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s newspapers are full of themselve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Japan’s newspapers are full of themselves

테스트

Japan’s newspaper industry is world-class. Four of the six largest newspapers in the world are Japanese, and they often surprise me.

At 5 a.m. in Japan on Sept. 8, Tokyo won the right to host the 2020 Summer Olympic Games. However, the announcement coincided with one of the days the Japanese press don’t publish newspapers in the evening and the following morning. But the Yomiuri, which has the largest circulation in the world at 10 million, did not wait. More than nine million copies of a 16-page extra edition were delivered that day. To do that, nearly all of the 7,300 Yomiuri Shimbun distributors across Japan gave up their off day to get the news out. The organizational loyalty and system were impressive indeed.

Because of the power of the industry, Japanese media have long enjoyed superior status in Korea. Seoul correspondents of Japanese newspapers boasted, “Korean political giants used to buy us drinks,” and “It wasn’t hard to meet with heads of conglomerates.” While they may have been exaggerating, they were the envy of Tokyo correspondents of Korean newspapers.

So when Japanese reporters were not given a chance to ask President Park Geun-hye questions at her news conference earlier this month, the Japanese media seemed puzzled.

Many of the attendees from the foreign press club were with Japanese newspapers, but the Blue House allowed questions from Reuters and China’s CCTV. Some Japanese newspapers complained in their columns that Japan was ignored.

But how are Korean reporters working in Japan treated? I have attended about 20 news conferences given by Japanese prime ministers. Only one or two members of the foreign press - usually AP or Reuters - get to ask questions. Korean reporters raise their hands all the time, but in the last 10 years, only got to ask once. In August 2010, Prime Minister Naoto Kan announced Japan would return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to Korea, and a Korean reporter asked a question that had been arranged in advance. That was the last time a Korean reporter was given a chance to ask a question. And Korea sends just as many reporters to Japan as Japan dispatches to Korea.

The reckless moves of the Abe administration, most notably the Yasukuni Shrine visit, are inspired by a crooked sense of superiority. It has become arrogant. Lately, some Japanese media reports are just as arrogant. Without analyzing and reflecting on the nature of the issues, they tap into their superiority complex to focus on attacking Korea and China. They may feel they deserve the right to ask questions at press conferences out of their absurd sense of superiority.

It is their choice if they are proud of the overwhelmingly large circulation of their newspapers. But size doesn’t always matter, especially when it comes to quality journalism or earning the respect of peers. We don’t envy the groundless superiority of a giant without dignity.

*The author is Tokyo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by KIM HYUN-KI

















일본은 세계적인 신문대국이다. 발행부수로 따지면 상위 6위 안에 4곳이 포함돼 있다. 그래서인지 일본 신문업계를 보고 있노라면 깜짝 놀랄 일들이 있다. 지난해 9월 8일 일요일. 새벽 5시에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도시로 도쿄가 결정됐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당일 석간은 물론 다음날인 9일자 조간은 한 달에 한번 있는 휴간일. 하지만 세계 최대 발행부수(1000만 부)를 찍는 요미우리는 달랐다. 16쪽짜리 '호외'를 이날 오전부터 낮에 걸쳐 전국 곳곳에 무려 900만 부 넘게 배달했다. 호외가 900만 부? 기껏해야 도심에 1~2만 부 돌리는 게 호외인 줄 알았는데, 쇼크였다. 이는 전국의 약 7300개가 넘는 요미우리 신문보급소 중 거의 100%가 휴일을 반납하고 문을 연 덕분이다. 대단한 조직력과 충성심이다. 이런 파워 때문인지 그동안 일본 언론은 한국 내에서도 꽤 우월적 존재였다. "한국의 거물 정치인들이 때만 되면 우리를 불러 술을 사주곤 했다" "한국의 재벌 총수들도 만나는 게 어렵지 않았다" 등 서울 특파원을 역임했던 일본 기자들의 '자랑'은 다소의 과장이 있다해도 일본 내 한국특파원의 부러움을 사곤 했다. 그런 연유 때문인지 이달 초 박근혜 대통령의 기자회견 때 일본 특파원에게 질문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던 걸 두고 말이 끊이질 않는 모양이다. 서울외신기자클럽에 주어진 몫 중 대다수 참석자가 일본 언론이었는데, 청와대는 '따로 부른' 두 곳(영국 로이터통신, 중국 CCTV)에 질문권을 주었다 한다. 이에 일부 일본 신문은 "일본은 완전히 무시당했다"며 칼럼을 통해 불만을 표했다. 하지만 일본은 과연 한국에 어떻게 하고 있을까. 그동안 일본 총리의 기자회견장에 '운 좋게' 선착순 혹은 추첨을 통해 20여 차례 출석했다. 하지만 외신기자 질문 몫은 늘 1~2명. 보통 AP통신과 로이터가 교대로 돌아간다. 한국 특파원이 아무리 손을 쳐들고 "저요, 저요"를 외쳐봐야 소용없다. 한국 특파원이 질문권을 얻은 건 최근 10년 사이 딱 한번. 2010년 8월 간 나오토(菅直人) 당시 총리가 조선왕실의궤를 한국에 돌려준다는 담화를 발표하면서 사전에 각본을 짠 질문이었다. 그게 마지막이다. 일본에 특파원을 파견한 언론사 수로는 한국 또한 한국 내 일본 언론사와 마찬가지로 1~2위인데 말이다. 야스쿠니 참배 등 아베 정권의 거침없는 행보의 뿌리는 그릇된 우월감이다. 그게 오만을 낳는다. 최근 일부 일본 언론의 보도행태도 크게 다를 게 없다. 사안에 대한 분석과 자성은 없이 우월감에 입각한 한국·중국 비난에 거의 올인한다. '기자회견 질문권' 운운도 어찌보면 일본 언론의 '우월감 버블'이 꺼지지 않았기 때문 아닐까. 엄청난 발행부수에 우월감을 갖는 건 자유다. 하지만 그걸 다른 이들이 인정하고 존중해주느냐는 별개의 문제다. 덩치만 크고 품격 없는 우월감 따위 전혀 부럽지 않다.
김현기 도쿄 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