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d to escape trap of reality TV show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Hard to escape trap of reality TV shows

테스트

Television reality shows push contestants into certain situations and observe every minute of their realistic reactions. It has been a very popular format around the world since the 1990s. The reality TV shows display a variety of human activities, such as dating, auditioning and playing games. Reality TV can even be considered the zeitgeist of America. In Korea, the reality shows usually cast entertainers, but in the Western world, they mostly feature ordinary people. One of the biggest reasons broadcasters cast regular people in their shows is because they can pay them less.

Reality television has produced a new breed of celebrities. Without outstanding talents or strenuous efforts, these new celebrities enjoy popularity just by being exposed on television constantly. The families of the stars and the contestants on audition and survival shows suddenly become famous through their repeated appearances.

Unlike professional actors, singers and comedians, they attract the audience’s attention just because they are fresh and unadorned. These days, the level of privacy they reveal has been alarmingly enhanced. They dare to show their personal and secret aspects that used to be off-limits on television in the past. Therefore, these people easily become famous overnight. They can be called the media’s “new product,” and a new star is born.

“Couples,” SBS’s reality show on dating, has been canceled after a female contestant killed herself during the filming of the show. The program was very popular and received many applications from people who wanted to be on the show. The tragedy started a debate over the stress that the contestants experience and the ethics of the show’s production.

While similar precedents in other countries are learned, we have to reconsider the harsh show structure that put the contestants into overly competitive situations. However, we can hardly deny that reality television is driven by the very trend to enjoy media exposure, show off privacy on camera and become noticed and famous.

Joo Chang-yun, a professor at Seoul Women’s University, had linked the “mental hunger” of Korean society with the excessive popularity of the audition program “Superstar K.” The show received more than two million applications from aspiring singers, and he called the hype an “excess of narcissism” in an abnormal society. As a result, many people “crave for an idealistic self and experience a low-grade split personality between the idealistic self and the real self,” he says in his book, “Hungry Society.”

As the children’s song goes, “I would really like to be on television.” The children would draw a rectangle with their fingers as they sing this song. This rectangular box of television is the shortest way to fame for them. It is a shortcut to enjoy the almighty star power. Also, it leads to the “capital of fame,” one of the most powerful capitals in the world.

While the tragedy resulted in the cancellation of “Couples,” people won’t be able to overcome the temptation of reality television as they undoubtedly help ordinary people to “fulfill their desire for fame,” though on television.

*The author is a culture and sport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G-HEE

JoongAng Ilbo, March 8, Page 31














특정 상황에 던져진 출연자의 리얼한 일상을 관찰 카메라로 담는 TV 리얼리티쇼. 이는 1990년대 이후 전 세계를 강타한 TV 포맷이다. 데이트·오디션·서바이벌·게임 등 장르도 다양하다. 오죽하면 ‘TV 리얼리티쇼는 미국의 시대정신’이라는 말까지 나왔을까.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리얼리티쇼에도 연예인 출연이 많지만 서구 방송에서는 거의 일반인이다. 몸값이 싸다는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크다.
TV 리얼리티쇼는 전혀 새로운 유형의 인기인들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연예인처럼 특별한 재능이나 노력 없이도 TV 카메라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프로 연예인에 준하는 인기를 누리는 유명인(셀레브리티)이다. 요즘 우리 TV 프로에 많이 나오는 스타의 가족, 각종 오디션·서바이벌 출신들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이들은 프로 연예인과는 다른 꾸밈없고 신선한 모습으로 시청자의 눈길을 끈다. 카메라 앞에서 보여주는 사생활 노출 수위도 높아졌다. 예전 같으면 TV 앞에서 상상도 못할 과감한 속내도 낱낱이 보여준다. 그러면서 자고 깨어보니 유명해졌다는 이들이 날로 쏟아진다. 방송계의 ‘신상품’, 새로운 스타 탄생이다.
촬영 중 출연자 자살이라는 초유의 사태로 폐지가 결정된 SBS ‘짝’만 해도 출연 신청이 쇄도하는 인기 프로였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미처 알지 못했던 출연자들의 극심한 스트레스와 제작 윤리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해외 유사 사례가 알려지면서 일반인 출연자를 경쟁적 상황에 몰아넣는 리얼리티쇼 제작 전반을 돌아보게도 됐다. 그러나 방송 출연을 즐기고, 카메라 앞에서 사생활을 드러내는 데 주저함 없으며, 그렇게라도 자신을 알리고 유명해지고 싶어하는 세태가 이런 프로의 굳건한 동력임은 부정할 수 없다.
주창윤 서울여대 교수는 오디션 ‘슈퍼스타K’ 열풍이 한창일 때 그 과도한 열기를 우리 사회의 ‘정신적 허기’와 연결시킨 바 있다. 200만 명 넘게 참가신청을 하며 스타 탄생을 꿈꾸는 것은 ‘나르시시즘의 과잉’, 비정상이라는 것이다. 그만큼 많은 사람이 “이상적 자아를 과도하게 열망하며 이상적 자아와 일상적 자아 사이에 낮은 수준의 분열을 겪고 있다”고도 풀이했다(『허기사회』).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라는 잘 알려진 동요가 있다. 손으로 네모상자를 그리며 부른다. 그 작은 네모상자는 유명인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현대사회 최고의 권력인 ‘스타 권력’으로 직행하는 길이다. 최강 자본인 ‘명성 자본’으로 가는 최단코스기도 하다.
논란 끝에 ‘짝’은 폐지되지만 TV 리얼리티쇼가 일반인에게 선사하는 ‘유명함의 욕망 충족’이란 유혹을 외면하기는 어째 어려울 것 같다.
양성희 문화스포츠부문 부장대우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