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ensus for drafting wome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onsensus for drafting women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ruled that Korea’s current draft system, in which only males are eligible for military service, is constitutional. In a unanimous decision yesterday, the highest court turned down a constitutional appeal from 2011, which argued the current conscription system violated equal rights and military duty for all Koreans under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court made it clear that it reached the conclusion based on “limited deliberation standards” - in other words, by looking into whether legislators infringed upon citizens’ basic rights through arbitrary interpretations, while broadly recognizing the legislators’ right to enact laws. The court ruled that the scope of the draft can best be determined if the state prioritizes combat capability for national security. The court also said that the economic costs required to establish 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s for a gender-free military service don’t fall under judicial jurisdic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also ruled that the decision to draft only men or both genders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social consensus rather than court intervention. Given the immense and immediate power of a Constitutional Court ruling, a contrary ruling would have had huge repercussions on our society. We understand the difficulty the court must have faced before the ruling.

It is correct to pursue public consensus on the draft system instead of seeking a judicial decision. First of all, our society is rapidly changing toward gender equality. As a result, people are increasingly raising claims about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draft system. If the government wants to maintain its current level of troops despite a rapidly decreasing population, caused by an alarmingly low birthrate, taking advantage of female power could be inevitabl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plans to cut the number of troops to 520,000 from the current 630,000 by 2022. That drastic cutback in young men makes it even harder to shorten their service period or secure the optimal level of combat soldiers. About 10 countries, including Israel and Taiwan, allow women to serve in the military, either in a draft system or on a contract basis.

If the government wants to let women serve in the military, it must change the 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s, not to mention the cultural atmosphere. The authorities must consider women’s physical differences as well. They also must find appropriate roles for women in the military. Despite the huge challenges involved, though, our society must think about it as long as we maintain the draft system. We hope our military will study effective ways to use female manpower to prepare for gender-free service in the military.

JoongAng Ilbo, March 13, Page 30




병역의무를 부과하는 현행 병역제도는 과연 타당한 것인가.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남성만 징집하도록 한 현행 병역법이 헌법을 위반하지는 않았다고 결정했다. 병역법이 헌법에서 정한 '평등권'과 '모든 국민의 국방의무'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며 2011년 제기된 헌법소원심판 청구를 기각하고, 합헌임을 전원일치로 결정한 것이다.
그러나 헌재는 이번 결정이 '제한된 심사 기준' 안에서만 판단했음을 밝히고 있다. 헌재 심사 기준은 '이 법을 입법한 주체의 입법형성권을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그 안에서 입법자가 자의적 해석으로 기본권을 침해했는지 여부'였다. 다시 말해 징집 범위를 정하는 것은 국가 안보의 틀 안에서 국가가 최적의 전투력을 유지한다는 목적에 맞도록 정하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이런 점에서 남성의 신체적 조건이 전투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한 입법자의 판단이 지나치게 자의적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또 남녀 동등한 군복무를 전제로 한 시설과 관리체계를 갖추는 경제적 비용과 문화적 환경을 법적으로는 가늠할 수 없다는 점도 들었다.
결국 헌재의 결정은 남성만 징집할 것인지, 남녀 동등하게 징집할 것인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입법자가 결정할 일이지 헌재가 이래라 저래라 개입할 일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헌재 결정은 효력이 즉시 법원·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에 미친다. 따라서 제도적 준비가 없는 상태에서 위헌결정이 나왔을 경우의 후폭풍은 우리 사회가 감당하기 어렵다. 당연히 헌재는 이 점을 고심했을 것이다.
이런 현실을 감안했을 때 현행 병역제도가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또 다시 사법적 판단을 구하기 보다는 공론화를 고민하는 쪽이 맞다. 우리 사회는 급속히 남녀평등사회로 바뀌고 있다. 그래서 성별에 따른 병역의무의 차별에 대해 문제제기가 끊임없이 이뤄진다. 저출산으로 인해 젊은 세대의 인구 수가 줄어들고 있어 일정한 병력 규모를 유지하려면 머잖아 여성인력의 활용이 불가피해질 수도 있다. 국방부는 2022년까지 현재 63만 병력을 52만 수준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그럼에도 젊은 남성의 수가 줄어들고 있어 복무기간 단축이나 전투병력 확보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특히 이스라엘·대만 등 10개 국에서 징병제나 계약제에 의해 여성이 사병으로 복무하고 있다.
여성에게 국방의무를 지우려면 군대의 시설과 관리체계의 혁신, 문화환경과 의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또 여성의 신체적·생리적 특징과 출산시기의 결정 등 많은 문제를 고려해 적합한 업무를 발굴해야 한다. 간단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시대가 달라졌다. 여성징집 여부는 사법적 판단에 미룰 일이 아니다. 치열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현실적 방안을 마련하는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