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corruption at bay
Published: 04 Feb. 2014, 19:50
But recently, we have seen some very noticeable changes in court decisions. A criminal court in Busan last month delivered an unprecedented sentence of severity, handing down a prison sentence of 15 years and a fine of 3.93 billion won ($3.63 million) to a senior employee of state-funded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who collected 1.7 billion won in bribes in a procurement process.
A district court in Seoul last month also slapped a nine-year jail term and fines of 1.1 billion won on the head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Chilgok, North Gyeongsang, for pocketing 520 million won in return for showing favoritism in construction orders. In addition to those bribery cases, many corruption-related cases have recently ended in heavy sentences and fines. Though the decisions need to be upheld by higher courts, the general trend of sternly penalizing all types of bribery is unlikely to be reversed.
The court is applying a law on additional punishments for specific crimes that was enacted in 2008 and that recommends assessing double penalties on corruption cases. Under the law, the court can impose fines on violators up to five times the size of the bribes the individuals collected. When public servants receive jail time, their government employee pension and severance pay will be cut. Anyone caught being involved in shady deals in the public sector is now doomed. Economic penalties are the most effective punishment tool for curbing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A study by the Hyundai Economic Research Institute said that if the country’s corruption levels are improved to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s average, Korea’s economic potential could rise by nearly 4 percent. The court and prosecutors should maintain a zero-tolerance approach against corruption. Public sector employees must understand how times have changed and keep the temptation for corruption at bay.
공공부문 부패는 한국 사회의 발목을 잡아온 고질병이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부패 척결 대책을 쏟아냈지만 조금만 지나면 다시 경각심이 해이해지는 ‘요요(yo-yo) 현상’이 나타나곤 했다. 국제투명성기구 부패인식지수(CPI)가 오히려 추락하고 있는 게 그 방증이다. 그런 차원에서 최근 법원의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지난 달 10일 부산지법 동부지원 형사1부는 업체로부터 납품 청탁과 함께 17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 기소된 송모 한국수력원자력 부장에게 징역 15년과 벌금 35억원, 추징금 4억3050만원을 선고했다. 이어 같은 달 24일 서울북부지법 형사11부는 공사 수주 청탁과 함께 5억2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이우석 전 칠곡부군수에게 징역 9년과 벌금 5억2000만원, 추징금 4억9000만원을 선고했다. 이들 뿐 아니라 다른 수뢰 사건 관련자들에 대해서도 중형과 벌금·추징금 선고가 잇따르고 있다. 혐의에 대해선 상급심 판단을 받아야 하지만 벌금형 병과는 되돌리기 힘든 대세다. 이처럼 '받은 돈의 두 배' 판결이 이어지는 것은 법원이 2008년 신설된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제2조제2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조항은 수뢰액의 2배 이상 5배 이하의 벌금을 병과(倂科)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 공무원의 경우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공무원연금법에 따라 퇴직급여 등이 감액돼 '3중의 제재'를 받게 된다. 한마디로 검은 돈을 받았다간 패가망신을 하게 되는 셈이다. 경제적 이익을 박탈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처벌 방법을 찾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아울러 일부 수뢰 공무원들이 재산을 빼돌리는 등의 방법으로 추징을 피해왔다는 점에서도 필요한 조치다. 부패인식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으로만 개선되더라도 4% 안팎의 잠재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다는 분석(현대경제연구원)이 나오는 상황이다. 법원과 검찰은 부패 범죄에 대해선 무관용의 원칙을 계속 견지해야 한다. 공무원과 공기업 임직원은 법의 잣대가 왜 갈수록 엄격해지는지 자성해야 할 때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