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toward mutual benefits

Home > 영어학습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orking toward mutual benefit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a new set of advisory guidelines on management and labor issues incorporating last month’s Supreme Court ruling that included regular bonuses in base salaries.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order, held since 1988, which separated regular bonuses and allowances from base salaries, was challenged by the Supreme Court. It eventually ruled in favor of workers.

But the new guidelines won’t likely help in easing the confusion and conflict between employers and workers over how base salaries are calculated. The government proposes that bonuses - paid out to regular workers in intervals of more than a month - should be counted in base salaries. But special bonuses or allowances given out to employees working at the time are not counted as fixed earnings, according to new guidelines.

The ministry said that the guidelines incorporated the Dec. 18 Supreme Court ruling. The court said it could turn down retroactive applications from workers demanding unpaid past dues because of an extension in the scope of what a base salary is if companies can prove that doing so would seriously threaten their finances.

Labor groups protest that the government guidelines incorporating the highest court ruling remain too favorable for employers. Employers are also unhappy about the elimination of one-month gap guidelines differentiating bonuses and base salaries. Labor and management will likely clash over interpreting permanent working terms and retroactive applications.

The government came up with the guidelines only after the Supreme Court ruling. But they are strictly guidelines, not rules. How they are applied in workplaces depends on the will of employers and workers. Both sides should negotiate for a deal that could serve both the workers and companies well. They must talk freely and sincerely on corporate finance state and affordability to find a reasonable salary base.

The government should also take procedures to legalize the base of wages and other working terms to end conflict over salaries. Kim Dae-hwan, chairman of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said that the government will try to draw a grand compromise on employment and labor issues within the year.

Labor union representatives should return to the tripartite commission and help to generate a consensus on a new salary structure.


어제 고용노동부가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키는 내용의 노사 지도지침을 확정해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후속 조치 차원이다. 그러나 이번 지도지침 발표로 통상임금을 둘러싼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어제 고용노동부가 전국 근로개선 지도과장 회의를 통해 발표한 ‘통상임금 노사 지도지침’에 따르면 지급 간격이 1개월을 넘는 상여금도 통상임금으로 인정했다. 다만 정기상여금이라고 해도 명절이나 휴가 등 특정 시점에 재직 중인 근로자에게만 지급될 경우엔 통상임금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지난 달 18일 대법원 판결의 취지를 반영한 것”이란 게 고용노동부의 설명이다. 또 신의칙에 따라 임금 소급청구를 제한토록 한 판결의 적용 시점에 대해선 올해 임금협상 전까지로 규정했다. 정부의 유권해석이라 할 수 있는 이번 지도지침에 대해 노동계는 “기업의 지나치게 기업 쪽에 치우쳐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제계도 고용노동부 예규 상 통상임금 요건이던 1임금지급기(1개월) 요건이 사실상 폐지된데 아쉬움을 나타냈다. 특히 재직자 요건과 신의칙 적용시점을 놓고 노사가 다시 분란을 일으킬 소지가 작지 않다. 고용노동부가 사전에 갈등을 조정하지 못한 채 대법원 판결이 나온 다음에야 뒤늦게 지침을 내놓는 것 역시 온당치 않다. 하지만 지도지침은 어디까지나 가이드라인일 뿐이다. 중요한 건 노사의 상생(相生) 의지다. 성패는 개별 기업의 노사가 공동 발전을 위해 얼마나 열린 자세로 협상에 임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경영 상황과 적정 임금 등에 관한 자율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나아가 통상임금 시비를 말끔히 정리하기 위해선 노사정위원회를 통한 입법적 정비가 시급하다.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최근 “임금체계 개편과 근로시간 단축 등 논란이 되고 있는 고용·노동 문제에 대해 빠르면 상반기, 늦어도 올해 안에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겠다”고 다짐한 바 있다. 노동계가 노사정위에 복귀하고 노·사·정이 임금체계 등에 대한 합의안을 도출해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