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a country of mental refugee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Korea, a country of mental refugees?

테스트

My cousin emigrated to New Zealand more than 20 years ago. Around that time, a group of my college friends left the country together. Their primary motivation was education. My nephew and niece, who were in elementary school when they left Korea, also graduated from college in New Zealand and now work in Australia and Korea.

While living abroad, my cousin missed Korea, describing New Zealand as a “boring heaven” and Korea as a “fun hell.” Living in Korea is busy, crowded and competitive, but its society has a unique energetic and dynamic vibe. Her friends felt the same. They joked, “If you have money, Korea is the most fun country to live in.” Some of them returned to Korea after their children grew up.

That, however, is a story of the past. A recent opinion poll showed 57 percent of people said that they would not want to be born in Korea if they could be born again. Just 43 percent would choose to live another life in Korea. Interestingly, 60 percent of people in their 20s said they wouldn’t want to live in Korea again. They identified “excessive competition” and “college admission challenges” as the biggest reasons.

The bleakest reality in Korea is “politics.” Seventy percent of respondents to the poll by Dooit Survey said that Korean society is not fair and polarization has reached a serious level.

Young Koreans feel empathy for Victor Ahn, who obtained Russian citizenship and earned four medals, including three golds, at the recent Sochi Olympics. Instead of branding him as a “traitor,” most people said that he had the right of choosing his nationality.

People supported his choice because Ahn - who is a symbol of injustice in Korean sports - became a hero in Russia and got his revenge on the home country that shunned him. It appears that the deep-rooted sports nationalism is disappearing in Korea. Of course, support for Ahn doesn’t prove the antinationalist trend of the young generation. But their fatigue may be reflected here, as so many of them don’t want to be born again in Korea.

Rhee June-woong, a communications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scribes the trend as “a state of mental refuge.” People physically live in Korea but mentally don’t belong here. When an opportunity arises, they can leave any time.

“Now, nationality is something you can [obtain] and give up - just liking signing up for a mobile phone service. Promising, ambitious and young Koreans now dream of a future in a country other than Korea. We shouldn’t blame those who change their nationality, but the country is certainly problematic for driving away the heroes of the future,” he said.

Living as a global citizen free of the yoke of nationalis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not wanting to live as a Korean citizen again. March 1 was the historical Independence Movement Day. Is Korea still a country of mental refugees?

JoongAng Ilbo, Mar. 1, Page 31

*The author is a culture and sports editor at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G-HEE













사촌은 20여 년 전 뉴질랜드로 이민을 떠났다. 잘나가던 대학 동창들 여럿이 일시에 짐을 쌌다. 교육 문제가 제일 컸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조카들은 뉴질랜드에서 대학을 나오고, 각각 호주와 한국에서 일한다.
 이민 생활 내내 사촌은 “뉴질랜드는 재미없는 천국, 한국은 재미있는 지옥”이라며 한국을 그리워했다. 매사 악다구니쳐야 하는 고단한 삶이지만 그게 한국 사회 특유의 활력과 역동성으로 이어진다는 얘기였다. 한국을 떠나서 하는 말이니까 한계는 있지만, 그의 친구들도 한결같았다. 농반진반 “돈만 좀 있으면 한국처럼 재미있게 살 수 있는 나라도 없다”고들 했다. 이 중 몇 명은 자녀가 장성한 후 한국에 돌아왔다.
 그런데 그것도 옛날 얘긴가 보다. 최근 한 모바일 여론조사 결과가 눈길을 끈다. ‘다시 태어난다면, 대한민국에서 태어나고 싶지 않다’(57%)는 답이 ‘태어나고 싶다’(43%)보다 앞섰다. ‘태어나고 싶지 않다’는 답은 20대가 60%로 가장 많았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싶지 않은 이유는 과도한 경쟁, 치열한 입시, 스펙 쌓기 등이었다. 가장 암울한 한국의 사회현실로는 ‘정치’가 꼽혔다. 응답자의 70%가 한국은 공정하지 않고, 양극화가 심각하다고 답했다(두잇서베이 조사).
 러시아로 귀화한 후 이번 소치 겨울올림픽에서 선전한 빅토르 안에 대한 젊은 세대의 긍정적인 반응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여느 때처럼 ‘배신자’로 재단하는 대신 ‘국가도 선택’이라는 성숙한 의견이 주를 이뤘다. 한국사회 불공정의 상징 같은 그가 남들의 영웅이 돼서 조국에 ‘한 방 먹이는’ 반전드라마에 아낌없이 박수 쳤다. 뿌리 깊은 스포츠민족주의가 일시에 허물어진 듯했다. 물론 이는 젊은 세대의 탈국가주의·탈민족주의 성향을 입증하는 것이지만, 어쩌면 그 의식의 저변에 ‘다시는 한국에 태어나고 싶지 않다’는 염증이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이준웅 교수는 이를 “정신적 망명상태”라고 표현했다. “몸은 여기에 있지만 마음으로는 어느 나라든 상관없다는 식으로 사는 것. 기회가 주어진다면 얼마든지 조국을 떠난다는 마음가짐”이다. “이제 국가는 이동통신 서비스처럼 얼마든지 탈퇴하고 새로 가입할 수 있는 것이 돼버렸다. 전도유망하고 야심만만한 젊은이들은 그의 미래를 이 땅 아닌 다른 나라에서 꿈꾼다. 그의 선택을 문제 삼을 수는 없지만 미래의 영웅을 내치는 나라, 망명 선수를 응원하는 국민이 이렇게 많은 이 나라는 문제 있지 않은가”라고도 썼다.
 국가주의의 낡은 덫을 벗어던지고 세계인의 일원으로 사는 것과, 다시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태어나고 싶지 않은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하필이면 3월 1일 아침이다. 정녕 대한민국은 ‘정신적 망명객’들의 나라인가.
글=양성희 문화스포츠부문 부장대우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