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riage, unions taking many form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Marriage, unions taking many forms

테스트

When I was learning French a long time ago, I found a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France: marital status. In Korea, a person can label themselves as “single” or “married.” But the French textbook also had “divorced” and “separated.” My impression of France was that it was a liberal society.

Now, a new expression - civil union - has been added. It is a common trend in Western society, in which couples live together without the responsibilities, duties and economic burden of marriage. In France, a 1999 civil law revision gave civil unions similar legal rights and social benefits as married couples. PACS, or a civil solidarity pact, is a contract between two adults of the same or opposite gender. The two individuals have separate ownership of property, so there is no estate or inheritance problem. If they break up, they don’t even need to go through administrative procedures or lawsuits. This system is quickly spreading across Western nations.

Marriage and unions in Korea are taking various forms as well. In 2012, statistics show 78.6 percent of married couples were getting married for the first time. In 11.5 percent of the couples, both brides and grooms were remarried. For 5.5 percent, the marriage was the first for the groom and the second for the bride, and for 4.1 percent, it was the first marriage for the bride and the second for the groom. The forms of families are diversifying as well.

However, Korea still does not consider giving legal rights and offering social benefits to couples who are not legally married. Politicians and social workers often arrange joint weddings for couples who are legally married but did not have a formal ceremony. But they are not interested in couples who live together and do not have a marriage license. Is that because these couples are reluctant to reveal their unions? I know some couples complain about not being able to claim their domestic partner as a dependent for tax exemptions.

Last week, French President Francois Hollande was caught on camera by a tabloid magazine having an affair with an actress. Hollande is the partner of Valerie Trierweiler, without a formal marriage. Some members of the media call her the “first girlfriend,” but she lives with the president in the Elysee Palace and acts as the first lady, with five assistants. Hollande separated from Segolene Royal - his former partner, political ally and mother of his children - to be with Trierweiler. In an interview in 2010, Hollande described Trierweiler as “the woman of my life.” Upon learning of Hollande’s alleged affair, Trierweiler was taken to a hospital, suffering with exhaustion. Would it have been different if they were actually married? What is love, anyway?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IN-TAEK











오래전 프랑스어를 배우다 어색한 상황을 겪었다. 결혼 상태를 가리키는 표현 때문이었다. 한국의 신상명세표에는 ‘미혼’과 ‘기혼’만 있던 시절이었는데 교재에는 ‘이혼’에 ‘별거’까지 있었다. 자유분방한 사회라는 인상을 받았다.
이제는 거기에 새로운 어휘가 추가됐다. 바로 동거다. 동거는 서구사회에선 이미 도도한 현상이다. 결혼의 무거운 권리와 의무, 경제적인 부담이 원인이라고 한다. 프랑스에선 1999년 민법 개정으로 동거 커플에게도 부부에 버금가는 법적 권리를 부여하고 사회보장도 거의 똑같이 제공한다. ‘동성이나 이성의 성인 2명이 공동생활을 맺기 위해 체결하는 계약’인 민사연대계약(PACS·Pacte Civil de Solidarité)을 통해서다. 재산이 각자 소유니 상속 문제 따위는 없다. 헤어질 때 행정절차나 재판 없이 짐만 싸들고 나가거나 상대를 내보내면 되는 부분은 많은 부부의 부러움을 산다고 한다. 이 제도는 서구 각국에 확산하고 있다. 사회 변화에 맞춰 뒤늦게 제도적인 뒷받침을 해주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결혼과 커플 형태가 바뀌고 있다. 2012년 혼인통계에 따르면 신랑신부가 모두 초혼인 경우는 전체의 78.6%에 불과했다. 양쪽 다 재혼이 11.5%였고 초혼남-재혼녀 커플이 5.5%로 초혼녀-재혼남 커플의 4.1%보다 많았다. 혼인 형태만큼 가족 형태도 다양화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동거를 법적으로 인정해 적절한 권리를 부여하고 사실혼에 따른 사회복지 혜택도 주는 방안은 여전히 남의 일이다. 정치인이나 사회사업가가 사정상 혼인신고만 하고 사는 커플들의 합동결혼식을 주선하기도 한다. 하지만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동거는 아직 관심 밖이다. 사회인식 때문에 쉬쉬하기 때문일까? 하지만, 연말정산 무렵이면 미혼이라고 공제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동거 커플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려오는 게 현실이다.
지난주 프랑스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이 딴 여자를 몰래 만나러 가는 장면이 타블로이드 주간지의 카메라에 딱 걸린 사건을 보니 동거의 허점도 보인다. 올랑드는 발레리 트리에르바일레라는 여성과 결혼하지 않고 동거중이다. 일부 영미 언론이 ‘퍼스트 걸프렌드’라고 부르는 동거 여성은 대통령궁에서 올랑드와 함께 살며 5명의 비서까지 거느린 실질적인 퍼스트 레이디다. 올랑드는 30여 년을 동거하며 네 자녀까지 둔 정치적 동지 세골렌 루아얄과 헤어지고 이 여인과 결합했다. 2010년 한 인터뷰에서 “내 인생의 여인”이라고 표현하며 사랑을 합리화했다. 이런 올랑드의 배신 앞에 ‘내 인생의 여인’은 병원에 실려갔다고 한다. 동거가 아니고 결혼이었다면 사정이 달랐을까? 글쎄. 사랑이 대체 뭐기에….
채인택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