 생각하면 직장인들의 한숨은 커진다. 대박은 고사하고, 가진 돈 지키기도 쉽지 않다. 전세값과 교육비에 등골이 휜다.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에 느끼는 이 무력감과 아쉬움은 또 뭔가. 그때보다 지금 형편이 훨씬 나아졌는데 말이다. 그 차이가 고성장 시대와 저성장시대의 간극이라고 말한다면 비약일까. 8% 이상 성장하던 국가에 올라타 느끼던 짜릿한 속도감이 절반 이하로 감속된 상황에서 느끼는 나른한 무력감 말이다. 기회는 줄고, 젊은층은 힘을 잃고 있다.
성장률을 그때만큼 끌어올리면 되는 것 아닌가. 당연하다. 그런데 현실적이진 않다. 그 어떤 지도자가 나와도 747 (7%대 경제성장)의 축복은 불가능하다. 우리 경제의 파이를 키우는 일을 소홀히 해선 안되겠지만 저성장 시대라는 대세는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대신 새 패러다임에 맞는 눈높이, 생활방식, 경제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 그동안 일궈놓은 결과물인 지금의 현실을 자랑스러워하면서 경제와 사회를 조금씩 업그레이드해 나갈 방안을 찾는 게 현명하다. 입에 달고 다니는 불황 타령, 안주거리는 되겠지만 크게 좋아지긴 어렵다.
새해는 긍정적으로 시작해보자. impossible (불가능)에 점 하나찍어 i ’m possible(가능) 이 되고, nowhere(어디에도 없다) 에 스페이스바 눌러 now here(여기에 있다)가 되는 것처럼 말이다.
윤창희 경제부분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