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clues to the U.S. recover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Some clues to the U.S. recovery

The United States is the obvious culprit that put the global economy in a bad predicament for the past 10 year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riginated from America, ignited by the subprime mortgage debacle in 2007 and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in 2008. Europe has yet to fully get over the crisis, but now the U.S. economy is recovering. It has left all of its friends in a fiscal quagmire and gotten out first.

Economic indicators have returned to a level when the U.S. economy thrived. The unemployment rate has gone down and housing prices are up. The stock market is coming off a record-setting rally in 2013. The Federal Reserve, under the leadership of Ben Bernanke, has led the recovery. The Fed’s prompt decision to lower its benchmark interest rate to near zero and institute quantitative easing worked. But that’s not all. Japan used the same measures when its bubble burst in the 1990s. Bernanke himself said at the speech celebrating the centennial of the Federal Reserve that the measures were not special and had all been tried by central banks at times of crisis.

The latest economic slump is called the Great Recession, unlike the Great Depression of the 1930s. Once the economy loses its vitality, it is hard to get it back again. Pouring in money will not boost the market. Many elements that make up the real economy must move together. Earlier this month, there were signs that may indicate how the U.S. economy revived. The first was the Senate approval of Janet Yellen to succeed Bernanke by a vote of 56 to 26. Yellen was approved despite many votes against her. But on the day of the voting, numerous flights were canceled due to a massive winter storm. Dozens of senators did not make the session, but 10 Republicans traveled to Washington to cast their votes for Yellen. The federal government shut down for 16 days in October when Congress failed to reach a budget agreement, but the politicians did their best to do their job in the Yellen vote.

The second sign was the Boeing union vote. Based in Washington, the biggest aircraft maker in the world threatened to relocate during negotiations with its union over limiting wage increases and freezing pensions, which are among the highest in the United States. Then 22 states offered various subsidies and benefits to lure in Boeing. The company seriously considered moving to an area less friendly to unions. But the state of Washington promised $8.7 billion in subsidies to keep Boeing from leaving, and union members changed their minds, accepting a reduction in benefits to keep their jobs.

America’s example of overcoming the Great Recession will be studied by economists in the future. And the arduous process would provide lessons to Korean politics and labor relations.

*The author is the New York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By LEE SANG-RYEUL


지난 10년새 세계 경제를 이토록 곤경에 빠뜨린 장본인은 단연 미국이다. 2007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금융위기의 진원지는 미국이었다. 그 후폭풍을 맞은 유럽은 재정위기에 빠져 아직도 헤어나오지 못한다. 그랬던 미국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 친구들을 진흙탕에 끌어들이고선 혼자만 제일 먼저 빠져나와 새옷으로 갈아입는 형국이다. 경제지표들은 미국 경제가 고속 주행을 하던 당시로 복귀했다. 실업률이 그렇고, 주택가격이 그렇다. 주가는 아예 사상 최고치로 뛰고 있다. 경제를 살린 일등공신은 벤 버냉키가 이끈 연방준비제도, 즉 미국의 중앙은행이다. 금리를 신속히 제로수준으로 내리고 무제한으로 돈을 푼 양적완화가 주효했다. 그런데 그게 다일까? 제로금리와 양적완화는 이미 일본이 1990년대 거품이 터지자 응급처방으로 사용한 바 있다. 그때는 별 효과를 보지 못했을 뿐이다. 버냉키 자신도 연준 100주년 기념 연설에서 “어떤 면에서 우리가 쓴 정책은 특별한게 없다. 중앙은행들이 위기때면 해왔던 것들”이라고 했다. 이번 경기 침체는 1930년대 대공황(Great Depression)에 견줄만하다고 해서 대침체(Great Recession)라고 불린다. 의욕을 상실한 경제는 좀처럼 일어나기 어렵다. 돈만 쏟아붓는다고 될 일이 아니다. 실물 경제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들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 이달초 미국이 어떻게 되살아났는지 탐구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단초가 있었다. 첫째는 재닛 옐런 차기 연준의장의 상원 인준이다. 투표 결과는 찬성과 반대가 56대 26이었다. 옐런은 역대 최소 찬성표로 인준을 통과했다. 하지만 다른 면도 있다. 이날 미국엔 100여년만의 혹한으로 비행기결항이 속출했다. 수십명의 상원의원들이 투표장에 오지 못했다. 그러나 야당인 공화당 의원 10여명이 악천후를 뚫고 와 찬성표를 던졌다. 타협점을 못 찾아 연방정부 폐쇄까지도 가는 미국 정치지만, 이날 만큼은 정파를 떠나 할일은 하는 정치인들의 집념이 돋보였다. 둘째는 세계 최대 항공기제조회사인 보잉 노조의 투표다. 워싱턴주에 생산기지를 둔 보잉사는 미국내 최고 수준인 임금 인상 제한과 연금 동결을 놓고 노조와 협상이 불발하자 공장 이전을 추진했다. 그러자 일자리 유치에 혈안이 된 다른 22개주가 온갖 보조금을 제시하며 보잉사를 끌어당겼다. 보잉은 아예 노조 결성이 어려운 지역으로의 이전을 심각하게 검토했다. 이번엔 워싱턴 주에서 난리가 났다. 주 정부는 보잉사를 붙잡으려고 87억달러의 보조금을 약속했다. 노조원들도 생각을 고쳐먹었다. 노조는 결국 복리혜택 축소를 받아들이는 대신 일자리를 지키는 쪽을 택했다. 대침체를 극복한 미국의 사례는 앞으로 오랫동안 경제학자들의 연구거리가 될 것이다. 결코 쉽지 않았던 그 과정은 우리 정치와 노사관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 같다.

이상렬 뉴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